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슐러 K. 르 귄의 작품은 애석하게도 아직 단 한 편도 읽어보지 못했다. 그런데 이 기대 이상의 에세이집을 읽고 나니 그녀의 소설들이 궁금해졌다. 여든이 넘은 작가가 노년과 자신이 키우는 고양이와 사회의 각종 현안과 폐미니즘과 개인적인 경험을 너무 진지하거나 현학적이지 않게 그렇다고 개인적인 감상에 빠지지 않으면서도 읽는 즐거움까지 함께 주는 이야기에 흠뻑 빠졌다. 단 한 편의 글도 가볍거나 지면을 낭비한 감이 없다. 위대한 작가란 이런 것이구나 싶을 정도.
















노년은 누구든 거기까지 이르는 자의 것이다. 전사들도 늙는다. 나약한 이들도 늙는다. 사실상 개연성으로 따지면 전사들보다 더 많은 나약한 이들이 늙어가게 된다. 노년은 건강하고, 강인하고, 거칠고, 용감무쌍하고, 병들고, 허약하고, 겁이 많고, 무능한 사람들 모두의 것이다. 

-p.23


그 어떤 작가보다 그녀의 노녀에 관한 솔직하고 통찰력 있고 적나라한 이야기에 공감이 갔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말의 빈약한 논리, 노년을 부정하려는 시류에 대한 따끔한 지적, 그것은 "존재의 상태"이기에 부인하거나 부정할 수 없다는 이야기가 기억에 남는다. 나날이 허물어지고 잃어가는 것들에 대한 응시가 우울하지만은 않은 게 그녀 특유의 위트가 가득한 문장들 때문일 것이다. 어떤 어두운 이야기도 그녀에게서 나오면 특유의 밝은 에너지를 얻는다.


반려묘 파드에 대한 이야기는 파드 입장에서 인간을 바라보는 단편 소설 같다. 독특하고 득의양양한 고양이의 모습이 눈앞인 듯 그려질 정도다. "나쁜 발을 가진 착한 고양이"라니, 도저히 미워할 수 없는 장난꾸러기가 연상된다. 


지난 두 세기 동안 아주 오래된 남성적 기관들에 점점 많은 여성들이 진출해 왔다는 사실은 매우 훌륭한 변화이다. 하지만 여성들이 가까스로 자신들을 배척하는 기관에 발을 들여놓게 되면 십중팔구 남성들의 뒤치다꺼리를 하면서 남성적 가치를 강화하도록 강요받는다. 

-p.160~161

콕 집어 언어화할 수 없었던 불편한 진실의 적확한 표현이다. 여성들이 단지 남성적 기관에 많이 진출하는 게 성평등으로 향한 진보이자 발전이라 섣불리 단정지을 수 없는 대목이다. 그녀들이 거기에서 어떤 가치를 강화하도록 독려받고 때로는 강요받는지에 대한 냉철한 인식이 뒤따라와야 할 것이다. 여전히 남성적 가치, 가부장적 조직 문화에 동화하고 때로는 보조 역할을 하도록 저도 모르게 내몰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자각이 필요할 것이다라는 이야기. 


'내면의 아이'에 모든 힘든 일들의 원인을 귀결시키는 것의 태만함에 대한 지적도 날카롭다. 그것이 결국 게으름이 아니겠는가, 하는 그녀의 반문은 전적으로 동의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또 한편 그럴지도 모른다는 설득력을 갖는다. 


어슐러 K. 르 귄은 어느 하나 허술하게 보아 넘기지 않는 것 같고 일단 의심하고 두드려 보며 인식과 지각의 지평을 넓힌다. 무조건적 맹종, 맹신, 무비판적인 수용을 그녀는 그냥 보아 넘기지 않는다. 


그러나 이런 대목엔 웃음을 도저히 참을 수가 없다. 이렇게도 솔직하다니. 같은 직업군의 다른 이들을 시기한다고 때려주고 싶다고 이가 갈린다고 대놓고 얘기할 수 있는 그녀의 건강한 마음이 부럽다. 


질투는 노랑과 초록이 쌓인 그 더러운 코를 주로 작가로서의 내 삶에 들이댄다. 나는 찬사의 날개를 달고 성공을 향해 비상하는 다른 작가들을 시기한다. 그들의 작품이 내 마음에 들지 않으면 나는 그들과 그들을 칭송하는 사람들에게 모욕적인 분노를 느낀다. 허세 부리지 않아도 성공할 만한 재능을 가진 헤밍웨이를 걷어 찰 수 있으면 좋겠다. 허세 부리고 가식을 떤 대가로 말이다. 끝을 모르고 과대평가 받는 제임스 조이스의 작품은 뭐든지 이가 갈린다. 필립 로스의 안치소를 보면 화가 다 치솟는다. 

-p.219


그녀가 다음 주면 여든하나가 되기에 남겨둘 시간이 없다던 고백은 이 책의 제목이 되었다. 여든하나의 그녀가 하는 이 솔직하고 대담한 고백들은 단순히 사적인 차원이 공적인 메시지가 되어 반향을 불러 일으킨다. 좋은 에세이들이 가지는 힘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20-08-07 20:3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ㅎㅎ 브랑카님 노년에 대해 관심 많잖아요. 정말 흠뻑 빠져서 읽으셨겠는데요?
저도 르 귄은 아직 읽어보지 못한 작가입니다.
이책 저도 읽어보고 싶네요. 그녀가 세상에 없다는 게 아쉬워요.

blanca 2020-08-08 09:50   좋아요 1 | URL
ㅋㅋ 스텔라님, 맞아요. 글을 진짜 잘 쓰더라고요. 저는 그냥 스토리텔러라고 생각했었거든요. 뭐랄까, 대가의 느낌이 물씬 나는 에세이들이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