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심의 공간 - 나의 마음을 읽다 나의 삶을 그리다
김현진 지음 / 자음과모음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억을 떠올려보면 사람에게는 확실히 공간에 적응하는 능력이 있다. 사회 초년생때 머물렀던 원룸, 아주 작은 방에서도 필요한 세간살이들이 다 들어가있었고 그 좁은 방에 책이며 물건들이 나름의 질서를 이루며 하루하루를 살아내고 있었다. 좀더 큰 집으로 여러번 이사를 하면서 공간에 적응하는 능력을 다시 한번 확인하곤 한다. 책의 제목처럼 건축은 건물 그 자체이기 보다는 그 건축물과 사람과의 관계, '공간'에 대한 학문이며 기술이다. 어떻게 보면 예술의 영역이기도 한 건축은 우리의 삶, 생활과 아주 가까이 있는 것이다. 문, 계단, 창, 지붕, 대문, 책장, 탁자, 부엌, 방이라는 단어에서는 너무나도 생활의 냄새가 난다. 하지만 매일 여닫는 문을 자세히 관찰한 적은 없지 않은가. 그 안에는 무게의 분배라든지, 경첩이나 회전과 같은 과학적 원리가 숨어 있으며 그 기술을 바탕으로 우리들의 마음에 하나의 심상으로 자리잡게 된다. 방과 죽음이라는 꼭지가 인상적이었다. 어디에서 사는가가 우리에게 중요하듯, 어디에서 죽을 것인가도 중요하지만 오늘날 죽음은 우리의 삶과는 확연히 분리되어진 장소에서 은밀하게 이루어질 뿐이다.

공간을 떠올리고 그것을 직접 만드는 일을 통해서 인간의 진정한 사랑과 자유의 참 의미를 알게 된다. 가장 비참한 공간을 감옥이라 부르고, 끝을 알 수 없이 풍부하고 심오한 세계를 우주라고 부른다면, 자신의 환경을 비극으로 빠뜨리는데 있어서 공간은 절대적인 조건인 것 같다. 동시에 마치 하룻밤, 달고 깊은 잠을 자고 일어나면 모든 세상이 달라지는 어떤 날처럼, 비천함과 숭고함이 하나였다는 것을 알게 하는 것도 일상의 공간이다. p.325

일상의 공간에서 자유를 찾으려면 공간에 대한 장악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그 공간이 나의 개성을, 생활을 고스란히 보여줄 때 잘 살아낸 느낌이 들지 않을까. 그 집이 얼마나 큰 집인지, 사치스러운 세간살이들로 가득차있는지는 상관없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