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읽기는 힘이 세다 - 지치지 않는 독서교육을 꿈꾸는 보통 교사들의 새로운 교실이야기 배우는 사람, 교사
경기도중등독서교육연구회 지음 / 서해문집 / 2014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에서 우리는 우리가 직접 해본 수업만 이야기 햇다. 보통의 교사들이 정규 수업시간에 학생들과 같이 한 사례를 모았다.

화려한 독서교육 모형이 이 책에는 없다. .... 우리는 아무나 할 수 있는 독서교육을 하려 했다.

사회구조를 문제삼으며 교육 불가능성을 탐색하기보다, 현재의 교육 환경에서 교사 한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에 초점을 두었다.

우리는 우리가 교실에서 실천하며 겪은 어려움을 기록하고, 실패를 고백하고, 그 실패속에서 찾아낸 성공의 길을 정리하려 했다.     --머리말 중에서 발췌

 

해마다 수많은 교육청의 수업모형과 수업연구 성과들이 쏟아지지만 실제 교육현장에서 외면받는 이유가 사실상 저 머리말에서 모두 설명이 된다.

즉 저 반대로 하면 딱 교육청 주도의 수업모델이 된다는 얘기다.

교육청의 각종 연구성과들은 대부분 교사들의 승진 점수와 연계되어 있고, 따라서 항상 단기간의 성과나 밖으로 보이기에 그럴싸한 이론적 배경을 갖추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 폼이 나야 한다.

 

하지만 교육은 절대로 폼이 날 수가 없다.

어떤 교육방법도 100%의 아이들을 만족시킬 수 없다.

다만 좀 더 많은 아이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을 끊임없이 탐구하고 적용하는 과정일뿐이다.

이 책의 저자들이 공통적으로 공유하고 있는 출발점은 바로 이 사실을 인정하는 것에서라는 점에서 정당한 출발선에 서있다.

또한 요즈음의 교육현장에서 무엇이 가장 큰 문제인가를 진단하는데서도 올바른 출발점, 즉 교사와 학생의 소통의 어려움이라는 현실에서 제대로 출발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이 거시적인 교육문제를 다루지 않는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 책의 고민의 대상은 미시적인 교실 현장이므로....)

 

실제로 학교에서 아이들과의 소통의 문제는 심각하다.

이것은 단순히 수업의 기법이나 내용의 문제가 아니다.

아이들은 자신이 살고있는 사회의 현실을 논리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것이지 모르는 것이 아니다.

가정에서, 사회에서 부모들이 겪고있는 불평등과 무기력과 희망의 부재를 머리가 아니라 온몸으로 체현하고 있다.

그것이 교실에서의 무기력으로, 교우관계에서 폭력적인 성향으로 나타나는 것이 교실붕괴니, 학교폭력이니, 중2병이니 하는 것들이다. 이들은 부르는 명칭만 다를뿐 그 본질에 있어서는 동일하다.

 

이 책의 교사들이 함께 읽는 책읽기를 하고자 하는 출발점이 바로 여기이다.

수업내용 아니 수업 자체에 아무 관심이 없는, 이 수업이 자신의 미래를 만드는데 어떤 역할도 하지 못하리라는 것을 이미 체현하고 있는 아이들에게 어떻게 말을 걸고 아이들이 자신들의 얘기를 하게 만들것인가?

소통의 물꼬는 일단 한번 트이면 흘러가게 되어있다.

치명적인 실수가 아니라면 막히지 않는 것이다.

항상 시작이 어렵고, 그래서 시작이 중요하다.

함께 읽는 책읽기는 바로 그 시작을 할 수 있는 지점을 마련해준다.

 

이 책의 교사들을 보면서 힘을 얻는다.

그것은 이들이 훌륭해서가 아니라 나와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실제의 모습이 보이기 때문이다.

다양한 과목에서 각 과목에 맞는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된 독서교육의 사례들을 보며 나에게 맞는 방식을 구성한다.

어느 한 교사의 방법이 절대적일 수 없다.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는 교사들의 경험을 따라가다보면 내게 맞는, 내가 할 수 있는 방법들의 생각이 모인다.

1월 2월은 다음 해의 수업을 고민하는 시기다.

이 시기에 읽게 되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당장 올해의 수업계획에 독서를 어떻게 배치할지, 고민의 줄기와 전체 방향을 잡아나갈 수 있었다.

아마도 올해 나의 독서수업은 그리 큰 성과를 낳지는 못할 것이다.

하지만 교육은 쌓아가는 것이다.

조급하게 생각하지 말고, 성과를 바로 바라지 말것이며, 천천히 한걸음을 내딛으면 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