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4.
운명의 한 해가 간다. 해는 가도 운명은 남는다. 나도 남는다.
나와 운명 사이에서 해야 할 일들도 남는다.
조용한 날들을 지키기.
사랑과 아름다움에 대해서 말하기를 멈추지 않기.
----
이 책을 읽으면 살아가면서 우리가 사랑이나 아름다움에 대해 되새기고 말해야만 우리 삶이 의미 있다는 것을 절절히 깨닫게 된다. 그 외 다른 것들이 무슨 소용 있으랴. 많은 페이지에서 내 가슴이 쿵,쿵 내려앉았다.
수원 화성을 보면 <화성성역의궤>,<원행을묘정리의궤> 같은 기록문화의 중요성을 알게 된다. 작가의 인생과 함께한 수원에서의 정취가 이곳저곳에서 묻어나 나도 내년 4월이나 5월 벚꽃이 필 때 광교저수지를 가 보고 싶어졌다.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비스와바 쉼보르스카의 서평집이다. 우선 서평을 쓴 기간이 굉장히 길고, 아마도 내가 찾아읽을 수는 없는 책들로 이루어져 있어 별 기대는 없었는데 이 글들 자체가 재미가 있다. 아.. 나도 이 정도 서평을 쓸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쉼보르스카는 춘향전에 삼국지까지 읽었다!
위대한 개츠비에서 오렌지와 프라이드 치킨이 나왔었나. 나는 전혀 눈치채지 못했다. ㅋㅋ 소설속에서 찾을 수 있는 음식이야기인데 인문학적 접근이 이외로 재밌게 읽힌다. 문제는 이미 읽었던 책들인데도 잘 기억이 나지 않아 다시 읽고 싶게 한다는 것.
아주 두꺼워보이지만 하루에 몇 꼭지씩 읽으면 금방 읽을 수 있다. 아는 이야기도 많았지만 이런 미술사 관련 책들은 반복해서 읽어야 더 내 것이 되는 것 같다. 고흐가 그린 고흐의 의자와 고갱의 의자 그림이 대조적으로 기억에 남는다.
너무나도 사랑스러운 책. 도서관에 대한 페이지에서 눈에서 하트가 뿅뿅 나간다.
책을 사랑하는 사람들을 단박에 매료시키는 책!
인권이 무엇인지는 잘 모르지만, 공동체의 수준은 한 사회에서 모든 혜택의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한 사람들을 어떻게 대하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라고요. p.249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이라는 공동체의 수준은 어떨까. 떠올리기만 해도 아픔이 느껴지는 수많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이 책안에 있다. 가난한 사람들의 질병, 성소수자, 해고 노동자, 직업병을 만드는 기업, 고용불안, 소방공무원, 세월호 참사, 동성결혼, 트랜스젠더, 인종차별,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 등.....
아.. 우리에겐 너무나 많은 일이 있었다.
한 사회의 개개인이 아픈건 알고보면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가 더 크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된다. 타인의 아픔에 지속적으로 감수성을 가지고 아파할 수 있는, 나아가 행동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이 책을 쓴 저자처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