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고반점 - 2005년 제29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한강 외 지음 / 문학사상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소설은 읽으면 할 말이 너무 많아(좋은 의미든 나쁜 의미든) 말을 아끼기 위해 고심하고, 어떤 소설은 도대체 무슨 말을 해야 하나 싶어 고심하게 된다. 이 책은 아쉽게도 후자에 속한다. 딱히 나쁘지는 않으면서 그렇다고 썩 좋지도 않은.... 누군가 읽는다면 별로 권하고 싶지도 그렇다고 읽는다는데 말리고싶지도 않은 그런 책....이런걸 평범하다고 하겠지.

수상작인 한강의 몽고반점 - 심사위원들의 평가는 진정한 예술의 의미에 대한 탐구 운운 이었던 것 같은데 난 별로 그리 읽히지는 않았다. 예술을 매개로 한(핑계로 한?) 형부와 처제간의 정사라는 좀 선정적인 소재(이것도 소설이나 영화의 세계에서는 아마도 상당히 우려먹은 소재다. 현실에서도  아주 없는 것도 아닌 것 같고)를 통해 작가는 예술의 탄생과정을 이야기 하고 싶었던 듯한데(물론 작가의 진짜의도야 내가 알 수 없는거지만).... 솔직히 예술에 대한 이야기로는 잘 읽히지 않았다. 오히려 남자주인공이 내게는 우리 주변에서 너무나도 흔한 자신의 성적 욕망을 만족하기 위해 스스로를 정당화시키는 무수히 많은 남자들을 상기시켰다. 그 정당화의 도구야 예술일 수도 있고 연민일 수도 있고 또는 남들도 다 이래라는 자기 위안일 수도 있고... 결국 작가가 자신의 의도를 나에게 관철시킬 만큼 소설의 설득력이 떨어졌다고 밖에 얘기할 수 없겠지...

오히려 몽고반점 보다는 나의 공감을 불러일으킨 건 한강의 다음 이야기인 아기부처였다. 만약 내가 심사위원이었다면 이 글을 오히려 수상작으로 선택하지 않았을까 싶다. 어렸을 때의 화재로 온 몸에 화상 상처를 안고사는 남자와 그의 상처를 연민에 차 바라보면서도 마음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그의 아내의 아픔과 상처가 같이 공감되는 글이었다. 세상을 살아가면서 나의 의도나 생각과는 다르게 얼마나 많은 상처를 타인에게 주고 사는지... 그 상처를 온전히 안을 수 없을 때 또한 스스로가 안아야 하는 상처의 부피까지.... 섬세한 심리묘사로 그 둘의 아픔이 오롯이 느껴지는 글이었다.

그외 글들은 페이지는 잘 넘어가나 나의 생각이나 시선을 오래 붙들기에는 좀 평범하다 싶다. 사실 가장 큰 기대를 건건 박민규의 갑을 고시원 체류기 였는데 그래서 책을 펴자마자 가장 먼저 본 글도 이거였다. 물론 여전히  유머로 상처를 감싸안는 박민규식의 글이 살아있고 그의 세상에 대한 독특하고 슬프면서도 따뜻한 시선이 느껴지는 글이었지만 기대가 커서인지 그저 좀 평범한게 아닌가 싶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무비 2005-06-22 11: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와 감상이 아주 비슷하시군요.^^

바람돌이 2005-06-22 1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런가요? 저야 영광이죠 뭐...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은 그래서 반갑고,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은 '아 그런면도 있구나' 싶어 반가워요.
알라딘의 즐거움인 것 같아요 ^^ 님의 리뷰 기다리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