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절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60
임레 케르테스 지음, 한경민 옮김 / 민음사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적잖은 아우슈비츠 생존자들이 자신들의 참혹한 체험을 다양한 형식으로 증언했다. 그것은 회고담의 형식이거나 때로 허구의 형태를 띤 이야기로 세상에 나왔다. 많은 부분들이 때로 겹쳤고 상충되거나 서로 보완하여 완성되지 못한 그림을 마무리하기도 했다. 이미 이와 같은 많은 이야기들 속에서도  헝가리 작가 임레 케르테스의 자신의  소년 시절의 수용소 생활을 자전적으로 그린 <운명>은 세상에 충격과 더불어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십대 소년에게서 으레 기대하게 되는 뜨거운 이야기 대신 관조적이고 담담한 관찰자적 시선이 그려낸 나치의 만행은 역설적으로 더 잔인하고 비인간적인 폭력으로 느껴진다. 


"짧고 곧게 난 길은 아무 곳으로도 인도하지 않아. 또 하나의 길은 길고 굽이가 많아. 그래서 어디로 인도할지 알 수 없어. 그렇지만 적어도 그 길이 닿는 데까지, 사람들을 걸어간다고 느끼지. 그걸 기록해야 해."


그때 그 소년은 노인이 되어 <좌절>로 돌아온다. 글쓰는 일로 생계를 유지하지 못하는 늙은 작가는 아내의 노동에 기댄다. '그'가 "세상에 대한 대답"으로 눌러 쓴 이야기는 오랜 시간 응답을 받지 못한다. 어쩔 수 없이 하는 번역은 부수입이 아니라 그의 유일 실질적 수입원이 된다. 그는 "무너지는 법, 기다리는 법"을 체현한다. 노인을 관찰하고 묘사하는 시선은 어쩐지 서글프게 우스꽝스럽다. 그는 한심하고 무능력해보인다. "마지못해" 사는 그의 생활은 하지만 어쩐지 좀 고귀한 면이 있다. 그는 현재의 이 별스럽지 않은 삶, 초라한 일상과 증언하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극단의 폭력이 훑고 간 과거의 아우슈비츠의 어느 중간 쯤에서 끊임없이 어떤 부책감으로 서성인다. 이윽고 그를 훑던 시선은 어느새 시간의 불가역성을 뚫고 수용소의 소년에서 고국으로 귀향한 소년의 미래이자 노인의 과거의 모습으로 탈바꿈한다. 시선과 시점과 시제는 혼재되어 독자를 혼란스럽게 하지만 삶의 이야기는 사실 정합적이고 논리적이고 순차적으로는 도저히 이해될 수 없는 모순이기에 임레 케르테스의 기만은 옳다. 


"필연적이지 않은 것이 무엇입니까?"

"사는 것."


노인의 과거는 시대와 상황 앞에서 속수무책이지만 고고하다. 그는 "소비되지 않으려" 발버둥친다. 상부에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각종 압력 앞에서 그는 때로 어쩔 수 없이 순종하지만 결국 짐짓 미친 척하다 미쳐버림으로써 자신의 마지막 존엄을 사수한다. 기자, 기계공, 간수의 직분은 외부에서 주어지지만 결국 그가 지켜내는 것은 그 자신, 그 본질이다. 다시 돌아온 노인은 마침내 인간의 극악무도한 만행을 언어로 형상화해내고 자신의 과거를 언어로 재구성한 작가다. 


노인은 무력하지 않다. "좌절"은 하나의 은유일 뿐, 그의 실재가 아니다. 언뜻 패배한 이로 보이는 늙은 작가의 승리는 그러한 것이다. 자신의 삶, 그 자신의 운명을 묵묵히 살아낸 것, 그건 필연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