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를 기다리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솔직히 이 책의 제목을 알고 있었던 십수년간 나는 고도가 이 度를 말하는 줄 알았다. -_- 뭔가, 높고도 원대한 무언가를 기다리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면서.. 그런데 책을 읽어도 뒷부분의 해설을 읽어도 고도에 대해 딱히 설명이 없다. 지식인께 여쭤보니 원제에서 고도는 Godot였다는 것을 알았다. 단지 이름이 고도였던 것이다.  ㅠㅠ

 내용은 두 주인공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이 오지 않는 고도를 기다리며 무의미한 행동과 말을 한다는 것이다. 이상한 행동을 하다가 중간에 한번씩 확인이라도 하듯 우리는 지금 고도를 기다리고 있다며 서로에게 묻고, 확인시킨다. 허무하게도 그러나 당연하게도 기다리던 고도는 오지 않는다. 고도의 소식을 가지고 온 소년만이 두번 등장하는데 고도가 내일온다고 말하고 사라진다. 물론 고도가 온다던 그 내일에도 고도는 역시 오지 않을 것이다. 

 우리가 살아간다는 것은 사실 무언가를 늘 기다리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그 기다리는 대상을 실제로 만날 수 있든 만날 수 있는 가능성이 희박하든 그 기다림의 순간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에 따라 우리의 삶의 행태가 결정된다. 똑같은 고통앞에서 그 고통을 어떻게 받아들이냐하는 자세를 결정하는 것, 그것이 어떤 순간을 바닥에서 최고의 순간으로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이 책은 읽는 순간에는 뭐 이런 걸 희곡으로 쓰나 하는 생각을 했는데 다 읽고 나서 오히려 그 의미에 대해 여러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프로방스에 간 고양이>에는 베케트의 이야기가 잠시 나온다. 보넬리의 포도주에 대한 대사를 발견하고 기뻤다! 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