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평생 동안 과분한 영예를 얻었지만 그 어떤 영광보다 나를 흡족하게 해 준 것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국립도서관의 관장이었다는 것입니다. <중략> 나는 항상 천국을 도서관과 같은 종류로 상상했습니다.
                                                                                - Jorge Luis Boreges <정혜윤의 침대와 책중 재인용>

 가문의 내력대로 서서히 시력을 잃어 마침내 실명하고 도서관장이 된 그가 상상한 천국에서 단지 책의 겉표지의
 굵은 표제만을 어렴풋이 해독할 수 있었던 그의 이 얘기는 왠지 가슴을 뭉클하게 했다. 시력을 거의 잃었다는
 어느 개그맨의 안타까운 근황과 더불어 사라마구의 <눈먼 자들의 도시>의 기억이 닥치는 대로 읽고 보는 나의 활자중독에
 제동을 건다. 왜냐하면, 나는 늙는 것은 두렵지 않은데 노안이 와서 책을 제대로 읽을 수 없는 상황이 오는 것은
 정말 너무너무 두렵기 때문이다. 혹은 라식 부작용으로-..-. 

 무언가를 읽을 수 없고 누군가를 합법적으로 들여다 볼 수 없고, 결코 우연이라도 조우할 턱이 없는 이들이 나름대로
 만들어 놓은 그 아름다운 가상의 세계를 더이상 들여다 볼 수 없는 상황이 온다면, 그곳이 바로 지옥일 터이다.
 보르헤스처럼 나에게도 천국이란 도서관이다.  읽고 쓰고 또 누군가는 읽어주고 책을 추천해 주고 빌려주고 사주기도 하고,
 그런 세계가 나에게는 전부이고 지향이다.
 나에게 일어나는 일이 누군가에게도 일어나고 나와 다른 공간과 시간 속에서 또 다른 이가 발을 내려 놓고 앞으로 또는
 뒤로 허우적대며 걸어가는 모습을 확인하는 것은 위안이다. 삶과 독서는 어우러지기도 하지만 더로 다른 차원에서
 일으켜 주고 밀어주는 그 맛이 외롭지 않게 해주는 것 같다. 

 결론은 눈을 쉬어야 한다는 것. 더 오래 더 많이 읽으려면. 태백산맥 한 권이 남았다. 그냥 너무 서운해서 그 마지막
 한 권은 천천히 읽어보려 한다. 옆지기가 입이 댓발 나왔다. 자기도 다 이해한다고. 무협지 보던 시절 그 중독성을
 경험해 봤다고, 이러니 그 앞에서 정신무장 교육좀 시키려고 어설픈 사설을 늘어놓기 시작하면 코를 골기 시작한다.
 '아리랑'은 천상 내년을 기약해야 할 듯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이드 2009-11-26 23: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http://blog.aladdin.co.kr/misshide/707100

위의 인용의 인용보니, 이 책 생각나요. 보르헤스에 대한 정말 멋진 책이에요 ^^
리뷰의 링크 두개 있는거도 다 멋진 글. 시간날때 함 보러오세요~

blanca 2009-11-27 11:56   좋아요 0 | URL
안그래도 보르헤스 책 정말 읽어보고 싶었는데 감사합니다.^^ 누군가 추천해 주기를 기다렸죠. 꾸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