뱅크시가 평소에 보여주었던 아이러니로 이 웹사이트는 자신의 부고를 실었다. 그 글은 PONW가 새로운 세대의 예술을 사람들의 집으로 직접 배달했던 날에 대한이야기로 시작하여 이렇게 끝맺었다. 재난이 닥쳤다. 우리의 많은 아티스트들이성공했고, 스트리트 아트는 어깨를 가볍게 으쓱하며 주류 문화로 들어갔다. 우리가 만든예술은 또 다른 상품이 되었다. 우리가 한때 독선적으로 비난했던 미술시장의 일부가 될수 없거나 참여하지 않으려고 한다. 그만두려는 것이다. 하지만 물론 뱅크시의 의향과상관없이 그는 미술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 P219
뱅크시와 미술시장의 관계는 연어와 어부의 관계와 비슷하다. 뱅크시는 시장을싫어하고 돈으로 좋은 미술과 나쁜 미술의 차이를 결정하는 방식을 싫어하며, 창의적인아티스트보다 신뢰할 수 있는 아티스트를 선호한다. 그는 재빠르게 꿈틀거리며요리조리 빠져나가고 저 멀리 도약하지만, 여전히 미술시장은 해마다 조금씩 그를휘청거리게 한다. 그에 대한 대응으로 뱅크시는 네 차례에 걸쳐 시장을 크게 공격했다. 네 번 다 아주 성공적이었고, 몇 건으로는 큰돈도 벌었다. 하지만 그가 미술시장을무너뜨렸던가? 그건 아니다. 그가 자신의 작품 가격을 올렸던가? 물론이다. - P229
뱅크시에게 그리 호의적이지 않은 『가디언의 조너선 존스는 이렇게 썼다. "이번만큼은, 이 예술가는 예술을 오로지 상품으로만 여기는 시스템 전체에 강력한한 방을 먹였다. 소더비에서 벌어진 사건은 뱅크시의 가장 위대한 작업이다. 그는해야 할 말을 했다. 예술은 돈에 질식되어 죽어가고 있다. 시장은 상상력을 돈벌이로, 반항하는 예술을 권력자의 집을 꾸미는 장식물로 바꾼다. 이제 할 수 있는 유일한 반란은예술작품이 팔리는 순간 스스로를 파괴하는 것이다.‘ - P238
그의 작품 이면에는 설득력이 있든 없든 간에아무튼 거창한 이론은 없다. 관람객은 자신이 본 것에 곧바로 가닿을 수 있다. 병크지는우리로 하여금 그가 다루는 주제를 생각해보게 만들지만, 거기서 더 나아가지는 않는다. 그림을 숙고할 필요도 없고 누가 설명해줄 필요도 없다. - P243
그렇다. 뱅크시의 작품은 동시대의 다른 많은 작품들보다 훨씬 쉽다. 비평가들이야 좋아하지 않겠지만, 뱅크시는 완전히 새로운 관람객들을 예술세계로끌어들이는 데 성공했다. 미국의 사업가인 마크 실러는 전 세계 거리미술 아카이브 ‘우스터 콜렉티브‘에 이렇게 썼다. 앞서 앤디 워홀이 그랬던 것처럼 뱅크시는 여태까지예술을 감상한 적 없는 많은 사람들에게 예술이 무엇인지를 거의 혼자서 다시 정의했다." - P245
아직도 뱅크시가 예술계 정상에 올랐다는 증거가 필요하다면, 이게 바로 그증거다. 그리고 그는 스스로에게 했던 조언을 그대로 따랐다. 시장을 뒤집은 것이다. 말하자면 이런 것이다. 그는 갤러리도 없고, 딜러도 없고, 이름도 없고, 여전히 거리에있고, 늘 그렇듯 아웃사이더이다. 그러나 정상에 올라섰고, 아마도 그걸 좋아하면서싫어할 것이다. 뱅크시는 자신이 되고 싶지 않다고 말했던 바로 그것, 백만장자의 집을꾸미는 트로피가 되었다. 뱅크시는 인터넷에서 사고팔린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인터넷은그가 거리의 무법자로서 경력을 시작할 때 전 세계를 상대하는 갤러리로 삼았던 곳이다. - P2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