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과 유진 푸른도서관 9
이금이 지음 / 푸른책들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아이들이 커면서 큰 상처없이 크길 바라는건 모든 부모들이 소망이자 어른들의 소망이기도 하다.
하지만 내 아이에게 그런 큰 상처가 생겨버렸다면....
그것도 유아 성폭행이라는 어마어마한 상처가....
생각하기도 싫은 일이지만 매일 TV뉴스는 그게 남의 일이 아님을 전해준다.

읽는 내내 마음이 아팠다.
아마도 내가 자식을 그것도 딸을 키우기 때문이리라....
이야기는 소설이라고 얘기하기에는 너무도 현실적이어서 남의 일처럼 느껴지지 않았다.

내 아이에게 상처가 생긴다면 나는 어떻게 할까?
아이가 넘어져 무릎이 까졌다고 그 상처를 잊게 하는 부모는 없을 것이다.
많이 아팠지 다독거리며 약을 발라주고 아이를 달래줄 것이다.
마음의 상처라고 해서 다를까?
감추고 없었던 것으로 기억의 저편에 묻어버리고 한다고 한 번 생긴 상처가 없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상처는 상처대로 드러내어 대면하게 하고 약을 발라주고 치료해준다면
희미한 흉터는 남겠지만 그 상처는 그런대로 아물어 갈 것이다.
마음의 상처라고 해서 다를까?

작은 유진의 할머니가 유진에게 하는 말은 힘들더라도 상처에 대해 우리가 어떻게 대해야 할지를 가르쳐준다.
"니가 그 일을 기억 못해서, 느이 식구들은 영영 그러길 바랬지만 나는 내내 걱정이었다. 늙어서 노망난 것도 아닌데 파릇파릇하니 자라는 것이 지가 겪은 일을 기억 못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했단다. 다 알구, 그러구선 이겨내야지. 나무의 옹이가 뭐더냐? 몸뚱이에 난 생채기가 아문 흉터여. 그런 옹이를 가슴에 안구 사는 한이 있어두 다 기억해야 한다고 생각했단다"

아이들이 스스로 자신의 상처를 이겨낼 기회를 박탈하는건 어른의 몫이 아니다.
그 상처를 이겨내는건 아이들의 몫이겟지만,
어른 역시 상처를 이겨내야 하면 아이들의 그런 과정을 도울 의무가 있을 것이다.
그것이 아무리 아프고 힘겨웁다 할지라도....

어쩌면 한편에서 무식해보이고 별 교양없어 보이는 큰 유진의 부모가 그러했던 것 처럼 말이다.
아이보다 먼저 부모가 고통을 회피해버리려고 하는건
아무리 아이를 위한 길이라 변명해도 역시 어른 자신이 고통을 대면할 용기가 없어서가 아닐까?
부모는 용감해야 한다.
또한 세상의 모든 어른들이 용감해야 한다.
책속에 여성운동가로 나오는 유진의 남자친구 건우의 엄마와 같은 위선은 아이들 두번 죽이는것일게다.

이 험한 세상을 살아가는 부모들이 꼭 한 번 읽었으면.....
우리 아이들이 약간의 도움만 받는다면 얼마나 강하고 아름답게 성장할 수 있는지를 알아줬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