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천무후 - 상
샨 사 지음, 이상해 옮김 / 현대문학 / 2004년 10월
평점 :
품절


누가 말하지 않더라도 인류의 역사는 남성이 주도한 역사였다. 아니 그런 것처럼 보인다. 그런 속에서 여성 통치자는 극소수일 수 밖에 없고 그 희소성으로 인해서 그들은 항상 소설의 주인공들이 된다. 그런 여성 통치자들 중에서도 자신의 왕국을 스스로 창출해 낸 사람은 아마도 측천무후, 하나 뿐일 것이다. 얼마나 드라미틱한 인생일까? 그 존재 만으로도 여성독자들을 끌어들일수 있지 않을까

측천무후는 중국 당 태종의 후궁으로 들어갔다가 간택되지 못하고 그 아들 당 고종의 황후가 된다. 그리고 남편이 죽자 아들들을 물리치고 스스로 여황제에 올라 국호를 '주'로 고치고 16년동안 중국을 다스린다. 그녀가 죽은 이후 왕위에 오른 그녀의 아들은 다시 국호를 당으로 고치고.... (이 시기는 우리 역사에서는 고구려가 안시성에서 당 태종의 군대를 물리치고, 결국 당 고종대에 신라와 연합한 당군은 고구려를 멸망시키는 바로 그 시기에 속한다)

소설은 일인칭 독백의 형태로 측전무후의 탄생에서 부터 죽음 이후시기까지를 모두 다루고 있다. 일인칭이라는 시점의 선택은 소설적 흥미를 돋우는 역할을 한다. 소설은 처음부터 끝까지 측전무후의 내면을 탐색한다. 평민출신으로 당건국에 공헌하여 출세한 아버지 밑에서 행복하던 시절, 아버지의 죽음으로 천덕꾸러기로 전락한 시절, 궁에 들어가 있는 듯 없는 듯 만명의 여자중의 하나일 뿐이던 시절, 드디어 권력에 진입해 권력을 장악하고 결국 쓸쓸한 죽음을 맞기 까지 측전무후의 내면을 섬세하게 따라가고 있다. 세상의 중심인 남자들을 물리치고 세상의 최고봉에 선 여자, 그 여자의 내면은 어떨까?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할법한 나 역시도 궁금할 수 밖에 없는 시점의 선택, 이 책은 아마도 상업적으로 성공할 듯이 보인다. (실제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이 책이 한국에까지 번역된걸 보면 아마도 그러리라.)

하지만 그럼으로써 이 책은 역사소설이 아니다. 이 책에서 역사는 그저 주인공을 돋보이게 할 배경의 역할밖에는...(그것도 별로 중요하지 않은) 너무나도 감상적인 문체속에서 측천무후라는 역사적 인물은 실종되고 권력의 정점을 향해 꿈을 키우는 그저 한 여자가 있을 뿐이다. (하긴 저자가 역사소설을 표방한 것도 아닌데 이런 얘기는 좀 그렇군...쩝...) 그렇다면 측천무후라는 한 인간의 내면을 정말로 잘 따라잡기는 한걸까? 글쎄 별로 아니다. 책속에 묘사된 측천무후는 그저 그런 한 여자일 뿐이다. 그녀의 이름을 측천무후가 아니라 완전히 허구의 인물이나 아니면 그저 평범한 한 여자로 바꿔쳐도 소설의 내용이 별로 달라질 것 같지 않다. 측천무후는 그저 상업성을 위한 소재정도에 지나지 않는게 아닐까?

사족 하나 - 이 책을 중국인들이 읽으면 어떻게 생각할까? 글쎄... 별로 좋아하지 않을 것 같다. 이 책의 저자가 중국인인것 같은데 겉만 그런것 같다는 생각. 서구인들의 입맛에 맞춰 보여지는 중국. 그들의 오리엔탈리즘적인 환상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구도하에서 계산되어 쓰여졌다는 혐의가 계속 드는 건 왜일까?  아마도 이런 요소가 또한 상업성과 결부되는 거겠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린사회의적 2006-07-11 20: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환상에 대해 조금 공감합니다. 그리고 측천무후가 아닌 다른 인물을 대입시켜도 별로 읽기에는 부담이 없을 듯한 소설로 보임.. 역사소설이 아니다라는 점에 상당한 공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