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클림트 - 빈에서 만난 황금빛 키스의 화가 ㅣ 클래식 클라우드 3
전원경 지음 / arte(아르테) / 2018년 4월
평점 :
클림트의 그림은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인지, 그렇다고 첫눈에 반해서도 아니어서인지 그렇게 좋게 느껴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 책을 보니 내가 느꼈던 점이 클림트의 그런 의도였구나를 알게 되어 이제야 비로소(!) 그의 그림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전형적인 오스트리아 빈 사람인 클림트는 비교적 이른 나이인 서른 무렵의 나이에 역사화가로 성공을 하게 된다. 미술의 시작을 장식미술로 시작한 클림트는 동료, 동생과 함께 예술가 컴퍼니라는 팀을 창립하여 주요건물들에 역사화 같은 벽화를 그렸다. 이후 빈 분리파를 창단하고 역사화가에서 벗어나 황금시대로 나아가는 클림트.
그의 황금시대를 연 것은 중세도시 라벤나로의 여행이었다. 1500년전 비잔티움 제국의 모자이크에서 새로운 예술의 영감을 얻은 것이다. 그의 그림의 인물들은 얼굴 부분만 실제적으로 느껴지고 몸은 평면적이고 장식적인 요소를 띄게 된다. 그렇게 황금시대를 맞은 클림트는 이후 장식과 동양(일본)의 세계로 빠져들게 된다. 그에게 재충전의 공간이었던 아터호수를 그린 풍경화 역시 다른 화가들의 풍경화와는 다르다. 아버지가 56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본인도 건강에 신경을 매우 썼으나 우연히도, 불행하게도 아버지와 같은 나이에 뇌출혈로 사망하게 된다.
그가 양감이나 사실성을 포기하고 장식, 선, 평면을 강조했던 것에는 금세공업자 집안이었던 그의 가정환경이 많이 좌우했을 듯하다. 클림트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아폴리나레 누오보 성당의 동방박사 모자이크가 인상적이다. 단순하고 투박하고 색도 한톤 다운된 듯한 벽화에서 예술의 영속성을 느꼈던 클림트의 심정이 조금 이해가 되는 듯하다. 그리고, 이번에 책을 읽으며 느낀 것은 예술가를 재정적으로 후원했던 귀족들의 부인들은 유명한 그림으로 남아 천년 넘게 자신을 알릴 수 있겠구나 하는 것이었다. 삶의 유한함을 느끼게되는 나이라서 이런게 눈에 들어왔나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