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카소의 달콤한 복수 - 현대예술에 대한 거침없는 풍자
에프라임 키숀 지음, 반성완 옮김 / 마음산책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난해한 현대미술을 이해못하는 건 우매한 일반인의 책임이 아니라는 말씀.. 모르니까 챙피하고  행여나 내가 모른다는 걸 다른 사람에게 눈치챌까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조그만 위안이 될까.

한때 일반인들을 위한 미술관련 교양서들을 탐독했던 때가 있었다. 수십권을 읽었더니 다 그게 그 내용같았다. 현대미술은 아무리 봐도 화가의 의도를 모르겠고, 그렇다고 더 전문적인 미술서적을 읽는 것은 엄두를 못내겠고 그 이후로 미술관련책들을 읽지 않았던 것 같다. 이 책은 난해한 현대미술은 일반인을 우롱하는 것이라는 다소 파격적인 의견을 내놓고 있다.

현대미술은 차치하고 라도 고전미술(?)만 잘 알아도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사실 잘 알아서 무엇하게? 혹시 이건 늘 마음의 저편에 자리잡고 있는 지식에 대한 갈구 (강박관념?)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런 지식에 대한 집착을 조금 내려놓은 지금은 그저 내가 이런 교양서들로부터 고흐의 그림들을 보고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을 보며 즐거우면 그것으로 그만이라는 생각이다. 평론가들의 해석이야 그저 그들의 해석일뿐 내 느낌은 아니지 않겠는가. 사실 읽어도 무슨 소리인지 모를 것은 뻔한 일이지만 말이다.

그러나 이 책에서 아쉬운 점은 몰라도 된다 그렇게 이해하지도 못할 그림을 그리는 화가들이 문제라는 건 알겠는데 그게 왜 그렇느냐는 논리적인 설명이 없다는 거다. 이해하지 못하면 이해하려고 노력하지도 말라는 건데 나는 그래도 이해하고 싶어 조금은 안달이 나는 사람이라는 거지. 나만 이해못하고 있으니 안심(?)은 되지만 그래도 나는 현대미술의 언저리에서 그것이 의미하는게 무엇인지 알고싶어 아직도 미련을 못버린 사람인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주는 잇점은 그 난해한 현대미술의 수많은 작품들이 나온다는 것이다. 이 책이 아니었다면 그 많은 현대미술의 알쏭달쏭한 그림들을 어디에서 볼 수 있겠는가. 나는 책의 뒷부분에 정사각형을 이용해 그린 그림들이  많다는 것을 알고 순간 웃음이 났었다. 다 비슷비슷한데다가 초등학생도 그릴 수 있는 네모난 그림들이 이 시대 최고의 화가들이 그린 것이라는데 웃음이 났던 거다. 사실, 이 책의 지은이가 의도하는 바가 이런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봤다. 그런 그림들을 보는 것만으로도 이 책은 재밌고, 현대미술에 대해 불만을 가진 사람이라면 조금 시원한 기분을 맛볼 수도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