싯다르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8
헤르만 헤세 지음, 박병덕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등학교시절 내가 흠모해마지 않았던 문학선생님이 가장 소중히 여긴 다고 하시던 기억때문인지 이 책을 언제고 꼭 정독해봐야지 마음 먹고 있었다. 작년에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중에서 헤르만 헤세 책들을 다 읽어야겠다고 마음먹은 것도 있고.

그런데, 나는 싯다르타가 그의 친구 고빈다에게 들려주는 깨달음이 잘 와닿지 않았다. 스승에게 깨달음을 배우려 했던 고빈다와는 달리 싯다르타는 깨달음은 배울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며 스승을 모시기를 거부한다. 대신, 직접 길을 떠나는 고행속으로 들어간다. 인생의 길위에서 싯다르타는 사랑하는 여인 카밀라를 만나고, 뱃사공 바주데바를 만난다. 카밀라를 통해 사랑을 알게 되고, 바주데바를 만나면서 요즘 말로 소울메이트와 같은 정신적 교감을 나눈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젊었던 시절 헤어졌던 친구 고빈다를 다시 만나고 그에게 지난 인생의 깨달음을 들려주면서 소설을 끝나게 된다. 깨달음을 얻으려면 직접 부딪혀볼 것, 인생의 목표자체에 집착하지 말고 순간에 충실할 것 등이 이 소설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가 아니었을까 싶다. 불교에서 가장 중요시하고 있는 부분을 이야기 형식으로 들려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소설에는 자식에 대한 집착 때문에 힘들어하는 싯다르타의 모습이 나온다. 그러면서 자신 때문에 힘들어했을 아버지를 떠올린다. 자식때문에 힘들어봐야 부모님의 심정을 이해할 수 있다는 말은 이런데서 나오는 걸지도. 뭔가 커다란 깨달음을 기대해서 인지 기대감보다는 못미쳤다. 또, 헤세의 다른 책에서는 별로 안 거슬렸던 쉼표 쉼표로 이어지는 긴 문장이 계속 거슬려 몰입해서 읽지 못한 점도 있었던 것 같다.  증거로 한문장 옮겨보겠다.

나는 나 자신의 육신의 경험과 나 자신의 영혼의 경험을 통하여 이 세상을 혐오하는 일을 그만두는 법을 배우기 위하여, 이 세상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기 위하여, 이 세상을 이제 더 이상 내가 소망하는 그 어떤 세상, 내가 상상하고 있는 그 어떤 세상, 그 머릿속으로 세상을 있는 그대로 놔둔 채 그 세상 자체를 사랑하기 위하여 그리고 기꺼이 그 세상의 일원이 되기 위하여, 내가 죄악을 매우 필요로 하였다는 것을, 내가 관능적 쾌락, 재물에 대한 욕심, 허영심을 필요로 하였다는 것을, 그리고 가장 수치스러운 절망 상태도 필요로 하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네. (209쪽)

이게 한 문장이다. 계속되는 동어 반복 그리고 책 전체가 거의 다 이런식의 반복이다. 읽기 힘들었다. ㅠ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