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녀는 왜 나무꾼을 떠났을까 - 옛이야기를 통해서 본 여성성의 재발견
고혜경 지음 / 한겨레출판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때 선녀와 나뭇꾼의 얘기를 들으면서 늘 궁금했었다.
선녀는 왜 나뭇꾼을 떠났을까?
이야기속에서 선녀는 나뭇꾼이랑 아들딸 잘 낳고 살다가 왜 왜 말이다.
어린아이는 언제나 해피엔딩을 바란다.(적어도 나의 어린시절은 그랬다.)
그리고 그 해피엔딩은 언제나 두사람은 영원히 행복하게 잘살았습니다였다.
그런데 그 해피엔딩을 버리고 나뭇꾼을 버리고 하늘로 날아가버리는 괘씸한 선녀라니....

그런데 어른이 되어서 보는 전래동화는 다르다.
나뭇꾼은 무작정 선녀의 옷을 훔쳐버림으로써 선녀에게 어떤 선택권도 박탈했던 것이다.
선택권이 존중되지 않은 삶,
또한 백번 양보해서 그것이 사랑을 호소하기 위한 절박한 요구에서 유일한 대안이었다고 생각해준다 해도,
이후에 나뭇꾼은 천상을 날던 선녀의 삶을 존중해준 흔적은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
일방적인 강탈로서의 사랑은 아마도 선녀를 숨막히게 했으리라....
그래서 선녀는 당연히 날개옷을 보자마자 자신의 삶을 찾아 떠난 것이다.
선녀에게 박수를.....

어찌보면 우리 옛사람들, 옛 여인들의 맘속에 이런 설화가 살아남아있다는 것이 신기할 정도이다.
가부장제라면 세계 어디에 내놔도 빠지지 않을 우리 민족 아닌가?
가부장제를 뒤흔들고 조롱하는 선녀에게, 그리고 이런 이야기들을 놓치지 않고 후대에까지 기어이 물려주고 마신 할머니들에게 또한 박수를......

우리가 익히 알고있는 서양동화들을 새롭게 해석하고 분석하는 글들은 꽤 나왔었다.
그런 글들을 읽으면서 늘 가지는 아쉬움은 왜 우리 동화에는 이런 분석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거였다.
그런데 드디어 나왔다.
어렵지 않게 옛이야기를 조근 조근 풀어내며 이야기의 다른 측면들을 신나게 풀어내는 마당이 열린거다.

심청의 얘기는 우리가 어린시절 들었을땐 언제나 효녀심청이였다.
어른이 되면서 과연 그것이 정말 효일까라는 생각은 했지만 그 뿐.
심청은 강요된 규범을 수동적으로 받어들이는 존재였지만
연꽃으로 다시 태어난 심청은 참 자신의 발견으로 자기 안에 만개한 생명의 힘을 마음껏 발하는, 기쁨과 신비로 충만한 완전한 여성으로의 탄생인 것이다.
이 여성성이 바로 심봉사의 눈멈으로 상징되는 어둠의 세계, 야만의 세계를 치유하는 힘임을 깨닫는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이야기는 해님달님 이야기의 해석이다.
오누이가 오두막이라는 공간을 탈피하여 강제적이고 폭력적인 형태로 성장의 통과의례를 지내는 것으로 이야기를 해석하는 것은 참 수긍이 갔다.
또한 그 과정에서 오누이만이 성장통을 겪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 역시 호랑이에게 잡아먹히는 것 같은 고통을 겪으면서 자식을 놓아주어야 한다는 해석 역시 의미심장했다.
사회 전체에 의한 통과의례가 사라지면서 제대로 어른이 되는 과정을 겪지 못하는 지금의 아이들에게 우리가 무엇을 해줘야 할까를 고민하게 만든다고나 할까?

또한 계모로 상징되는 나쁜 엄마로서의 이미지가 한 여성이 지니는 이중적인 측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해석은 나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준다.
그래 나는 좋은 엄마이기도 하지만 나쁜 엄마이기도 해.
죄책감 가지지마 모든 엄마들이 다 그렇게 아이를 키우고 있다는걸 모르겠니?
그냥 인정하면 돼
인정함으로써 그 불편한 감정들에 정확하게 이름을 붙여보면 오히려 이런 감정들의 지배를 덜 받게 될거야.
계모의 마술을 푸는건 나쁜 엄마로서의 너의 감정을 자연스런 감정이라고 인정하는데서 부터 시작하는거야.

고혜경씨의 글을 읽으면서 처음에는 조금 과한 해석이 아닌가 고개를 갸웃거리고,
중반쯤에는 아하! 이런 면으로 생각할수도 있구나 탄식하고,
종반에는 내 속의 상처를 치유하는 느낌!!
작가와 함께 내 안으로의 여행을 아주 홀가분하게 한 느낌을 가지게 된다.

--------------------------------------------------------

아주 맘에 드는 책이었지만 아직은 모든 의견들이 삶에 완전히 밀착한 느낌보다는 추상적이라는 느낌이 많이 남아 별 하나를 뺀다.
하지만 우리의 이야기를 여성의 입장에서 서술하는  본격적인 첫걸음이 떼어졌다는 점에서 이 책은 충분히 의의를 가질 수 있으리라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