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쳐야 미친다 - 조선 지식인의 내면읽기
정민 지음 / 푸른역사 / 2004년 4월
평점 :
요 근래 몇년간 역사학계에서 미시사 분야가 논의의 중점이 되면서 몇 가지 미시사적인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생활사에 대한 관심이나 그동안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던 대상들에 대한 복원 - 예를 들면 조선시대 여성의 내면과 생활을 탐구한 [향량, 산유화로 지다]나 전혀 역사적이지 못한(?) 흔한 말로 시정잡배들을 다룬 [조선의 뒷골목 풍경]같은 책들이 그것들이다. 이런 작업이 어떤 역사적 의의와 전망을 내올 것인가의 논의는 차치하고 또한 책의 수준문제도 일단 제껴두고 어쨌든 이런 시도가 우리 역사의 내용을 풍부하게, 그리고 전공자가 아닌 일반인에게도 역사에 대한 흥미를 북돋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것이 전문 역사 연구자가 아니라 대부분 국문학이나 한문학 쪽의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진다는게 많이 아쉬운 점이다. - 이런 분야를 받아들이기에 우리 나라 역사학계가 지나치게 경직되어 있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 책 [미쳐야 미친다]역시 넓은 의미에서는 이런 미시사의 한 시도라고 볼 수 있겠다. 물론 책이 서술하고 있는 대상들이 지나치게 유명한 인물들-정약용, 박지원, 허균, 박제가 등등-이고 글의 전개가 그들이 남긴 시나 편지글, 산문을 중심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본격적인 미시사의 요건에는 떨어지지만 글의 내용이 여태까지 누구도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그들의 내면세계와 일상생활을 다룬다는 면에서 그러하다.
책의 내용은 어찌보면 심심하고 싱겁다. 책제목은 상당히 선정적인데 내용은 그리 쇼킹하지 않다. 하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조선시대 사람들에 대한 고정관념-근엄한 선비로 그려지는-이 곳곳에서 깨지는 경험은 참 신선하다. 거기에 이 책의 진짜 재미가 있지 않을까?
책은 총 3부로 나누어진다. 1부는 뭔가에 미친 사람들이다. 미쳐야 미친다(不狂不及) - 어느 하나에 미칠정도로 몰두해야만 빛나는 성취를 이룰 수 있다. 이 제목만으로는 그야말로 진짜 우리가 아는 유교 경전에 미친 선비들이 떠오른다. 그런데 이 글에서 사람들이 미친건 참으로 실소를 금치 못하게 하는 사소한 것들이다. 꽃에 미친 김군, 표구에 미친 방효량, 벼루에 미친 정철조, 담배에 미쳐 연경(煙經)이라는 책까지 낸 이옥, 여기까지는 그렇다 치고 비둘기 사육에 미쳐 책까지 남겼다는 홍대용은 뭔가? 오늘날 유행처럼 번지는 매니아 문화가 조선 후기에 벌써 유행이었다니! 이 장에서는 그래도 가장 마음에 남는건 독서광이었던 김득신이라는 이의 이야기다. 사람이 정말 모자라고 아둔해 -흔한 말로 머리가 무지 나빠 - 공부를 해도 안되자 책 하나를 최소 1만번 이상 읽는 엽기적인 노력을 한다. 더 엽기적인건 그 읽은 횟수를 일일이 세고 있다는 거다. 그럼에도 거의 잊어먹고 곳곳에서 실수를 연발하는 그의 모습은 포복절도하게 하지만 그런 무식한 노력으로 일가를 이뤄 후세에 이름을 남기는 그의 모습은 우리를 주눅들게 하는 역사속 천재들의 모습에만 익숙해져 있던 우리에게 신선한 느낌과 한편 통쾌한 느낌까지 준다.
2부는 조선 후기 지식인들의 교우관계에 대한 글들이다. 풍류라는 말은 조선시대 양반의 허위의식을 대변하는 것 같아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이 글의 사람들은 진정한 풍류가 무엇인지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 개인적으로는 가장 재미있게 읽은 부분이 이 장이다. 허균, 정약용, 홍대용, 박지원 등 이름만 대면 한국인 누구나가 아는 사람들이 등장하지만 가장 즐겁게 읽은 부분은 역시 박지원이 친구들에게 보낸 편지글들이다. 박지원의 글은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전형적인 글과 참 다르다. 정약용의 글들과 비교해보면 확실히 느낄 수 있는데 분위기가 정말 다르다. 정약용의 글들은 거리가 있다. 그는 조선시대인이고 나는 현대인이라는 거리를 확실히 느끼게 한다. 그러나 박지원의 글은 그와 내가 같은 자리에서 지금 얘기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가지게 한다. 내가 가지고 있는 조선시대 양반의 이미지가 박지원에 와서 확실히 깨진다. 그래서 박지원의 글들을 읽으면 즐거워진다. 돈좀 꿔 달라는 내용의 글이나 친교를 청해오는 사람에게 '나는 너랑은 같이 놀기 싫어'라는 내용의 글들을 어찌나 천연덕스럽게 하는지, 어찌 이런 표현이 가능한지 감탄할 따름이다. 또한 홍대용과 그의 벗들이 벌이는 음악회는 그대로 한폭의 아름다운 풍경화를 그려낸다.
3부는 앞의 글들에 비하면 약간은 어려운 편이다. 일상속의 깨달음이라는 소제목이 얘기하듯 일상에서 만난 어떤 소재들을 가지고 자신들의 주장과 신념을 펼치기에 그렇다. 앞의 글들과는 갑자기 주제가 달라진 듯하여 약간은 어리둥절하고 또 그리 혼쾌히 공감이 가는 것도 아니어서 그들은 다시 고정관념속의 조선 선비로 돌아간다.
사실상 옛 글들은 그 고어체와 유교경전에서 따온 갖가지 구절과 고사성어들 덕분에 오늘날 우리가 이해하고 쉽게 읽어내기가 어렵다. 그런데 이런 글들에 대해 저자는 참 친절하다. 언뜻 이해가 안가는 글들은 참으로 쉽게 해설해줘서 이해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 덕분에 나같은 문외한도 옛 글과 옛 사람을 만나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을 터이다. 책을 읽는 내내 즐거운 만남을 가질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