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크맨
애나 번스 지음, 홍한별 옮김 / 창비 / 2019년 10월
평점 :
품절


 

 

절박하다.

이 경이로운 소설을 한 마디로 표현하라고 하면 나는 저 "절박하다"라는 한 문장으로 대신하겠다.

소설을 읽는 내내 나를 따라다닌 감정은 바로 저 "절박하다"라는 것이었다.

 

소설의 배경은 1970년대의 북아일랜드다. 하지만 이 소설에서는 어느 곳에서도 고유명사가 등장하지 않는다.

국가도, 지역도, 살고 있는 동네도, 사람들의 이름도, 심지어 주인공의 이름조차도 등장하지 않는다.

모두가 보통명사로 지칭된다. 주인공을 가리키는 말은 그냥 가운데 딸이다.(그녀는 7딸 중에 딱 가운데 넷째다)

그녀와 썸을 타는 남자친구는 그녀를 부를 때 어쩌면-여자친구야라고 부른다.(요즘식 표현이면 썸타는 여자친구야정도?)

친구는 그녀를 부를 때 가장 오래된 친구야라고 부른다. 소설을 보다가 이런 장면에서는 살짝 키득거리게 되기도 한다.

가끔 이름이 등장하는 이들이 있지만 이들은 그야말로 이름 자체가 아무 의미없는 스쳐가는 인물이다.

중요 인물 중 유일하게 고유명사로 등장하는 인물이 있긴 하지만 이건 스포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니 넘어가자.
(혹시라도 이 글을 읽고 책을 보시는 분이 계시면 한번 맞춰보시라 하고싶다. 나는 못맞췄다.)

 

한 번도 이렇게 보통명사로만 이루어진 책을 본 적이 없고, 상상해본 적도 없다.

따라서 이것이 어떤 효과를 줄 지 알 수 없었는데, 책을 읽으면서 이것의 효과에 전율하게 된다.

고유명사가 없다는 것은 이 소설의 장소들이 어디나 될 수 있다는 말이고, 소설 속 인물이 바로 나 자신이 되거나 또는 나의 주변인물이 될 수도 있다는 몰입감을 선사한다.

그래서 더 절박하게 주인공 가운데 딸에게 감정이입했는지도 모르겠다.

이 책을 읽어나가는게 너무 어려웠다. 그야말로 꾸역꾸역 읽었다.

어려운 말 하나 없고 어려운 내용도 없다.

그런데도 이 책을 읽는건 결코 쉽지가 않았다.

그건 주인공 소녀가 느끼는 그 감정들이 모두 나에게로 휘몰아쳐왔기 때문이다.

나는 그녀가 되어 불안에 떨며 거리를 걷고, 사람들의 폭력적인 뒷말과 소문에 휘둘리고 있었다.

이런 정도의 몰입감을 주는 소설이 또 있었던가?

 

그래도 이 시기 북아일랜드의 상황을 어느 정도 알지 않으면 소설을 읽어나가다가 어리둥절해질 수 있는 장면들이 많다.  

북아일랜드의 역사는 워낙에 복잡해서 내 나름대로 북아일랜드의 그 암울한 상황을 각색해보았다.

 

이건 정말 그냥 예다.(영국에 일본을, 한국에 아일랜드를 대비시켜 얘기하면 북아일랜드인들이 느끼는 그 절박한 상황이 좀 더 잘 와닿지 않을까 싶어서.....)

일본이 우리나라를 식민지 통치한게 35년이 아니라 700년이라고 하자.

그 무자비한 통치를 700년이나 받았고, 우리는 그 기간동안 엄청나게 싸우고 독립운동을 했다.

왜? 당연히 일본의 통치하에 사는게 너무 고통스럽고 희망이 없으니까.

오랜 독립투쟁 끝에 드디어 독립의 순간, 해방의 순간이 다가왔다.

그런데 한국의 한귀퉁이 경상남도의 주민들이 독립을 반대한다.

왜냐하면 그곳에는 한 300년전부터 일본에서 이주해와 정착하고 대대로 뿌리를 박은 일본인들이 전체 주민의 50%에 달한다.

이 일본인들은 경상도 땅의 대부분을 차지한 지주로 이 지역에서 아주 떵떵거리고 살아왔다.

그런데 그 부를 그 토지를 다 버리고 일본으로 돌아가라고? 절대로 그럴 수 없다.

그리고 경상도에 사는 한국인들 중에서도 이 일본인들과 경제적 이해관계나 혼인관계 등으로 얽혀있는 이들이 많다.

물론 친일파도 많을 거고..... 이들은 한국의 독립을 결사반대한다.

이 상황에서 한국은 독립을 위해 경상도를 버리기로 결정한다. 일본과 더 싸울 힘이 모자라니 그냥 경상도만 일본 식민지로 두고 나머지 지역만 독립하기로 하는 것이다.

자 이제 경상도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50%의 일본인들은 나머지 50%의 한국인들이 다시 독립운동을 벌일까봐 전전긍긍하며 그들을 무력으로 짓누르고 감시하고 억압한다. 그들은 지역의 모든 군대와 경찰을 가지고 있고 심지어 본국의 군사적 지원까지 받는다.

조국이 독립했는데 버림받고 여전히 일본의 식민지배에 시달리는 경상도 지역의 한국인들은 이후 50년간 여전히 독립을 위해 싸운다. 이 50년간 경상도 지역은 일본인 거주지역과 한국인 거주 지역이 도로 하나를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서로를 향해 총구를 겨누고 있다. 그러면서 먹고 살아야 하니 생활공간은 또 겹친다. 이제 이 곳 한국인들의 거주 지역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 사람들의 마음은 어떻게 피폐해져 갈까? 도로 하나의 거리인 만큼 언제나 밀고자는 넘쳐나고, 정체성을 위협받는 상황은 수시로 일어난다. (실제로 북아일랜드의 상황은 여기에 카톨릭을 믿는 아일랜드인과 개신교를 믿는 영국인들 사이의 대립까지 겹쳐있어 더 복잡한 양상을 띤다.)

바로 이런 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여성들의 이야기가 소설 <밀크맨>이다.

 

 

반대자가 만행을 저지르면 ‘아, 하느님 맙소사, 나와 같은 관점에속한다는 이유로 내가 이런 행위를 지지한 꼴인가?‘ 하며 충격에빠지게 되지만, 다른 쪽에서 또 끔찍한 일을 저지르면 그런생각을 했던 것도 잊게 됐다. 또다시 충격을 받고 또 생각이 바뀌었다. 복수에 복수가 거듭됐다. 평화운동에 참여하고, 공동체 간의 대화를 추진하고, 다 함께 행진을 하고, 선하고 진정한 시민의식을 북돋고 하다가, 평화운동과 선하고 진정한 시민의식에 어떤 분파가 개입하고 있다는 의심이 들면, 운동을 접고 희망도 버리고 잠정적 해결책도 팽개치고 익숙하고 믿을 수 있고 필연적인 원래의 관점으로 돌아갔다. 그 시대에는 어디든 다 닫혀 있었기 때문에 우리도 폐쇄적일 수밖에 없었다. 우리 공동체도, 저쪽 공동체도....- P168

 

만약에 단 한 사람만 정상이고 나머지사람 전부가 정상이 아니라면, 집단의식에서는 그 한 사람이 미친 사람으로 취급되겠지. 그렇다고 그 사람이 미친 사람이니? ‘응" 친구가 말했다. - P285

 

 

이런 환경에서는 누구도 함부로 자신이 생각하는 바를 솔직하게 말할 수 없다. 말하기를 잊어버린다는게 더 적당한 표현일거다. 주인공 소녀도 자신의 감정을 누구에게도 보여주지 않으려한다. 꽁꽁 숨긴다.

그래서 소설은 철저하게 감정을 누르고 누른 건조한 문장들로 이어진다.

그러나 하고싶은 말이 없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하고싶은 말이 넘치고 넘쳐서 문장은 끝도 없이 같은 말을 반복한다.

상황이든 마음이든 무언가를 말하고자 할 때 상황에 맞은 또는 적당할 것 같은 모든 말을 쏟아낸다.

그렇게 많은 말을 쏟아내면서도 감정은 누르고 눌러진 상태가 어떻게 가능할 까 싶은데 이 소설이 바로 그 모순적 상황을 너무나도 완벽하게 펼쳐놓는다.

소설의 서술 기법은 너무나도 새롭고 경이롭다.

그러나 더 경이로운 것은 그런 모든 형식과 모든 문장이 어느 하나 버릴 것 없이 완벽하게 제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독자의 몰입을 위한 장치로 기능한다는 것이다.

 

소설의 뒷날개에는 이 책에 대한 각종 매체들의 소개글이 실려있다.

이 소설을 혹시 발견한다면 꼭 소개글을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그야말로 가지각색이다. 폭력에 대한 보편적 저항, 북아일랜드의 분쟁을 다룬 정치소설, 현대사회의 불안을 다룬 소설, 페미니즘 소설, 성장소설 등등.... 이 모두가 맞는 표현이다.

여기에 나의 평가를 덧붙이자면 니체의 말로 대신할 수 있을 것 같다.

 

괴물과 싸우는 사람은 그 싸움 중 괴물이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네가 심연을 오랫동안 들여다본다면, 그 심연 또한 너를 들여다볼 것이기 때문이다. - 니체, <선악을 넘어서> 중

 

오랫동안 폭력에 노출되고 일상화된 곳에서 인간 군상들이 어떻게 인간성을 말소당하고, 똑같이 폭력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고 판단하게 되는지를 이토록 잘 보여줄 수가 없다.

또한 그럼에도 빛이 존재한다라는 말은 꼭 하고 싶다.

설사 그 빛이 희미하더라도 이 책에 등장하는 프랑스어 선생님, 진짜 밀크맨 - 아무도 사랑하지 않는 남자, 그리고 소녀들의 이야기만 보면 이 소설은 휴머니즘의 희망을 이야기한다고 해도 되겠다.

하나의 소설이 이렇게 다양하게 읽힐 수 있다는 것도 경이롭지 않은가?

그 경이로움을 많은 사람들과 나누고 싶다고, 누구에게나 책을 들고 가 꼭 좀 읽어달라고 하고 싶은 글을 참으로 오랫만에 만났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쟝쟝 2021-03-08 11:2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소설의 구성이 독특하다고 여겼는데, 바람돌이님이 어떻게 독특한지 잘 써주셔서 저도 조금 더 새롭게 소설이 보이네요! 경상도 예는 ㅋㅋㅋ 북아일랜드 이해 확되브렀러요!! 잘 읽었습니다 😎

바람돌이 2021-03-08 19:20   좋아요 1 | URL
오우 칭찬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