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차이콥스키 : 발레 모음집 '백조의 호수 & 호두까기 인형'
차이콥스키 (Pyotr Ilyich Tchaikovsky) 작곡, 카라얀 (Herbert / Decca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수 왜곡의 역사 - 성서비평학자 바트 어만이 추적한
바트 D. 에르만 지음, 강주헌 옮김 / 청림출판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마음에 남는 재미난 얘기가 있는데- 성경은 다양한 관점과 입장과 의도를 가진 정체불명의 저자들이 n차적 기억에 의존하여 수 세기에 걸쳐 써 내려간 집단창작물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내용이 전혀 일관되지 않고 모순으로 점철되어 있으며 각 증언의 진위를 논하기도 난망하다는 것. 현대의 신자들은 거의 발췌독을 하게 마련이나 발췌독이라는 게 실상은 제 사상과 가치관에 들어맞는 부분만을 적극적으로 취사선택하는 작업이라서 결국 성경을 읽는다는 것은 거울로 제 얼굴을 들여다보는 행위와 다름없어진다는 것이다. 우리 눈에는 항상 보고 싶은 것만 보인다. 여기에 집단창작물인 성경은 자기가 보고 싶은 것은 얼마든지 볼 수 있는 모호하고도 방대한 자원으로 존재한다. 결국 백만 명의 독자에게는 백만 명의 예수님이 그려지게 되는 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먼나라 이웃나라 시대를 넘어 세대를 넘어 19 : 캐나다·호주·뉴질랜드 먼나라 이웃나라 시대를 넘어 세대를 넘어 19
이원복 지음 / 김영사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국 아무것도 없는 걸로 밝혀지고 말았지만, 그러하면 어떠랴, 19세기 호주인들의 호주 내륙(outback) 탐사의 여정은 그 자체로 한편의 드라마를 방불케 한다. 처음엔 호주인들도 해안 지역을 따라 정착했을 뿐 호주가 도대체 얼마나 큰 땅덩어리인지 가늠하지도 못했다고. 원주민의 습격을 비롯한 예상치 못한 난관 속에서 광활한 산맥, 황무지, 늪지대, 사막을 가로지르는 반세기에 걸친 수천 킬로미터의 도정은 그야말로 수많은 이들의 모험과 도전, 죽음과 실종, 피, 땀, 눈물 없이는 설명할 수 없는 도전과 응전의 역사였던 것. 대단하다. 참으로 집요한 인간의 모험심이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an's Search for Meaning (International Edition) (Paperback) - 『죽음의 수용소에서』원서
Viktor E. Frankl / Beacon Press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According to logotherapy, this striving to find a meaning in one's life is the primary motivational force in man. That is why I speak of a will to meaning in contrast to the pleasure principle(or, as we could also term it, the will to pleasure) on which Freudian psychoanalysis is concerned, as well as in contrast to the will to power on which Adlerian psychology, using the term "striving for superiority", is focused.


*


Everyone has his own specific vocation or mission in life to carry out a concrete assignment which demands fulfillment. therein he cannot be replaced, nor can his life be repeated. Thus, everyone's task is as unique as is his specific opportunity to implement it. As each situation in life represents a challenge to man and presents a problem for him to solve, the question of the meaning of life may actually be reversed. Ultimately, man should not ask what the meaning of his life is, but rather he must recognize that it is he who is asked. In a word, each man is questioned by life; and he can only answer to life by answering for his own life; to life he can only respond by being responsible. Thus, logotherapy sees in responsibleness the very essence of human existence. 

 


*

I wish to stress that the true meaning of life is to be discovered in the world rather than within man or his own psyche, as though it were a closed system. I have termed this constitutive characteristic "the self-transcendence of human existence." It denotes the fact that being human always points, and is directed, to something, or someone, other than oneself - be it a meaning to fulfill or another human being to encounter. The more one forgets himself -  by giving himself to a cause to serve or another person to love - the more human he is and the more he actualizes himself. What is called self-actualization is not an attainable aim at all, for the simple reason that the more one would strive for it, the more he would miss it. In other words, self-actualization is possible only as a side-effect of self-transcendence.  

*

Thus far we have shown that the meaning of life always changes, but that it never ceases to be. According to logotherapy, we can discover this meaning in life in three different ways: (1) by creating a work or doing a deed; (2) by experiencing something or encountering someone; and (3) by the attitude we take toward unavoidable suffering. The first, the way of achievement or accomplishment, is quite obvious. (...) The second way of finding a meaing in life is by experiencing nature and culture or, last but not least, by experiencing another human being in his very uniqueness - by loving him.   

*

Love is the only way to grasp another human being in the innermost core of his personality. No one can become fully aware of the very essence of another human being unless he loves him. By his love he is enabled to see the essential traits and features in the beloved person; and even more, he sees that which is potential in him, which is not yet actualized but yet ought to be actualized. Furthermore, by his love, the loving person enables the beloved person to actualize these potentialities. By making him aware of what he can be and of what he should become, he makes these potentialities come true. 

In logotherapy, love is not interpreted as a mere epiphenomenon of sexual drives and instincts in the sense of a so-called sublimation. Love is as primary a phenomenon as sex. Normally, sex is a mode of expression for love. Sex is justified, even sanctified, as soon as, but only as long as, it is a vehicle of love. Thus love is not understood as a mere side-effect of sex; rather, sex is a way of expressing the experience of that ultimate togetherness which is called love. 

*

We must never forget that we may also find meaning in life even when confronted with a hopeless situation, when facing a fate that cannot be changed. For what then matter is to bear witness to the uniquely human potential at its best, which is to transform a personal tragedy into a triumph, to turn one's predicament into a human achievement. When we are no longer able to change a situation - just think of an incurable disease such as inoperable cancer - we are challenged to change ourselves.

*

In fact, the opportunities to act properly, the potentialities to fulfill a meaning, are affected by the irreversibility of our lives. (...) For as soon as we have used an opportunity and have actualized a potential meaning, we have done so once and for all. We have rescued it into the past wherein it has been safely delivered and deposited. In the past, nothing is irretrievably lost, but rather, on the contrary, everything is irrevocably stored and treasured. (...) Thus, the transitoriness of our existence in no way makes it meaningless. But it does constitute our responsibleness; for everything hinges upon our realizing the essentially transitory possibilities.

*

In view of the possibility of finding meaning in suffering, life's meaning is an unconditional one, at least potentially. That unconditional meaning, however, is paralleled by the unconditional value of each and every person. It is that which warrants the indelible quality of the dignity of man. Just as life remains optentially meaningful under any conditions, even those which are most miserable, so too does the value of each and every person stay with him or her, and it does so because it is based on the values that he or she has realized in the past, and is not contingent on the usefulness that he or she may or may not retain in the presen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Great Gatsby (Paperback, 미국판) - 『위대한 개츠비』원서
F.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 Scribner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무리 돈 많아도 근본 없이 그들만의 리그를 넘봤다가는 파멸에 이르고 만다는, 문화자본의 무시무시함을 보여주는 이야기. 가문이나 학벌 같은 것도 좀 번듯한 종류로 갖추고 있어야 하고, 특히 대화할 때는 자꾸 Old sport라는, 이봐 형씨 쯤 되는 이상한 말 같은 건 절대 쓰질 말어야 한다고. 그런 디테일을 챙기지 못했을 때 이카로스 날개의 밀랍은 녹기 시작하는 것이다. 꿈 많은 졸부를 함부로 끼워주지 않는, 카프카의 성처럼 견고한 이 세계에서는. 


읽으면서 드는 의문들. 개츠비는 왜 ‘위대’한가? 감탄인가 조롱인가. 웨민쥔의 웃는 사람 그림처럼, 한없이 웃고 있다 보니 별안간 꺽꺽 우는 것만 같아 흠칫해서 다시 들여다 보면 또 여전한 함박웃음에 잠겨 있는, 그런, 웃는 것인지 우는 것인지 도통 모를 great인가. 작중 화자는 개츠비에 대해 졸부 특유의 서툴고 천박한 구석까지도 흡사 보고서를 쓰듯 초연하고 건조하게 적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애틋함과 측은함을 감추지도 않는다. 그러니까 그 사이 어디쯤의 great일 듯.

또 하나, 데이지는 나쁜 년인가? 글쎄, 그런 면도 분명히 없지 않지만, 한편으로는 그런 판단 자체가 어쩌면 ‘여알못’의 남성 시각적인, 관점주의적인 것인지도. 이 여자는 전형적인 히스테리성 주체 같다. 라캉이 ‘성적 관계 같은 그런 것은 없다’고 선언했을 때 거론했던 그 여성적 범주의 주체. 개츠비가 강박증적으로 ‘넌 이것을 원하지? 원할 것임에 틀림없어! 원한다고 말해!’ 하며 다그치는 식이라면, 이 여자는 자기도 자기가 뭘 원하는지 모른다. ‘종잡을 수 없음’이야말로 그녀의 매력이자 한계이며 또한 그녀의 고통이리라.

워낙에 ‘여잘알’인 그녀의 남편 탐은 신기하게도 그녀의 이런 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다. (“The trouble is that sometimes she gets foolish ideas in her head and doesn't know what she's doing” -131쪽) 그녀가 안다는 사실을 나는 안다고 말하는 개츠비와 달리, 그녀가 모른다는 사실을 나는 안다고 말함으로써, 그 모든 인간적 결점에도 불구하고 탐은 그녀의 짝이 될 자격을 얻는다. 어떤 면에서 그는 정말로 현자인 것이다. (“He nodded sagely.” -같은 쪽)

그러나 종잡을 수 없는 바로 그 점 때문에, 데이지는 탐과 짝을 이루면서도 또한 결코 탐과 묶이지 않는다. 그녀를 단순히 투박하게 속물적 인간으로 분류해 버리면 탐과 겹치지 않는 그녀의 여분은 조명되지 않은 채로 묻혀버릴 것이다. 만약 소설의 화자가 데이지였다면 어땠을까? 사건을 입체적으로 구성하는 또 다른 진술을 들려주지 않았을까? 그리고 어쩌면 우리는 그 미지의 진술에서 그녀가 ‘나쁜 년’도 ‘뭘 모르는 년’도 아니었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게 될 지 모른다.


이렇게 다른 시점의 가능성에 대해서 상상해 보게 되는 이유는, 이 소설이 애당초 하나의 작은 핀홀을 통한 특정 각도의 그림만을 제한적이고 부분적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화자가 시종 냉철하고 절제된 태도를 취하며 객관적 보고자를 자처하는 듯 하나 그도 역시 간과하고 있는 게 하나 있다. 남녀 사이에 아이가 있다는 것은 그 자체로 돌이킬 수 없는 평생의 결탁이며 이미 모종의 공모 관계가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여주인공의 캐릭터 말고도 상투적인 요소들이 상당한 이 소설을 식상하지 않게 만드는 힘은 무엇일까. 서사의 전달 방식이라든가 박진감을 자아내는 정교하고도 극적인 장치들 그러니까 이야기를 매혹적으로 조립해 나가는 기술, 피츠제럴드의 내밀한 고백처럼 들려오는 작중 화자의 상념들, 절제된 서술 속에 깃든 인간 심리와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시선, 또 머릿속에 생생하게 그려지는 이런 간결하고도 아름다운 장면 묘사에도 지분이 있을 것이다.

We walked through a high hallway into a bright rosy-colored space, fragilely bound into the house by French windows at either end. The windows were ajar and gleaming white against the fresh grass outside that seemed to grow a little way into the house. A breeze blew through the room, blew curtains in at one end and out the other like pale flags, twisting them up toward the frosted wedding-cake of the ceiling, and then rippled over the wine-colored rug, making a shadow on it as wind does on the sea.

The only completely stationary object in the room was an enormous couch on which two young women were buoyed up as though upon an anchored balloon. They were both in white, and their dresses were rippling and fluttering as if they had just been blown back in after a short flight around the house. I must have stood for a few moments listening to the whip and snap of the curtains and the groan of a picture on the wall. Then there was a boom as Tom Buchanan shut the rear windows and the caught wind died out about the room, and the curtains and the rugs and the two young women ballooned slowly to the floor. -8쪽


이 대목을,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주연의 2013년작 영화에서는 그야말로 꿈결같이 구현해 놓았다. 나중에 탐이 커튼을 수습한 뒤 창문을 쾅 닫아버리는 순간까지도. 이 외에도 오로지 피츠제럴드만이 쓸 수 있을 법한 인상적인 구절들이 많다.


"If it wasn't for the mist we could see your home across the bay," said Gatsby. "You always have a green light that burns all night at the end of your dock." Daisy put her arm through his abruptly but he seemed absorbed in what he had just said. Possibly it had occurred to him that the colossal significance of that light had now vanished forever. Compared to the great distance that had separated him from Daisy it had seemed very near to her, almost touching her. It had seemed as close as a star to the moon. Now it was again a green light on a dock. His count of enchanted objects had diminished by one. -93쪽


이 부분도 그 함축하는 바가 예리하게 느껴진다. 개츠비가 멀리서 늘 열망해왔던 초록빛은, 정작 원하던 것을 손에 넣었다고 확신한 순간 공교롭게도 그날따라 짙은 안개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게다가 그는 지금 옆에서 데이지가 팔짱을 끼는 것도 모른 채 자기가 한 말에 취해 있다. 이 무슨 양자역학의 역설(?) 같은 상황이란 말인가. 피츠제럴드는 판타지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정확히 꿰뚫고 있다. 그는 우리가 어떻게 판타지로부터 미끄러지는지를, 그 불가피하고도 불가해한 어긋남을 정확하게 포착한다. <위대한 개츠비>는 결국 이 어긋남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동부 드림이든 세이렌 같은 여자에 대한 드림이든.  


번역에 대한 얘기를 안 할 수가 없다. 랙 걸린 문장이 한 두 개가 아니지만 초반부에 제일 어려웠던 문장: The wind had blown off, leaving a loud, bright night, with wings beating in the trees and a persistent organ sound as the full bellows of the earth blew the frogs full of life. 큰 소리 나는 밝은 밤을 남겨둔 채로 바람이 가라앉았다. 무슨 소리냐 하면- 나무에서는 날개들이 부딪치는 소리, 대지 가득한 풀무(오르간 칠 때 밑에서 밟는 바람넣는 기구)가 개구리에게 넘치는 생명력을 불어넣을 때마다 계속되는 오르간 소리(=수많은 개구리들이 우는 소리로 대지에 생명력이 가득함).

이게 한국어 한 문장으로 번역이 가능한가. 가능하다. 시사영어사 영한대역 문고본에선 이렇게 풀어놓았다. “바람은 가라앉았고 나무에서는 새들이 푸드득거리는 소리, 땅에서는 개구리들이 대지의 풀무로 생명을 들이마시는 풍금 같은 소리가 요란히 들리는 휘영청 밝은 밤이었다.” 정확하긴 하지만 원문을 참조하지 않은 상태에서 번역된 문장만 읽어보면 좀 의아하게 와닿지 않을까. 대지의 풀무로 생명을 들이마시는 풍금 같은 소리라니, 이 무슨 풀 뜯어먹는 소리란 말인가.

문학동네 김영하 번역본은 이렇다. “바람이 지나간 자리에 시끌벅적하고 활기찬 밤이 남겨졌다. 나무들에서 날개가 부딪치고 자연이 빚어내는 끊임없는 오르간소리가 땅속에 잠들어 있는 개구리들에게 생명을 불어넣고 있었다.” 오르간 소리가 곧 개구리 울음이라고 생각한 나에게 이 문장은 더 의아할 뿐만 아니라 애당초 선선한 여름밤에 개구리가 왜 땅 속에 잠들어있는지도 모르겠지만 어쨌든 문장 만큼은 매끄러워 보인다.

매번 절감하지만 영문학 작품은 참 어렵다. 시적이고 서정적인 배경 묘사, 도치된 문장, 완곡어구, 생략된 문장 구성 성분, 암시하는 속뜻이나 뉘앙스, 장면의 분위기와 인물의 태도 등등을 정확하게 알아채기 어려우니 두터운 안갯속을 더듬어 나아가는 기분. 이 소설도 문학동네 김영하 번역본과 시사영어사 영한대역문고본(황당하게도 3,5,6장이 줄거리 요약으로 대체되어 있어 부득이 김영하 번역본으로 갈아탐)에 의존해서 겨우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