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장 - 인간, 거짓말과 기만의 천재

인문학이든 자연과학이든 일단 시작은 '구라'에서 시작한다. 과학은 반드시 입증의 책임앞에 서야 하고 인문학적 이야기는 그런 엄격한 입증을 요구받지 않는다는 차이는 있지만.....

인간사회 모든곳에서는 신화가 존재하고 어차피 신화라는 것 자체가 '구라'로 존재한다. 하지만 그 구라가 잘못쓰일때- 즉 지배세력의 사회체제를 정당화하거나 정치적 생존과 지배의 전략으로 사용될 때 그것이 미치는 파급효과는 치명적이다. 유대인들의 신화가 시온주의의 배경이 되고 인도의 거인신 신화가 인도의 계급제도의 기초가 되는 것과 같이.... 그런데 곤충세계에서도 개미사회에 그런 개미행세를 하는 곤충들이 엄청 많은데도 개미사회가 무너지지 않는걸 보면서 인간사회나 개미사회나 세상의 충격을 막아내는 점에서는 탁월하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뇌 발달 과정에서 특이한게 '자기 기만'인데 이건 대표적인 경우가 '난 할 수 있어' '하면 된다'같은 것. 누가봐도 못할 일인데 스스로에게 하면 된다고 하고, 때때로 가끔은 해내는 경우.  세계를 정확히 파악하는 분명한 의식체계를 발전 시키는 것이 아니라, 틀린 그림을 그려놓고는 그 그림을 정확한 그림이라고 생각하도록 자기를 속이는 능력. -자연계 역시 동물들의 신호체계에 있어 이러한 기만술이 가득하다는 것은 결국 인간과 자연계 모두의 기만술은 자연선택이 갈고 닦은 적응, 번식, 생존술의 일부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신화와 과학의 관련성 - 자기들이 처해있는환경과 상황을 명확하게 이해함으로써 더 강력한 신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이 탄생할 것이고, 결국 이것은 과학의 필요성으로 나아가지 않았을까?

7장 - 예술과 과학, 진화인가 창조인가

예술의 탄생에 대한 담론 - 구석기인들의 동굴벽화의 예

고래의 습성을 치밀하게 알지않고서는 그릴 수 없는 그림들이 발견되나 중요한 것은 누가 왜 그렸냐인데 그 점에 대해서는 인문학이나 생물학이나 속시원한 대답이 없다.(상징 문법의 상실)

생물학에서는 예술에 대해 자연선택이 아닌 '성선택에 의한 진화'라는 관점을 제시. -공작 수컷의 화려한 꼬리깃털은 자연선택의 관점에서 보면 불리하지만 성선택의 관점에서 유리함으로 인해 진화해 왔다는 것.

인간에게도 성선택설이 적용될 수 있을까? - 그림 잘그리는 사람이 구석기 시대에 성선택에서 유리했다고 보기는 힘들다. 그외 신, 죽음, 조상 이런 문제에 대한 해답도 성선택설로는 설명이 힘들지 않을까?

결국 이런 근본적인 질문은 정답이 없음으로 해서 오히려 이런저런 생각을 촉발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예술의 기원에 대해서도 여러가지 설이 제기될 수 있는데, 인문학에서는 놀이설, 제의설, 실용설 등등...진화생물학에서는 성선택설 뿐만 아니라 ''줄달음 선택".-도저히 실용적이지 못할 것 같은 예술 행위도 처음에는 별로 대단찮은 것에서 시작했다가 갑자기 고비가 풀리면서 그 방면으로 확 진화하는 것 같은 것. 하지만 인문학쪽에서의 반발은 이러한 줄달음 선택도 자연계가 아닌 인간들 사이에서는 생물학적 원인이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환경이 원인이 되어 일어날 수도 있다. 즉 성선택에 개입하거나 그걸 제한하는 문화제도들이 인간사회에서는 너무 많다는 것.

과학 역시 최재천씨의 경우 두뇌가 진화의 산물인 이상 과학도 진화의 사물로 볼 수 있다. 우리 두뇌가 과학적인 사고를 할 수 있게 되고 그렇다면 그런 사고를 잘하는 인간 집단이 그렇지 못한 집단에 비해 진화의 역사를 통해 더 성공적이엇을 거라는 논리가 가능하다. (그런데 이런 논리를 사회로 확장하면 좀 문제가 있을 듯...) 어떻게 보면 또 이런 논리는 하느님이 과학을 하게끔 인간을 만들어 놨기 때문에 과학이 필연이라는 말과 별로 다를바가 없는게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