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데기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때 아니 제법 클때까지도 바리데기 이야기를 무척이나 싫어했다.
부모가 아이를 버린다는 설정도 너무 싫었지만 정말로 싫었던 것은 그 멍청한 바리데기가 자기를 버린 부모를 위해서 생명수를 구하러 서천으로 떠난다는 그 설정이었다.
자기를 버린 부모를 위해 온갖 위험을 무릅쓰고 희생을 하다니, 너무 너무 신경질나는 자기희생이었다. 그리고 바리데기 신화를 내가 다시 생각해봐야 할 이유는 없었다. 이 소설이 나오기 전까지는.....

희망을 버리면 살아있어도 죽은거나 다름없지. 네가 바라는 생명수가 어떤 것인지 모르겠다만, 사람은 스스로를 구원하기 위해서도 남을 위해 눈물을 흘려야 한다. 어떤 지독한 일을 겪을지라도 타인과 세상에 대한 희망을 버려서는 안된다. (286쪽 압둘할아버지가 바리에게)

아! 바리데기가 이런 얘기였을수도 있구나!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배신과 고통과 거짓이 끊임없이 계속되는 이 세상에서 바리데기는 우리가 그래도 희망을 놓치지 말아야 하는 이유가 될수도 있는거였구나!
세상의 고통과 아픔을 비껴가지 않는 그러면서도 믿음과 희망을 잃지않고 싸우는 모습을 신화속에서 보여주는 이가 바리데기였구나!
결국은 해석의 문제겠지만 황석영이 보여주는 바리데기의 모습에서 이제 그녀가 좋아질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황석영씨에 의해 다시 살아난 바리데기는 오늘날 신자유주의하에 세계화 국제화라는 구호의 허상과 함께 나타난다.
1990년대 북한의 기아는 그의 가족을 산산조각내고, 바리는 그녀가 결코 상상할 수 없었던 세계로 유랑한다.
북한에서 중국을 거쳐 그녀가 간 영국은 그저 유럽의 영국이 아니라 한때 제국주의의 태두로서 영화을 한 껏 누렸던 나라의 뒷골목이다.
온갖 인종과 종교가 뒤섞여 나름의 꿈을 꾸지만 대부분이 좌절하고 꺾어지는 곳.
그곳은 영국이 아니라 영국안에 떠있는 식민의 섬이며 영국이 다먹고 토해낸 찌꺼기같은 그런 곳이다.
그러나 그곳에도 여전히 사람이 숨을 쉬고 살아간다.
무슬림은 무슬림대로, 아시아는 아시아인대로, 흑인은 흑인대로.....
그리고 그들은 서로를 인종이나 종교의 차이로 미워하지 않는다.
그들은 다만 내일이 두려울뿐, 범죄자도 테러리스트도 아닌 그저 사람일뿐이다.

소설의 결말이 보여주듯 바리의 고통은 끝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이 세상 수많은 바리들의 고통 역시 마찬가지일테고....
그래도 압둘 할아버지가 말한, 아니 바리데기가 상징하는 믿음과 희망은 이 세상을 바꾸는 힘이 되리라 믿어본다. 아니 믿고싶다.

-------------------------------------------------
최근 들어 다시 북한의 소식이 심상치 않다.
수많은 아이들이 다시 굶주림에 시달린다는....
같은민족이고 뭐고를 다 떠나더라도 바로 옆에 있는 이웃이 굶어죽는다는데 그것을 방치하고 인권을 얘기한다는 것은 얼마나 가증스러운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08-07-05 07: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리데기는 저도 싫어했어요. 자기를 버린 부모를 위해 죽을지도 모르는 길을 간다는게 말이나 되냐면서...이 나이가 되니까 그럴수도 있겠다 싶더군요.
영화 '크로싱'이 보여주는 실상도 가슴 아프죠...굶주림이 사람을 얼마나 참혹하게 하는지...

바람돌이 2008-07-05 10:40   좋아요 0 | URL
저는 영화 크로싱은 아직 못봤어요. 인간이 인간의 기본적인 존엄성을 지킬수 없다는건 정말 끔찍해요. 바리데기도 이렇게 다르게 읽을 수 있겠구나 싶었어요. 그렇다고 딱히 그 얘기가 좋아지는건 아니지만... 아직 우리 애들한테 읽어주고싶진 않더라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