대한민국 화장품의 비밀 - 많이 바를수록 노화를 부르는
구희연.이은주 지음 / 거름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학 다닐때 생활화학?이란 교양시간에 화장품에 대해 배운 적이 있었다. 교수님은 화장품연구소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었는데 순한 화장품은 농도를 옅게 해서 만든 것이라고 어차피 성분은 다 똑같다고 해서 놀랐던 기억이 있다. 그 기억은 어디로 가고 나 역시 대한민국 여성으로서 스킨-로션-세럼-크림의 순서대로 매일 화장품을 발라대곤 했었다. 하지만 아이크림도 낮용과 밤용을 구분해서 쓰는 친구들을 따라 잡을 정도는 아니었다. 일단 이 책들을 읽자 이 책을 추천해 주고 싶은 많은 친구들이 떠올랐다.  

 이 책의 요지는 이렇다. 어차피 저 순서대로 정성껏 발라야 피부위에서 다 섞이고.. (무슨 지층누중의 법칙도 아니고 당연하지 않은가.) 따라서 자기 피부에 맞는 종류만 바르면 된다는 것이다. 뭐니 해도 가장 충격적인 아이크림얘기.. -_-;;; 눈가는 영양을 그렇게 많이 공급받아야 하는 부분이 아니란다. 따라서 그렇게 발라대면 오히려 처진단다. 건조함이 느껴질 경우에만 바르면 된다고 한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세안을 꼼꼼히 제대로 해야한다는 것.

 이 모든 것의 이면에는 화장품회사들의 이윤추구가 맞닿아 있다. 또 남들하면 다 하고 유행에 민감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심리도 있고. 나 역시 그러했다.  

 같은 업계에 있어 이런 사실을 말하는 것이 쉽지 않았을 텐데.. 이런 책은 정말 널리널리 읽혀져야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