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은 뭔가 아쉬운 계절이다. 한해가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는 자각과 붉게 물드는 단풍, 찬 바람이 혼재되어 호르몬에 이상영향을 끼치고 이에 따라 마음도 얼마나 싱숭생숭~한지....

난방을 하기에는 아직이어서 집 안이 썰렁하다. 읽고 싶은 책 보다는 예전부터 읽어야겠다고 마음먹은 책들로 11월과 12월을 보내야겠다.

 

내년에는 오스트리아에 꼭 가보려고 한다. 19세기 말, 20세기 초엽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제국은 쇠락을 거쳐 종말로 향하고 있었다. 1840년대부터 1918년까지 거의 한 세기에 걸친 세기말적 현상은 오스트리아만의 독특한 분위기, 문화를 형성했고 아름다운 도시 곳곳에 그 흔적을 남겨놓았다고 한다. 실제로 우리가 익숙하게 아는 많은 사람들이 오스트리아 인물들이었다.

책에서 소개된 것 중 황실 미사에 참석해서 빈 소년합창단원의 성가를 꼭 들어보고 싶다. 당연하게도 눈물이 주루룩 흐를테지...

 

오랜만에 서경식 교수의 책을 읽었다.

기억해둘 책. 나탈리아 긴츠부르그의 <가족어 사전>

 

 

 

 

 

 

 

 

 

 

 

연재된 글이라서인지 각 꼭지가 정확하게 3쪽씩이다. 몰아 읽으면 질리지만 하루에 조금씩 읽으면 그게 또 그렇게 맛깔날수가 없다. 여행에 대한 글이니까.. 얼마나 좋겠는가. 여행은 나를 둘러싼 세계를 변화시키는 일이다. 가장 손쉽게 변화된 세계에서 새로운 나를 발견하는 일. 그 설렘을 찾아 우리는 여행을 꿈꾸고, 여행을 다녀오고, 다음 여행을 계획한다. 갈 곳이 많아서 문득 행복하다는 생각이 든다.

 

 

 

 

 

 

 

입은 꼭 다문 채 점점 마르고 새까맣게 변해가는 나를 본 뒤로 엄마는 매일 밤 "편안히 잘 자라" 문자를 보내주었다.

 어두운 망망대해 위에 혼자 남은 기분으로 잠자리에 들 때, 엄마의 문자는 그날 밤을 버틸 수 있게 해주는 유일한 빛이었다.

 그래서 나는 지금도 저 문자를 가만히 보고 있으면 눈물이 난다. p.211

 

망망대해에서 나를 지켜주던 엄마의 휴대폰 문자메세지...가 나한테도 있었다. 엄마한테 잘해야하는데...

 

 

 

 

 

장석주는 매일 사과 한 알을 먹는 우직함으로 책을 읽어나간다. 마치 소가 밭을 갈아나가듯이. 박연준은 그야말로 책일기다. 일기에 책은 잠깐 등장한다. 오늘 가방에 넣어가는 책은 무엇 같은...

나는 박연준의 글이 더 좋았다.

 

 

 

 

 

 

 

 

 

마음이 베일까 마지막 단편은 읽다가 덮어버렸다. 김애란의 소설은 멀리해야겠다. 요즘 유리멘탈이라서.. 

 

 

 

 

 

 

 

 

 

 

 

요즘 알쓸신잡이 너무 재미있어서 도서관에서 고른 책.

한때 신화를 읽기도 했지만 뭔가 공감이 안되어서 눈으로만 훑어읽었더랬다. 그런데 TV에서 김영하가 해주는 이야기는 어찌나 재미있는지.. 나만의 김영하는 이렇게 만인의 김영하가 되어가는가 ㅋㅋㅋ

이책의 절반은 고화질의 도판, 사진으로 한권을 빨리 읽을 수 있다. 신화의 이야기가 진짜일까라는 의구심이 드는 한편 이렇게 신전이 이 나라의 여기저기에 남아있는 것을 보면, 어쩌면 우리가 근대 이후로 믿고 있는 과학이란 것이 사실은 우리만의 착각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믿음에 대해 항상 의심할지어다.

 

 

고향에서 시작하는 작은 빙수 가게. 작은 가게가 쇠락해가는 고향 마을을 밝히고, 어떤 어린 아이의 마음 속에 추억으로 자리 잡고, 그런 작은 효과들이 다른 긍정적인 효과들을 내고... 생각만해도 마음이 따뜻해진다. 얇지만 좋은 책.

 

 

 

 

 

 

 

 

 

 

방 안에 혼자 있는 사람들의 모습이 좋다. 1800년대 후반의 그림들이 눈을 호사시키는 것 같다. 많이 못 본 그림들이어서 좋다. 상처, 위로 이런 말들은 이제 싫어하지만 그럼에도 이 책에서 얻는 위로는 생각보다 크다. 그림이 주는 힘일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