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꽤 오래전에 사둔 책을 이제야 다 읽었다. 이 책의 부제는 동양고전독법이다. 따라서 고전자체의 내용, 의미(물론 어느 정도는 다루고 있지만)보다는 그 고전을 어떻게, 어떤 시각에서 바라보아야할지는 집어주는 책이다. 선생님은 특히 ‘관계론’의 관점에서 고전의 의미를 현시대에 맞게 재조명하고자 한다고 하였다. 아래 어떤 분의 리뷰를 보니 서론을 건너뛰고 읽다가 다시 서론을 읽으러 갔다고 했는데 나 역시 처음에 그랬다. 서론을 읽어야 앞으로 설명할 방식이 어느 정도 이해되므로 서론부터 읽기를 권한다. 관계론을 중심으로 고전을 읽는다는 것은 개인의 존재성, 개인의 사회적, 물질적 존재 조건을 중심으로 모든 이치를 파악하려는 서구적 관점보다는 인성, 인간관계, 나아가 치국에 이르는 동양적 가치를 존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본주의라는 서구적 가치로 인해 지금 얼마나 많은 폐단이 생겼는지를 되돌아보면 동양의 고전 속에서 발견해야할 가치가 얼마나 많은지 실로 공감하게 된다. 책을 읽다 보면 동양사상의 맥 또한 어느 정도 잡히게 되니 흐름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어디 선가 한번은 들어보았던 일화, 고사성어들을 예문으로 접하게 되니 그동안 참으로 무식했구나 탄식을 하는 와중에도 반가운 마음이 들었던 적이 몇 번 있다.

 그 중 탁과 발이라는 일화가 기억에 남는다. 시장에 신발 사러 간 사람이 발의 본을 뜬 탁을 가지러 다시 집으로 돌아가는 이야기다. 탁을 가지러 구태여 집에 갈 것이 아니라 자신의 발로 직접 신을 신어보면 될 것인데 말이다. 탁을 책이라고 본다면 책만 읽는 사람은 현실을 본뜬 탁을 보고 있는 사람이다. 학문이나 이론의 비현실성, 관념성에 대한 비판이다. 실천하지 않고 책만 보고 있는 책상물림이 될 것을 경계해야 한다.

 중요한 것은 고전의 독해는 시대에 따라 달리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시대에 신영복 선생님과 같은 분이 계셔서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 앞의 일화와도 비슷한, 가슴에 남는 말은 ‘사상은 실천된 것만이 자기의 것’이라는 말이다. 말이나 글은 자기의 사상이 아닌 것도 얼마든지 주장하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격으로서 육화된 사상만을 주장할 수 있어야 한다는 선생님의 말씀은 내가 책읽기를 멈추는 그날 까지 머릿속에 가슴속에 새겨두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