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도하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의 생각에 동의하지 못하면서도 그의 책을 계속 손에 잡게 하는 힘은 무엇일까?
작가 김훈이 던지는 질문들과 대답들에 늘  

"아니요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도대체 당신이 바라보는 세계는 왜 이렇게 팍팍한걸까요? 비루하고도 비루한자들의 속내를 이렇게 파헤쳐서 도대체 무얼 말하려는건가요?"
이렇게 내 마음은 다시 그에게 질문들을 던졌던듯 하다. 

김훈이 말한다.
-인간은 비루하고, 인간은 치사하고, 인간은 던적스럽다. 이것이 인간의 당면문제다. 시급한 현안문제다.(161쪽) 

그래 인간이란 아니 밥그릇에 목을 매야 하는 인간의 삶은 비루하다.
온갖 비루하고 치사한 삶들을 취재하고 다니면서 세상을 바꾸지는 못하는 그저 전달하고 기록할 뿐인 것을 자책하는 그러나 거기서 한발짝도 나아갈 수 없는 기자 문정수.
운동권의 삶에서 가장 치명적인 행위, 즉 동지를 팔고 해망으로 도망치듯 떠난 장철수
크레인에 짓이긴 딸의 죽음앞에서 오열하지도 못하고 결국 그 보상금으로 고향을 떠나는 방천석
아들이 기르던 개에 물려죽고 그 보상금으로 해망에서 농사를 짓고 질긴 삶을 연명하는 오금자
베트남에서 시집와 가출, 그리고 물밑을 헤매며 고철들을 주워모으는 후에  
소방관으로서 작업중 보석을 훔쳐 새로운 삶을 꿈꾸는 그러나 여전히 비루한 박옥출
어느 삶도 비루하지 않은 것이 없고 구차스럽지 않은 것이 없다.
어느 한켠에도 작가는 이들의 삶에 연민의 눈길도 안따까움의 손길도 건네지 않는다.
그저 깎아치는듯한 짧은 문장들로 그들의 삶을 그릴 뿐이다.
사는게 원래 그렇게 혐오스러운거야.
이 세상에 희망이란게 어디있어라고 묻듯이..... 

그런 작가의 자책은 외부로 향해 있지 않다.
자신의 내면을 향해 끊임없이 묻는 듯하다. 도대체 왜 이 세상이 살만한거냐고, 혐오스럽지 않냐고...
김훈의 문장은 그런 자책과 한 몸이 되어 비수가 된다.
별것 아닌 문장들이 칼이 되어 내 몸을 스친다.
저 모든 비루한 삶들이 어느덧 내 안의 비루함이 되어 나를 향하는 칼날들의 느낌. 
그래 그 지점에서 작가의 질문과 자책은 나의 것이 되어 나를 향한다.
그의 말에 전혀 동의하고 싶지 않으면서도 인정할 수 밖에 없는 것에 대한 씁쓸함, 그것이 계속 그의 책을 들게 하는 이유였구나.... 
내 삶도 그렇게 비루하고, 치사하고, 던적스러웠구나
또한 앞으로도 그러하겠구나.... 

그럼 원래 인간이란게, 인간의 삶이란게 그렇게 생겨먹은거라고 자위할까?
그런 자위로 나를 이끌었다면 아마도 김훈의 책은 애저녁에 던져졌을 것이다.
오히려 두 눈을 똑바로 뜨고 내안의 나를 응시하게 한다. 

그 다음은?
노목희는 시간너머로 떠난다. 다른 삶이 기다리고 있을지는 알 수 없다.
장철수는 후에의 결혼 빚을 갚아주고 망가진 몸을 이끌고 고향 창야로 돌아간다. 그를 기다리는 삶 역시 녹록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리고 다른 이들은 그들의 삶을 계속한다.
그저 삶이 계속된다.
나의 그 다음은?
그 다음이 어떤 자각에 이를지는 온전히 책을 읽는 독자의 몫이다.
김훈의 응시의 방향이 그 자신의 몫이듯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