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우리의 자화상
임석재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으면서 휴먼 스케일이란 말이 내내 맘에 와닿는다.
사람의 냄새를 맡을 수 있는 너무 넓지도 너무 좁지도 않은 딱 그만큼의 크기라는 의미일게다.

우리집은 좋다는 남향은 아니고 북서향이다.
낮에 집에 있을 일이 별로 없으니 굳이 남향이 아니어서 불편하다는 생각은 잘 안든다.
오히려 휴일 오후쯤에 뽀송뽀송하게 말린 빨래를 걷어 마루에 앉아 활짝 열린 베란다 창문으로 바라보는 노을 진 저녁하늘이 이 집의 최대 보너스라는 생각이 들때면 다른 단점쯤은 살짝 눈감아진다.
아이들에게 하늘 좀 봐, 저게 노을이라는거란다. 참 예쁘지?라는 말을 던질 수 있게 해주는 여유를 주는 집.
이 때 집은 단순히 그저 잠만 자기 위한 곳이 아니라 삶의 쉼터, 머뭄의 편안함을 주는 그런 곳이다.
어쩌면 이 책속에 등장하는 휴먼스케일이란 말은 이런 의미가 아닐까?
단순히 크기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이 필요로 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갖추면서도 잠시 쉼터의 역할을 해주고 사람의 온기를 느끼게 해줄 수 있는 여유의 공간이란 의미.
이 때 건축은 단순한 실용성의 의미를 넘어선다.

언젠가 지인이 새로 이사를 했다해서 집들이를 간적이 있었다.
소위 요새 한참 뜨는 초고층 아파트.
투자의 의미에서는 최고의 조건이었고 나름 부러운 생각이 안 드는건 아니었으나,
막상 그 집에 갔을때는 정말 기겁을 하고 말았다.
베란다도 없고 창이라고는 쪽문같은 약간 열리는 창이 다이고(그 창을 열어놓으면 높이때문에 좁은 틈으로 들어오는 바람은 시원하다는 의미가 아니라 그야말로 몰아친다고 해야 할까? 환기를 위해 잠시 열어둔다면 모르겠지만 창문을 열고 뭔가를 하겠다는 생각은 정말 못할 것 같은...)
거기다 요즘 부지를 최대한 절약하기 위한 Y자형 건물의 형태는 바로 옆집의 현재 상황이 너무나도 실감나게 중계되는 것이 아닌가?
내집 거실에 앉아 앞집 사람과 눈을 맞출수 있다는건 정이 아니라 기본적인 사생활 보호의 개념조차 없다는 말 아닌가?
내가 생각하는 집은 가족의 공간이고 쉼의 공간이고 그리고 때로는 다른 사람을 편안하게 만날 수 있는 교류의 공간이다.
그런 집에 창을 열수 없고, 늘 창에 커튼이나 브라인드를 내려야 한다는건 아무리 투자가 어쩌고 해도 도무지 내키지 않는다.
이런 집을 집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작가 임석제씨는 아니라고 말한다.

임석재씨의 이 책에서는 이런 식으로 인간의 삶과 교류가  무시된 온갖 가지의 우리 건축 이야기가 나온다.
건축에 관한 책이라고 어려운 양식 이야기나 미학적 관점 이런걸 얘기하는 책이 아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보고 경험하는 공간들의 문제점이 무엇인가하는 얘기들이다.
아~~ 그 때의 내 느낌이 이래서였구나하는 생각들을 절로 들게 한다고하겠다.

요즘 유행처럼 번지는 최첨단 하이테크건축양식으로 지어진 기차역사들.
밖에서 보면 나름 멋져보이는데 막상 안에 들어가면 느껴지던 그 황량함.
어딘가 가게 안으로 들어가지 않으면 도통 마음편하게 앉아 있을  수 없던 거대공간의 압박
그것도 단지 특정 지역의 역 하나가 아니라 요즘은 가는 곳마다 도시역사들이 모두 똑같으니 지역의 특색은 커녕 우리나라의 건축의 특성도 먼 얘기일뿐이다.
최대한 위엄있게라는 모토로 지어지는 관공서 역시 마찬가지...
동사무소는 그래도 좀 낫지만 구청부터는 들어갈때마다 주눅드는 느낌을 느껴본 사람들이라면 구구절절히 공감이 가는 말들이다.
일명 공무원 양식이라는 비아냥으로도 통하는 관공서 양식의 건물들은 결국 고압적이고 권위적인 지배자로서의 우리나라 공무원의 얼굴을 그대로 닮았다.
낮은 곳이 아니라 능선을 파괴하고 점점더 높은 곳으로 임하시며
동시에 대형화되어가는 거대공룡 교회들
도시의 중심이 문화공간도 역사유적도 종교시설도 아니고 백화점이라니...
우리가 당도한 자본주의의 얼굴을 가장 잘 보여주는 표징이겠다.
점점 도시의 모든 공간을 정복해가는 아파트
그 중에도 창조차 열리지 않는 초고층아파트들......

이 새로운 건축의 모습들에 사람냄새가 들어설수 있는 곳이 없다는게 우리시대의 비극적인 자화상이겠지....
사람의 채취가 묻어나고 만남이 있어야 할곳에 오로지 자본의 욕망만이 들어차 있는 도시, 그리고 건물들....
어딘가를 들어설 때 느껴지는 불안감이나 위축감같은 여러 불편한 감정들의 정체가
아~~ 이것이었구나 하면서 하나 하나 고개를 주억거리게 된다.

그럼에도 건축이란게 다른 분야와 달라서 한 번 지어진 건물을 허물수도 없고...
그것을 참고 견디고 봐주어야 하는 기간이 너무 길어진다는 거다.
청계천 복원이 이벤트처럼 되어진 것에 대해 개탄하면서,
진정한 청계천의 복원은 서울의 나이를 제대로 복원하는 전체 프로젝트하에 배치되어야 한다는 지적은 많이 공감이 갔다.
그런데 지금 갈수록 돈만이 최고가 되어가는 우리 사회에서
그런 건축적 인간적 안목이 채택되어지는게 거의 불가능하다는데 씁쓸함을 금할길이 없다.
그래서 저자는 더 이런 얘기를 많이 하고 알리고 싶어하는지도 모르겠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으니 우리가 사는 공간에 휴먼 스케일을 도입하자고...
남아있는거라도 제대로 관리하고 보존하자고 말이다.
그리고 동시에 고칠 수 있는 것들은 고쳐보자고 말하는 것이다.

마지막에 임석재씨가 그래도 꼭 우리 거리에 남아있어야 하는 것을 짚는 대목은 참 인상적이었다.
뭐 그리 대단해 보이지는 않는데 그럼에도 우리를 미소짓게 하는 것들
꽃가게, 거리의 책상, 골목길
여기서 거리의 책상은 벤치만 있는 공원이나 우리 거리에 작으나마 책상을 두자는 얘기이다.
책상 몇개만 배치해도 지나다니는 사람들이 잠시 머물수 있고,
머무는 사람들이 보다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고
그 속에서 우리 거리가 단순히 통과의 의미만이 아니과 머뭄과 교류의 장이 될 수 있을거라는 것
이 작은 발상이 참 마음에 와 닿았다. 
그리고 또 뭐가 있을까?
어렵지 않게 내가 사는 공간을 휴먼 스케일에 맞출 수 있는 방법은....
조근 조근 찾아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책>건축, 우리의 자화상을 읽고
    from 더불어 함께 사는 도시와집과나 2009-11-15 00:52 
    난 아름다운 건축물을 좋아한다! 나는 어렸을 때부터 아름다운 건축물을 좋아했다. 초등학교 3학년 때였던가, 드라마를 통해 건축설계사라는 직업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장래희망으로 삼기도 했다. 건축설계사라는 장래희망에 부풀어올라 내가 설계한 집을 짓는 꿈을 꾼 적도 있고, 그 꿈을 기억해내어 직접 스케치해보기도 했다. 지금도 여전히 나는 아름다운 건축물을 좋아한다. 어렸을 때와 달라진 것이 있다면 단순히 '아름다운' 건축물을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