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서주의자의 책 - 책을 탐하는 한 교양인의 문.사.철 기록
표정훈 지음 / 마음산책 / 2004년 10월
평점 :
품절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은 나의 경쟁자인가 아니면 동지인가? 책을 다 읽고 나니 동지의식이란 말이 생각났다. 여기 나같은 사람이 하나 더 있군, 큭큭 거리게 하는 뭐 그런거. 하지만 이런 동지의식의 이면에는 나도 질수 없지, 달리자 달려!(읽는다는 표현) 라는 승부욕? 경쟁심이 모락모락 피어오른다. 책의 내용을 넘어선 책 자체에 대한 책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써의 사유가 곳곳에 들어나 있다. 더불어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책의 목록까지 더불어 얻을 수 있어서 좋았다. 

기억나는 에피소드... 늘 같은 버스를 타고 등교하는 대학생이 늘 엄청난 집중력을 발휘해 책을 읽는 것을 본 저자, 엄청 망설인 끝에 그에게 말을 건다. 그 학생이 읽고 있던 책은 고리끼의 <어머니>였다. 그 학생이 <어머니>를 읽고 있지 않았다면 생면부지의 사람에게 말을 거는 일은 없었을 터이다. 나도 지하철을 타면 책을 읽고 있는 사람들을 유심히 보게 된다. 무슨 책을 읽고 있는 건지 책의 제목을 알아내기 위해 용을 쓴다. 때론 베스트셀러일 경우 표지의 색깔만 보고도 알아내지만..(엄마를 부탁해..같은 책들 말이다. ) 

경계할 일은 보다 폭넓은 독서를 위해 개방적인 자세를 갖을 필요가 있다는 것! 편중된 독서 취향에서 벗어나야 할텐데 실천이 잘 안된다. 일단 재밌고 쉽게 읽히지 않으면 거부감이 들어서.. 그와 관련된 대목을 옮겨본다.  

독서의 개방성은 자기 취향에 충실하면서도 자기 취향과 거리가 먼 책에 대해서까지 관심과 흥미의 촉수를 개방해놓는 데 있다. 독서의 관용성은 자기 생각이나 입장이나 다른 주장이나 논지를 담은 책들도 그 나름의 일리를 갖추고 있으리라 전제하는 태도에 있다.  

책을 읽을 때 두뇌에서는 서로 다른 구실을 하는 수많은 부분들이 상호 작용하면서 복잡한 네트워크가 만들어진다. 하나의 단어, 하나의 구절을 새로 접할 때마다 수십 억에 달하는 뉴런이 부단히 상호작용하면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순간순간 다른 배열과 짜임새를 이루면서 계속 변화하는 것이다.  (p.242)

쓰지 않는 뉴런에 자극을 주려면 다른 방향에서 접근하는 독서법이 정녕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