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 기생뎐
이현수 지음 / 문학동네 / 2005년 9월
평점 :
기생이란 말은 늘 아릿한 슬픔을 동반한다. 동지섣달 긴긴밤을 홀로 기다리는 모습에서도 그러하고 심지어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감을 자랑마라라는 빈정거림에서도 그러하다. 하물며 21세기 이 시대에 아무도 있는줄도 모르는 기생의 존재야.....역사속에 그저 이름없이 접혀져버린 그네들의 존재가 마지막 숨을 몰아쉬는 것 같아 더더욱 그러하다.
악바리처럼 부용각을 지키는 타박네나, 기생팔자를 한없는 묵인과 수용으로 안아내는 오마담이나 둘다 그 숨소리가 마치 마지막인것 같이 가빠 보이는건 마찬가지다. 이 둘은 이 시대 마지막 기생이자 기생집 부엌어멈이다. 세상 사람들의 잣대로 잘 풀려나갔다면 타박네는 전통문화 전수자쯤 되어 깃발을 날릴수도 있었을 것이고, 오마담은 인간문화재쯤 되어 역시 잘 나갔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애저녁에 그런 세상사 공명에는 관심도 없고 오로지 기생집과 기생의 본분을 그저 팔자려니 하며 묵묵히 감내해온 그들에게는 더더욱 애잔함이 진하게 배어나온다. 그런 그들에게 부용각은 단순한 기생집이 아니라 마지막 버팀목이자 마지막 자존심이리라.... 정성을 다해 쓸고 닦고 가꾸며 부용각을 지켜나가는 그들의 삶은 한편으로 애잔하지만 그 애잔함이 세상을 버텨내는 힘이 되기도 하리라.....
세상에서 잊혀지고 소외되어 사라질 인간들의 마지막 그림이라고나 할까? 신기생뎐은 글로서 다가오지 않고 그림으로 다가온다. 손에 잡힐듯한 부용각의 지붕과 처마, 초칠을 해서 반들반들한 마루짝. 음식냄새 물씬하게 풍기는 부엌의 모습들. 그리고 그 속에서 부대끼고 살아내고 있는 기생들의 조심스런 때로는 억척스러운 발자국 소리. 치마 스치는 소리..... 한편의 그림이 이렇게 완벽하게 그려지는 소설을 얼마만에 만난걸까?
누구하나 버릴 인물없이 마음이 가고 애잔함이 더해지는 부용각의 사람들의 모습이 하나씩 둘씩 제 자리를 찾으며 그림이 완성되어간다. 책장을 덮고 내용이 잊혀지더라도 지금 내 마음속에 그려진 이 부용각의 그림은 아마도 오랫동안 잊히지 않고 가만 가만 내 마음을 흔들듯하니.... 늘 그 애잔함이 마음에 남아 있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