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차르트 - 천재 작곡가의 뮤직 로드, 잘츠부르크에서 빈까지 클래식 클라우드 7
김성현 지음 / arte(아르테)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렸을 때 신동인 사람이 어른이 되어서 거장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는 의미에서 모차르트는 우리에게 음악가하면 거의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인물이다. 그러나 모차르트에게 아버지 레오폴트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그러한 음악적 성과를 냈던 거장이 될 수 있었을까. 정규교육을 받지 않았지만 누이 난네를과 모차르트는 궁정 악장이자 음악교육가인 아버지의 교육으로 누구보다 훌륭하게 성장할 수 있었다. 어린 나이에 3년 5개월 동안 88개국을 돌며 음악회를 열고 유명한 음악가들과의 만남을 주선할 수 있었던 교육자로서의 결단이나 실천력은 지금이라면 절대 흉내낼 수 없는 부모의 역할이었을 것이다. 

저자의 말처럼 재능의 조기발견이야 말로 천재 탄생의 첫번째 조건이 될 것이다. 

그러나 자식 교육에 있어 참으로 어려운 점이 드러나는데 헬리콥터 파파같은 레오폴트의 존재가 모차르트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졌을지는 모르는 일이다. 스무살이 되어 모차르트는 몇개국을 돌며 구직전선에 뛰어들지만 좀처럼 취직을 할 수가 없었다. 아들의 취직은 곧 가족의 이주를 의미했던 레오폴트는 너무 높은 연봉이나 처우를 기대했던 탓이다. 결국 아버지는 잘츠부르크에 안주하게 되고 모차르트는 아버지의 울타리를 넘어서 빈에서 자신만의 음악세계를 구축하게 된다. 아버지가 허락하지 않는 콘스탄체와의 결혼도 단행했고 경제 관념이 없어서 말년까지 후원자나 친구들에게 돈을 빌려 생활해야 했다. 하지만 부모로부터의 독립이 있었기에 오늘날 사랑받는 모차르트가 존재하게 되었을 것이다. 

천재는 타고 나는 것인가, 만들어지는 것인가. 유전이라면 모차르트의 아들 둘이 평범한 사람으로 성장했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 만들어진다는 것에는 여러가지가 의미가 있겠으나 모차르트가 어떤 식으로 작곡에 몰두하며 열정을 쏟아부었는지 읽어보면 하늘이 그냥 내리는 천재는 없나보다. 즉 게으른 천재는 없다는 말이다. 

1990년대 후반에 모차르트 이펙트라고 하여 모차르트 클래식 음악을 들으면 창의성이 높아진다는 설이 있었다고 하지만 과학적으로는 증명된 바 없는 상술이라고 한다. 다음의 문구들이 기억에 남아 옮겨본다.


아이들에게는 클래식 음악만 들려주어야 할까. 그렇지만도 않다. 자유롭고 변칙적으로 약동하는 리듬감을 통해 창조력과 상상력을 키우고 싶다면 재즈가 효과적이고, 차분한 정서 함양에는 우리 전통 음악이 안성맞춤일 것이다. 반대로 로큰롤은 비교적 단순하고 공격적이지만 활력을 불어넣는 것도 사실이다. 반드시 음악만 육아와 교육에 도움이 되는 것도 아니다. 미술과 건축, 패션과 무용, 문학과 영상까지 온 세상은 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건강한 자극으로 가득하다. 그런데도 모차르트의 음악만 특효약이라고 주장하는 발상은 그 자체에 불순한 상업적 동기가 숨어 있다. 


참고문헌이나 자료조사가 돋보이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