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의 기억을 걷다 - 유재현의 아시아 역사문화 리포트, 프놈펜에서 도쿄까지 유재현 온더로드 1
유재현 지음 / 그린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시아는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모두 한 애비와 에미의 자식들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그 형제들을 아시아를 모두 남한족의 아래의 하위족으로 두는 인종주의와 국수주의를 강화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이 언젠가는 우리의 발목을 붙잡을 것이다. (작가 유재현의 서문 중 발췌)

아시아지역의 현대사는 모두 공통적으로 2차대전 종전 이후 미국의 세계질서 재편이라는 흐름속에서 위치지워졌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그리고 그것은 모두 각국에서의 비극의 출발점이자 강화제였다.
그럼에도 우리는 그런 아시아에 대해 무관심하다.
아니 하위제국주의 국가로 성장한 우리가 보고 싶은 것만 본다.
아시아는 이제 우리에겐 값싼 휴양지이거나 이국적인 문화유적의 답사지이거나 둘 중 하나이다.
둘의 공통점은 어느것도 오늘의 아시아의 실체에 대해서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지형에서 유재현은 아시아의 현대사를 걷는다.
그리고 이것이 우리라고, 한배에서 나온 같은 자식이라고 끊임없이 읇조린다.

섹스의 천국, 태국 방콕의 길을 걷는 것은 한국전쟁 이후 우리땅에 우후죽순으로 생겨난 기지촌을 걷는 길이기도 하다.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미군은 든든한 후방기지를 필요로 했고 그 후방기지의 역할을 해주었던게 또 태국이다. 후방기지로서의 태국은 또한 미군의 대규모 휴식-오락-회복기지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했다.(이걸 R&R이라고 한다는데 이것은 또한 참전 미군에게 연차로 주어지는 일주일간의 공인된 휴가를 지칭하기도 한단다.)
한국전쟁때는 도쿄가 이런 R&R기지로서의 역할을 했고 인도차이나 전쟁에서는 태국이 그 역할을 떠맡았던 것. 이쯤되면 태국의 섹스산업의 원조가 어디에 있는지는 뻔한 일이다.
우리가 밟았던 아픈 역사를 왜 우리는 같이 아파하지 못하는걸까?
왜 남한의 수많은 남자들은 태극기를 휘날리며 섹스관광을 가는거냐고?

모든 악의 출발점이 추악한 미국의 제국주의정책이었다고 비판하는 것은 쉽다.
하지만 그것을 확대강화시키는데는 언제나 자국 정부의 방관과 적극적인 지원이 항상 같이 넘나듬으로써 가능했다.
흔히 태국의 정치를 얘기할때 빼놓을 수 없는것이 국왕의 존재이다.
아직도 국왕이 신성시되며 국민의 추앙을 받는 나라, 정권의 성립과 변동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나라가 바로 태국이다.
흔히 태국이라는 나라의 이 이상한 왕정의 현존과 영향력을 전근대에서 근대로 넘어오는 시기 태국의 왕이 행했던 역할들 - 동남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식민지를 거치지 않도록 했던 왕의 외교력이나 중요 역사적 변화의 시기에 왕이 국민을 뜻을 대변했다는 등의 이야기로 설명하기도 한다. 하지만 여기서 미국의 했던 역할은  내가 잘 몰랐던 부분이다. 전쟁 후방기지로서의 안정성이 절실하던 미국은 그 안정성을 보장해줄 인물로 왕을 택했고 그것은 왕에 대한 전격적인 지원과 신성화로 나타났던 것. - 그것은 세뇌였다. 이 세뇌라는 것이 얼마나 무서운가는 우리의 반공이데올로기 세뇌를 생각하면 충분히 공감이 가는 부분이다.

앙코르와트와 킬링필드의 나라. 이 상반되는 이미지가 캄보디아를 가장 유명하게 만든 코드가 될 것이다.
크메르루즈는 킬링필드 덕분에 악의 화신으로 지금까지 회자되지만 문제는 그런 상황을 만들어낸 원인제공자들이 누구냐는 것이다. 캄보디아 땅 곳곳에서 만날수 있는 킬링필드의 흔적들 - 인골로 이루어진 기념물들은 우리의 의식을 마비시키고 감정만을 자극하기 위해, 그럼으로써 크메르루즈에 대한 분노와 캄보디아 사람들에 대한 연민을 가지라고 끊임없이 속삭인다. 그럼으로써 그런 상황을 만들어냈던 미국과 어이없게도 공산주의 형제국이라 할 수 있는 베트남의 책임을 절묘하게 비껴간다.

베트남전쟁이야 워낙에 많이 알려져있는 부분이고 그만틈 베트남 혁명의 지도자 호치민에 대해서는 비판이란걸 거의 접해본적이 없다. 하지만 이 책에서 작가는 그 호치민에 대해서도 그냥 넘어가지 않는다. 남베트남민족전선의 궤멸에 진정으로 호치민은 책임이 없을까? 오히려 그에 대해 방조함으로써 혁명에서 북베트남의 주도권을 확고하게 하는데 이용하지는 않았나라는 의문을 제기한다. 이건 자연스럽게 우리의 역사로 옮겨갈 수 있겠다. 분단정권 수립이후 부단히 진행된 북한에서의 남로당 죽이기 - 결국 혁명의 이념도 순수성도 권력앞에서는 그저 무력할 뿐... 어쩌면 혁명의 이념이니 순수성이니 하는 말 자체가 그저 환상에 불과한 것은 아닌지..

작가의 발길은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미국이 라오스를 아편공급기지로 만들어가는 과정을 쫒기도 하며 필리핀에서는 막사이사이대통령의 행적을 쫒으며 그의 본질이 막사이사이상이 주는 이미지와는 달리 결코 평화적이지도 민중적이지도 않았음을 얘기한다.
영화 <비정성시>의 어두운 골목을 훑으며 일본을 대체해 들어온 본토외성인들 즉 장개석을 따라온 본토인들이 원래의 대만 주민들에게 정복자로 행세하면서 이루어졌던 무자비한 탄압과 학살을 고발하기도 한다.

유재현의 여행기를 읽는 일은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대면하고 싶지 않은 우리의 과거를 날것으로 만나는 과정이다.
또한 우리의 추악한 현재를 실감해야 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유재현의 여행기를 읽어야 하는 이유는 그가 끊임없이 하는 문제제기가 바로 우리자신을 구원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한 애비와 에미에게서 난 자식들이 연대를 통해 공동의 삶의 조건을 창출하기 위해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이 지금은 그에게서 우리들에게 화두로 던져지고 있기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