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올레 여행 - 놀멍 쉬멍 걸으멍
서명숙 지음 / 북하우스 / 200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주도를 갔다온적이 있지만 그야말로 차로만 이동하고 유명하다하는 곳에 내려 사진만 찍고 다니는 관광을 했다. 이 책을 읽고나니 내가 본 제주도는 제주도가 아니었구나하는 생각이 든다. 몇년전부터 유행처럼 된 산티아고 열풍을 맞아 저자도 산티아고를 다녀왔다고 한다. 인생의 후반부를 어떻게 살아야할지 심각하게 고민한 저자는 자신의 고향인 제주도에 까미노를 만들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그 길을 올레라고 이름붙인다. 지금이야 초반단계이지만 훗날 이 곳이 제주도를 대표할 만한 길이 된다면 이 과정들을 생생한 역사의 현장이 될 것이다. 그 길을 만들어가는 여정을 함께 하며 나 또한 지면에서나마 가슴 벅참을 느꼈다.  

 여행서를 볼 때 내가 특히 관심있게 보는 부분은 '길을 떠난 동기'이다. 대충 살펴보면 일상을 벗어나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자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동기가 미약한 책을 보면 (동기가 강했으나 책에는 굳이 부각시키지 않은 경우도 물론 있겠지만) 길을 떠난 여행자만큼 흥이 나지 않았다. 인생의 후반부를 어떻게 살아야할지 생각하기 위해 떠난 산티아고. 그리고 그 길에서 생각해낸 제주올레. 평생의 직업이었던 기자직을 관두고 한달간 산티아고를 떠난 다고 하자 주변에서는 난리다. 너는 영어도 못하지 않느냐 한비야나 김남희는 영어박사다, 게다가 너는 길치다.. 이유도 다양하다. 사실 이 부분이 너무 우꼈다. 잠깐잠깐 등장하는 한비야, 양희은, 오한숙희의 이야기가 나오기 때문이다. 그간 말썽만 피웠던 큰 아들이 '엄마는 여행을 떠날 자격이 있다'며 응원해준다는 이야기에서는 내가 괜히 코끝이 찡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이 좋았던 건 제주의 다양한 문화를 소개하고 있다는 것이다. 자신의 유년시절의 기억을 쏟아내며 스스로도 치유의 과정을 거쳤으리라. 동생과의 화해 또한 인상적이었다. 전반적으로 책이 굉장히 정성들여 만들었다는 느낌을 준다. 좀 무거운 건만 제외하면.. 나도 저자의 제안대로 내가 살고 있는 동네에서 나만의 올레를 만들어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