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인의 고통 ㅣ 이후 오퍼스 10
수잔 손택 지음, 이재원 옮김 / 이후 / 2004년 1월
평점 :
품절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12291193487735.jpg)
<<타인의 고통>>은 사진 이미지를 다룬 책이라기보다는 전쟁을 다룬 책입니다. 제게 있어서 이 책은 스펙터클이 아닌 실제의 세계를 지켜나가야 한다는 논증입니다. <중략; 한국의 독자들에게>
시뮬라크라(유사현실)에서 살고 있는 우리들. 우리들이 알고 있는 세상에서의 사실은 이미지의 파고 속에서 미디어가 전하는 왜곡된 현실이거나 이미 가공자의 해석과 관점이 주입된 가상 현실로 그것을 현실로 인식하고 살아가는 것이 대중의 숙명이라면. 지금 이 책을 당장 읽고 그 부패된 껍질을 부리고 쪼아 밖으로 나가야만 한다.
여기서는 물론 미디어의 영상물보다는 피사체를 조준하여 순간을 가두는 사진에 관하여 집중 논의한다. 특히나 유명한 사진기자들의 전쟁참사나 제 3세계의 기아, 혹은 끔찍한 살인,사망 장면을 찍은 고통을 충격적으로 재현하는 자극적인 것들을 생산해 내고 소비해 내는 대중들의 심리를 관음증, 혹은 책임 방기, 무관심, 덤덤함 등의 딱딱한 반응들에 대하여 자세히 관조한다.
그녀는 사진은 무언가를 배제하며 구도를 잡는다는 작업으로서 골라낸 이미지로 이미 출발부터가 전혀 객관절일 수도 중립적일 수도 없다고 판단한다. 즉 타인의 고통을 자극적으로 이미지화해 충격을 소비하는 데에 익숙한 소비자에게 척 내미는 행위 자체 그것이 피사체에 대한 조준, 사진 촬영에 다름아닌 것이다. 이것은 일종의 참조점을 규정해 놓으며, 특히나 집단적 기억의 기록물로서의 사진은 이것은 중요한 일이며 이것이야말로 어떤 일이 어떻게 일어났는지를 알려주는 이야기이다, 라고 우리의 정신 속에 꼭꼭 챙겨두는 약정이라는 그녀의 해석은 충격적이면서도 설득력이 있다. 기억이란 모두 개인적이며 재현될 수 없다는 그녀의 명제에 철저히 반하는 것이니 만큼 집단적 기억이라는 것 자체에 대하여 그녀는 이데올로기의 구체화에 대한 구역질 나는 거부감을 보이는 것이다. <<은유로서의 질병>>과 상통하는 부분으로서 국가,사회가 어떤 대상이나 현상을 조잡하게 가공하여 수동적인 반응기제를 학습한 대중들에게 그들의 통치 논리를 구체화하는 도구를 교묘하게 활용하는 것을 그녀는 극렬히 성토한다.
한편 고통받고 있는 사람의 이미지에 대한 개인적 반응에 대한 그녀의 예들과 해석이 충격적이면서도 와닿는다. 잔인한 처형 장면이나 고통에 허덕이는 이들의 사진이 몇 편 실려있긴 했지만, 가장 충격적이어서 그 잔영이 밤잠까지 어수룩하게 만들었던 것은 <백조각으로 찢겨 죽는 형벌,1905>이었다. 몽고왕자를 암살한 혐의로 능지처참당한 중국청년이 사지가 다 절단되고 피를 흘리며 고개를 위로 젖혀 눈을 치뜬 채 살아 있는 모습은 바타유가 그 사진을 서랍 속에 평생 간직하고 '황홀하기 그지없으면서도 차마 눈뜨고 볼 수 없는 이 이미지, 고통의 광경을 담은 이 이미지는 평생 나를 사로잡았다.'는 표현에 이르러서는 대체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인간이 타인의 고통에 대하여 보이는 이 반응들은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나, 예술이라는 미명아래 이런 고통을 은근히 통렬히 즐기는 모습들이 다 용인되고 용서될 수 있는 건가? 라는 연쇄적인 답없는 질문들에 숨이 막혀 버린다. 더 나아가 '능지처참'이라는 처벌. 인간이 인간을 심판하고 처벌할 권한이 어디까지 용인되고 이해되어야 하나?라는 질문까지 확장된다.
한편 그녀는 이런 고통의 이미지에 무감각한 인간들에 대하여도 고까운 시선을 보낸다. 냉담한 것으로, 혹은 도덕적으로나 감정적으로나 무각각한 것으로 묘사된 상황은 따지고 보면 분노의 감정, 좌절의 감정으로 가득 차 있기 마련이라는 그녀의 해석은 도발적이기도 하고 타당하기도 하다. 그럼 연민은 어떠한가? '동행', '긴급탈출 SOS'를 보는 사람들에게서 올라오는 연민이라는 감정은? 그것은 고통 받고 있는 사람들에게 연민을 느끼는 한, 우리는 우리 자신이 그런 고통을 가져온 원인에 연루되어 있지는 않다고 느끼는 것으로서, 우리가 보여주는 연민은 우리의 무능력함과 무고함을 보여주는 뻔뻔한 반응일지도 모른다는 것이 그녀의 해석이다. 사실 요즘들어 나는 금전적으로, 혹은 건강상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사람들을 대할 때 나의 반응이 혹시 이런 것이 아닌지 자꾸 되돌아 보게 되고 도울 수 있는 부분은 도우려고 드문드문 시도중이다. 그 현실에 어느 정도 적극 뛰어들어야 나의 죄책감이 좀 덜어지지 않을까 하는 지극히 이기적인 의도이긴 하지만. 적어도 그들의 고통을 담보로 나의 안위를 자족하고 연민이라는 감정을 느끼는 것으로 나는 참 괜찮은 사람이라고 착각하지 않으려 노력은 하고 있지만.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start.gif) |
|
|
|
우리가 타인과 공유하는 이 세상에 인간의 사악함이 빚어낸 고통이 얼마나 많은지를 인정하고, 그런 자각을 넓혀 나가는 것도 아직까지는 그 자체로 훌륭한 일인 듯하다. |
|
|
|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end.gif) |
이미지로 뒤덮인 세상은 우리의 감각을 무디게 만들고 특권적인 이미지가 실종하게 된다고 한다. 더 나아가 사람들은 이런 세상 속에서 스스로 이미지가 되기를 갈망한다. 현실은 위신을 잃어버렸고, 따라서 재현만이 남게 된다는 것.
이 책의 말미에는 그녀가 2003년 12월 독일출판협회 평화상을 받고 그녀가 행한 수상 연설 등을 포함한 몇 편의 에세이가 더 실려 있는데 그것에서 가져오고 싶은 수많은 문장들이 있다. 특히나 그녀의 수상 연설은 자국인 미국을 통렬히 비판한 아주 용기있는 지성인의 역할을 모범적으로 보여주어 심금을 울린다. 남을 욕하는 것은 쉽지만, 자기를 밖에 내놓고 비판하는 것은 평범한 사람에게는 참으로 어려운 부분이다. 특히 낡은 것과 새 것에 대한 그녀의 얘기는 그 하나로 아름다운 시구 같아 인용해 둔다.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start.gif) |
|
|
|
<중략> 낡은 것 안에는 우리의 과거, 우리의 지혜, 우리의 기억, 우리의 슬픔, 우리의 현실 감각이 모두 다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중략> 새 것 안에는 우리의 활기, 우리의 낙관 능력, 앞뒤 가리지 않는 우리의 생물학적 열망, 화해를 가능케 하는 치유 능력으로서의 망각 능력이 모두 다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
|
|
|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end.gif) |
또한 문학의 임무는 널리 만연된 경건함을 반박하는 것이며 또한 문학은 자유의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는 여권이라는 주장은 문학의 지평이 얼마나 치열하게 그러나 아름답게 확장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살아 있는 말들이다.
마지막으로 그녀의 목울대를 더듬으며 흩어져 나온, 결국은 그녀의 호흡같은 그녀의 말들. 그것으로 맺고자 한다.
현대의 희망, 현대의 윤리적 감수성에 중심이 되는 것은 비록 막아낼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전쟁은 탈선이며, 비록 얻기 어렵긴 하지만 평화는 규범이라는 확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