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 공화국의 종말 - 인재와 시험에 대한 생각을 바꿔야 대한민국이 산다
김덕영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7년 6월
절판


그렇다면 공교육이 부실하다는 말은 도대체 무슨 뜻인가?...
우리 한국인들이 공교육이 부실하다고 주장할 때,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은, 학교가 학생들이 주체적이고 자율적인 인격체로 사고하고 행위하는 의지와 능력을 제대로 키워주지 못한다는 사실이 아니다. 또한 그들은 학교 교육이 현대사회에서 필요한 가치나 규범을 제대로 전수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부실하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들은 학교 교육이 학생들의 지적 욕구를 제대로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부실하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고등학교 교육이 대학에서의 교육을 따라갈 지적 능력을 제대로 키워주지 못하기 때문에 부실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 모든 것들에 대해서 우리 한국인들은 조금도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한국 사람들이 공교육이 부실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대학 입시에서 찾아야 한다.-152-153쪽

대학이 일사분란한 서열을 갖게 되면, 고등학교 교육은 처음부터 명문대 인기 학과 합격을 지향하고 추구하게 된다. 전국의 모든 고등학교들은 그 자체로서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조금이라도 많은 학생들을 조금이라도 나은 대학의 조금이라도 나은 학과에 입학시킴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게 된다. 또 학생들 사이에 단 1점이라도 더 따기 위한 무한 경쟁이 생겨난다. 그리고 학교는 학교대로 학생들을 단 1점이라도 더 좋은 점수를 따도록 해주어야 한다. 이런 학교가 바로 이른바 명문 고등학교가 되는 것이다.
바로 여기에서 공교육의 부실이 발생한다... -153쪽

모든 학생들에게 똑같이 제공되는 학교 수업은 아무리 내용이 견실해도 불충분하고 불만족스러울 수밖에 없다. 이를 통해서는 나와 너 사이에 하등의 차이를 창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바로 이와 같이 누구에게든지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공교육은 부실하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한국의 학생들에게 그리고 학부모들에게 중요한 것은 어디까지나 나만이 홀로 좋은 성적을 거두는 것이지, 교육의 방식과 내용이 얼마나 좋은가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결국 이러한 상황이 사교육이 등장하게 되는 사회심리학적 배경이 되는 것이다.

cf. 이상 지금의 일제고사(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가 불러올 상황과 연결지을 수도-153-154쪽

대학에서는 단 한두명밖에 수강생이 없더라도 칸트, 하이데거에 대한 강좌를, 성리학에 대한 강좌를 개설해야 한다. 그리하여 진정한 토론식과 논술식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것이야말로 대학 이외의 그 어떠한 사회문화적 조직이나 공간에 의해 대체될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기업이 이를 대체할 수 있다면 대학은 굳이 존재할 근거나 의미가 없다. 역으로 만일 대학이 상품을 생산하고 이윤을 창출할 수 있다면 기업의 존재 근거와 의미는 퇴색하거나 없어질 것이다.
이와 더불어 시민 교양 수준의 강좌는 폐지해야 한다. 설령 수백명이 몰린다고 해도 말이다. 물론 수백명이 몰린다고 해도 말이다. 물론 대학 밖의 어디서 그런 강좌가 열리는지 홍보하는 포스터나 책자는 학생들을 위해 비치하는 것도 나쁘지 않지만 말이다. 대학생에게도 교양을 갖추는 것은 중요하기 때문이다. 다만 그것을 추구할 곳은 따로 있다는 것이다. 대학 밖 어딘가에!-162-16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류 몇 가지

p. 23 비판의 대립의 심했던-> 비판의 대립이 심했던  

p. 31 (Mialaret, 1985:4414)-> (Mialaret, 1985b:4414)

p. 38, p. 164 뷔송(Ferdin& Buisson)-> 뷔송(Ferdinand Buisson)  

p. 214 (Freinet, 1960)-> (Freinet, 1960a

p. 115, p. 116 (Freinet, 1990:55)-> (Freinet, 1990b:55)

p. 257  L'École Moderne Françcaise Dits de Mathieu

->L'École Moderne Françcaise  /Dits de Mathieu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부분의 공립학교 교사들은 시험이 진정으로 아이들의 학습 능력을 진단하고 아이들에게 가장 부족한 영역을 짚어준다면 시험에 반대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고부담 시험의 경우는 그렇지 못합니다.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고 아이들 생활과 직접 연관된 것은 거의 아무것도 알려주지 않습니다. 대신 아이나 학급, 학교에 '성공' 또는 '실패'의 딱지를 붙이는데 이용되지요."

"그러나 교육자라면 누구나 알듯이 시험을 통해서는 읽기나 쓰기나 그 외의 기본적인 기능을 가르칠 수 없습니다. 그 일은 오로지 노력하는 좋은 교사만이 해낼 수 있는 것이지요. 그리고 교사들에게 '전문가'의 어휘를 강요함으로써 그들의 주체성을 빼앗으려 하지 않을 때, 그리고 그들의 지성을 존중할 때에만 교사는 그 일을 잘 해낼 수 있습니다. 교사는 이런 미친 짓에 반대할 의지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최소한 교사는 자신이 담당하는 모든 아이들에게 고부담 시험은 기껏해야 어쩔 수 없이 참여해야 하는 고약한 게임일 뿐이며, 학생들의 지성과 인격, 그리고 잠재력에 대한 우리의 평가는 학생들을 만난 적도 없고 교육자도아닌 2천~4천 킬로미터나 떨어진 시험 성적 공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만들어낸 성적표의 숫자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려줘야 합니다.  

이렇게 무자비한 말까지 하고 싶지는 않았습니다만, 그러지 못한다면 교사는 교실에 남아 있어서는 안됩니다. 교사가 무능력하고 불안정한 윗분들의 터무니없는 명령에 비굴하게 항복한다면 이런 태도는 아이들에게 전염될테니까요. 이런 습관이 우리 아이들에게 전해지도록 그냥 묵인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 

여기서 고부담 시험은 영국이나 미합중국 등지에서 교육의 시장화 정책의 일환으로 시행하는 일종의 국가수준(혹은 주 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일제고사)임.;;  

코졸을 우리나라 전교조가 파견한 사람이라 할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제고사 반대 교사 7명 파면·해임…해직사태 후 처음 
일제고사 거부로 '해임' 징계를 받은 제 친구를 도와주세요
 [성명] 일제고사 대채 프로그램 실시교사 중징계처분 즉각 철회를 촉구한다

내말에 토다는 교사는 해임, 내가 싫어하는 책은 박멸, 애들은 시험노예, 학교는 시험공장, 이게 매일 아침 울려퍼지는 그 촌스런 라디오 광고에서 말하는 서울시 교육에 부는 신바람인가보다. 이건 연합뉴스가 내건 타이틀처럼 "'전교조'(만) 반발"할 사항이 아니란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스웨덴은 인간관계와 협동, 협상, 협력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그런 과제를 끊임없이 내주고, 필요하지 않을 것 같은 일에도 꼭 짝을 지어준다. 혼자 문제를 해결하는데 익숙한 나는 오히려 적응하기가 더 힘들었다. 나 자신에게는 의사를 물어볼 필요가 없지만 누군가와 협동을 하려면 다른 사람의 의견을 구해야 하기 때문이다. 조그만 일에도 협조를 구하고 의견이 부딪힐 때는 설득을 하거나 내 주장을 굽혀야 한다."

"...하지만 이곳에서는 이상하게도 자신감이 생긴다. 노력만 하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용기가 생기는 것이다..."

"노력과 열정이 있으면 네가 원하는 무엇이든 할 수 있다."

------------

이 말이 통하는 사회와 신화인 사회의 차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