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중지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제 사라마구라는 작가, 광고카피하나는 정말 절묘하게 뽑아낼 수 있게 하는 작가다. 굳이 카피라이터가 골싸매고 고민할 필요가 뭐 있을까? 그의 작품 설정 자체가 쇼킹 그 자체인데...
모두가 눈이 멀어버린 세상(눈먼자들의 세상)
어느 누구도 투표하지 않았다. 투표율 0%(눈뜬자들의 세상)
그리고 이번에는 다음 날, 아무도 죽지 않았다.(죽음의 중지)이다.
항상 설정 자체가 어찌나 획기적인지 번번이 그의 소설을 읽지 않을수가 없다. 뭐 그렇다고 내가 이 대단한 거장에게 불만이라는 얘기는 아니다. 그의 그런 설정때문에 또다시 책을 들고야 말게 해주니 고맙다고 해야지. 

인간이란 당연히 죽음을 향해가는 존재이면서도 끊임없이 삶을 갈구한다. 누구는 불로장생을 위한 불로초를 찾아헤맸다지만... 죽음만큼 공평한게 어디 있을라고. 누구나 죽는다. 그것도 딱 한번씩만... 그 죽음이 중지됐다. 아무도 죽지 않았다. 아 인간의 유토피아가 드디어 도래했다? 아니 아니, 주제 사라마구의 책을 한권이라도 읽은 이라면 이 작가가 유토피아를 그릴리가 없다는걸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어느 날 갑자기 아무도 죽지 않았다. 사람들은 이 경축할 일에 너도 나도 국기를 게양해서 집단적으로 축하를 벌인다. 하지만 그건 잠시일뿐... 누구나 짐작할 수 있는 온갖 문제점들이 불거진다. 이제 끊임없이 확장되어도 빈자리를 찾을 수 없게 될 요양원, 절대 퇴원못하는 환자들이 점점 늘어가는 병원, 생명보험의 의미가 무색해져버린 보험회사들... 뭐니뭐니 해도 압권은 실직위기에 처한 장의사들이다. 근데 이들이 위기를 헤쳐나가는 방법 또한 얼마나 기발한지... 이제 이들은 사람 대신에 모든 동물들의 죽음을 반드시 정당한 절차를 거쳐 매장 또는 화장할 것을 국가에 요구한다. 장의사들의 이런 해결에 고무되어 각자 나름의 해결책을 정부에 요구하는 이들.
그리고 신종 마피아의 등장. 죽어야 하는데 죽지 못하고 있는 이들의 고통을 덜어주거나 또는 가족들의 부담을 덜고자하는 이들에게 국경너머 죽음이 존재하는 곳으로 죽을 이들을 옮겨주는 마피아. 뭐 당연히 공짜는 아니지.... 그리고 이런 각각의 요구에 대응하는 정부의 태도
결국 세상은 죽음이 있든 없든 그리 달라지는 것이 아니었다. 죽음이라는 인간 존재성의 끝이 사라진다는 엄청난 사건앞에서도 세상의 모습은 자신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인간들의 집합체이며 그 각각에 대응하는 정부, 정치가 역시 별반 달라지지 않는단 말이지... 죽음이 사라진다 해서 인간들이 갑자기 너그러워지거나 행복해지거나 하지 않는다는 것. 어쩌면 그것이 진실인지도 모르지.

인간이란 존재는 원래 그렇게 생겨먹은건지도.... 국경을 넘어 죽음을 맞이하러가게 하는 행위가 공공연해지고 합법이 되자 좋아할 것 같던 사람들은 또 이렇게 말한다.

 ... 몰래 행동하는 것은 다르죠, 한밤중에 사랑하는 사람을 데리고 나가는 건 말이예요. 그러면 이웃도 그분이 여전히 고통스러운 병상에 누워 있는지 아니면 그냥 증발해 버렸는지 알 도리가 없으니까요, 거짓말을 하는건 쉬워요, 슬픈 표정으로 말하는 건 말이에요, 지금도 여기 계시죠, 가엾은 양반, 하고요, 이웃집 사람을 층계참에서 만났는데, 그래, 할아버지는 요즘 어떠세요, 하고 물어봤을 때 말이에요, 하지만 이제 모든 것이 달라졌어요, 사망증명서도 있고, 공동묘지에는 이름을 다 적은 명판까지 붙여요, 이러니 몇 시간 후면 시샘 많고 남 욕하기 좋아하는 동네 사람들이 할아버지가 죽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죽었다는걸 알게 되잖아요, 그러니까 아주 간단하게 말해서, 잔인하고 배은망덕한 가족이 할아버지를 국경으로 데려갔다는 말밖에 더 돼요, 그럼 창피해지는거죠,(92-93쪽)    - 인간이란 원래 이런거야....

그리고 느닷없이 죽음이 다시 찾아온다.(원래 죽음은 느닷없는게 더 자연스럽지만...)
그동안 죽지 않았던 사람들이 한꺼번에 죽는 것. 그리고 죽음은 이제 자주색 편지지에 죽을 사람들에게 편지를 보낸다. 일주일 뒤에 당신이 죽을터이니 그에 대한 준비를 하라는.... 죽음이 원한건 주변 정리나 인사, 유언 이런 것들이었겠지만 오히려 인간들은 공황상태에 빠져버리고 마니 역시 죽음은 삶을 이해하기에는 역부족이었겠지.... 

이제 책은 죽음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인간이 살아온 모든 세월을 같이 살아온 그녀. 돌연한 그녀의 파업은 뭔가 변화를 주고싶은 변덕의 발로였을까? 전편이 죽음이 사라지고 죽음이 돌아온 세상만태를 스케치하는 것이었다면, 2부는 이제 죽음 그녀의 이야기다. 자신의 연출에 만족해있던 그녀에게 즉 죽음의 예고장을 발부하면서 자신이 일으킨 변화에 뿌듯해하던 그녀에게 문제가 생긴다. 유독 한 인간에게만 죽음의 경고장이 날아가지 않는 것.
이 딜레마를 그녀 죽음은 과연 풀 수 있을까? 그 해법이 죽음이 삶을 지향해버리는 것이라면? 이 지독한 모순은 작가가 독자들에게 던지는 숙제다. 다음 날, 아무도 죽지 않았다. 그럼 이제 다시 어떻게 될까? 묵직한 숙제 하나를 받아들면 책은 끝난다. 이제 어떡해야 하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