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 해의 마지막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밤은 푹푹 눈이 나린다........(백석,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중)

 

내가 아는 가장 아름다운 사랑 시를 쓴 사람

어쩌면 사랑에 목마른 젊은 시인의 치기가 보여주는 저 문장을 쓸 때, 가난해도 백석은 행복했을 것이다.

사랑을 하고 시를 쓸 수 있었으므로...

 

 

"서과나무에 사과가 안 열린다면, 사과가 열매를 맺었다고 쓰면 되는거야. 알겠어? 그게 바로 창조의 원리거든. 그걸 잘 알아야 해. 우리 문학가들은 창조자들이야. 당이 원하는 인간이 있다면, 우리는 그걸 만들어내는 거야. 그게 우리가 하는 문학이야. 알겠어? 자네는 시로 그 힘을 보여야 해.‘- P150

공장에서 찍어낸 듯한 정해진 시어들, 아니 선동구호들만으로 시를 쓰라는 요구를 받는 시인이라니.

 

"저 역시 시를 썼던 사람입니다. 그러나 그 말들은 제 안에서 점점 지워지고 있습니다. 음식 이름들, 옛 지명들, 사투리들..- P162

시인이 시를 쓸 수 없게 만드는 사회에서 백석은 언어 자체를 잊어버려간다.

 

책을 읽는 내내 마음이 먹먹하고 안타까웠다.

한국전쟁 이후 온 국토가 폐허가 된 북한에서 중요한 것은 아마도 생존이었을 것이다.

공습의 공포, 전쟁의 공포, 모든 인민이 멸절될 수 있다는 그 공포는 아마도 절망이었을 것이다.

그런 절망은 거의 항상 절대자에 대한 쉬운 열망을 가져온다.

인간의 나약함은 절대적인 절망상황에서는 너무도 쉽게 비상식적인 권위를 희망으로 여긴다.

 

1차 세계 대전 이후 처참한 경제의 몰락으로 고통받던 독일인들이 히틀러를 창조했고,

한국전쟁 이후 폐허의 공포가 김일성을 창조했다.

어디 그 뿐이랴?

강대한 자본주의 국가에 위협받던 소련에서는 스탈린의 독재가 용인됐고,

마오쩌뚱은 문화혁명이라는 괴물을 만들어냈다.

그곳들에서는 항상 문학이든 예술이든 존재하기 힘들다.

인간의 마음을 규격화하는것이 어떻게 예술과 양립할 수 있을까?

 

김연수의 소설 일곱해의 마지막을 읽으며 시를 잃어가는 시인 백석을 만난 밤

지금의 한국사회를 생각한다.

코로나란 공포가 다시 우리를 강타하고, 불신과 증오가 난무하고, 이 사태의 책임을 누군가에게 전가하고 싶은 사람들.

처음엔 신천지였고,

지금은 사랑제일교회고.

증오는 나아가 어제 오늘 진행된 온갖 공무원 시험에 대한 비판으로,

개학하는 학교로, 정부는 왜 셧다운을 하지 않는지 비난에 비난....

 

신천지나 사랑제일교회, 광복절 집회를 통해 바이러스를 퍼뜨린 세력들에게는 구상권을 청구하면 된다.

그리고 집회를 허가한 공직자들은 공식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

 

그러나 지금의 사태가 기독교 세력 전체에 대한 증오로 연결되어서는 안된다.

이러다가 한국에서 기독교 금지법안이라도 만들라고 요구하지 않을까 걱정이 될 정도다.

분노와 화가 어떤 존재 전체의 금지로 나아가서는 안된다. (아 제발 내가 기독교인이라서 이런 말을 한다고 오해하지는 말자. 나는 종교를 믿지 않는다. 다만 모든 종교를 존중하여 절에 가도 교회에 가도 이슬람 사원에 가도 기도를 할 뿐... 그 종교의 성인들은 다 인간다운 사회를 위해 헌신한 분들이라고 믿는 사람일 뿐이다.)

 

모든 증오는 결국 시인이 시를 쓰지 못하는 사회로 나가는 첫걸음이다.

백석이 시를 쓰지 못한 것은 그가 권력이 원하는 사회의 일률적인 규격을 맞출 수 없는 영혼이었기 때문이다.

어떤 세력에 대한 일방적인 증오와 폭력은 곧 코로나라는 바이러스만큼 전염의 힘이 세다.

인간의 힘이 감당할 수 없는 고통에 직면했을 때 인간은 언제나 내가 아닌 누군가에게 그 책임을 밀고 싶어해왔다.

지금은 기독교를 증오하지만, 이 사태가 더 걷잡을 수 없어진다면 그 다음에는 누구를 증오할까?

 

시인은 언제나 시를 쓸 수 있어야 하고, 삶은 언제나 계속되어야 한다.

시와 삶을 지속시키는 건 언제나 증오나 배제가 아니었다.

시를 쓰지 못하는 백석의 삶을 오늘 다시 살펴보는 김연수의 책이 나의 마음을 더욱 무겁게 하지만, 우리 공동체의 연대가, 다른 사람을 살피는 배려가 우리를 시와 삶으로 이끌어갈 것임을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