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는 산 자들의 나라였다. 초나라에서 죽음과 죽은 자들은 금세 잊혔다. 죽은 자들은 마을에서 먼 강가나 초원의 먼 가장자리에 묻었다. 묻은 자리를 꾸미지 않고 흙이 들뜬 자리에풀을 옮겨 심고 가랑잎을 덮어서, 무덤이 늘어나도 초원은 평평했고 별일 없어 보였다. 죽은 자를 묻는 일도 별것이 없었다. 죽은 자들을 벌거벗기고 겨드랑이와 사타구니를 벌려서햇볕에 말렸다가 들것에 신고 초원으로 갔다. 가죽옷을 벗기고 햇볕을 쬐어주는 가벼움은 죽음이 가져오는 사치였다. 사체를 실어낼 때 촌장이 대열을 인솔했고, 그 앞에서 수탉이높이 울어서 죽은 자의 퇴거를 나하에 고했다. 선왕들의 정벌과 치적의 일부가 후대에 구전될 뿐, 초나라 사람들은 죽은자의 살았을 적 일을 입에 담지 않았고, 죽은 자를 위해 돌을쌓지 않았고, 죽어서 땅에 묻히는 일을 슬퍼하지 않았다. 축음은 산 자의 마을에 얼씬댈 수 없었다.
- P15

모든 휘두름은 닥쳐오는 휘두름 앞에서 덧없다. 수와 공은 다르지 않고 공과 수는 서로를 포함하면서 어긋난다. 모든 공과모든 수는 죽음과 삶 사이를 가른다. 그러므로 공에서 수로,
수에서 공으로 쉴 새 없이 넘나드는 자만이 살아남는다. 이엎어지고 뒤집히는 틈새를 사람의 말로는 삶이라고 부른다.
고 시원기』에 적혀 있는데, 수네 공이네 죽음이네 삶이네 하는 언설들은 훨씬 게을러진 후세에 기록된 것이다. - P23

산맥 위로 초승달이 오르면, 말 무리는 달 쪽으로 달려갔다. 밤은 파랬고, 신생(新生)하는 달의 풋내가 초원에 가득 찼다. 말들은 젖은 콧구멍을 벌름거려서 달 냄새를 빨아들였고,
초승달은 말의 힘과 넋을 달 쪽으로 끌어당겼다. 초승달이 뜨면 젊은 수말들은 몸을 떨면서 정액을 흘렸다.
- P48

추는 오리나무 밑동에 말고삐를 묶었다. 추가 말의 엉덩이를 두드리자 말은 무릎을 꿇었다. 추가 칼을 뽑았다. 백산 쪽 하늘에 초승달이 걸려 있었다.
총총은 고개를 들어서 초승달을 바라보았다. 총총의 이마에박힌 초승달 무늬가 하늘의 초승달을 향했다.
추는 칼로 총총의 목을 내리쳤다. 칼 지나간 자리에서 피가솟구쳤다. 총총은 쓰러져서 네 다리로 허공을 긁었다. 총총의머리는 세 번 칼을 받고서 떨어져 나갔다. 추는 웅덩이 물에칼을 씻었다.
- P63

춘분날 열병식에서 토하가 왕자 표를 태우고 목왕 앞에 나갔을 때 왕은, 말을 타고 달리는 자는 세상을 안다. 세상은 넓고 세상은 좁다는 것을 안다. 세상이 좁아서 멀리 달려가면세상은 넓어지고, 거기가 또 좁아서 더 멀리 달려간다. 말에올라타면 비로소 세상이 보이는데, 세상의 끝은 보이지 않고출발한 자리도 보이지 않는다, 라고 말했다.
- P82

금칠로 바다의 저녁 빛을 끌어들여 어둠을 휘젓는 소행을목왕은 추하게 여겼다. 저녁이 어둡지 않으면 저녁이 아니고들뜬 빛에 별들이 주눅 들고 풀과 말의 잠이 어수선해서 초원은 무너질 것이었다. 목왕은 초원의 어스름 속에 번뜩이는 빛을 더럽게 여겼다. 목왕은 여생의 짧음을 한탄했다.
- P86

서물은 전하지 않지만 그 문장을 읽은 자들의 기억의 파편몇 개가 후세에 전한다. 「토만평양육서」의 골격은 나하를 야만의 남진(南進)을 막아주는 은혜의 강물로 신성시하면서, 나하를 또한 세상을 둘로 갈라놓은 단절의 강물이었다고 쓰고,
이제 단의 상서로운 힘이 산하에 가득 찼으니 물 건너 북쪽에서 삶을 땅 위에 앉히지 못하고 인간의 말을 알아듣지 못하면서 금수 축생으로 떠도는 무리를 무로 평정하고 문으로 쓰다듬어서 왕의 은혜로 목욕시켜 새롭게 태어나게 하니, 나하는 비로소 가지런한 세상의 줌심을 흐르게 되는 것이라고 하는데, 언사가 낡았고, 옛글의 조각을 끌어모아서 꿰맨 자리가 여기저기 널려있었고, 꿰맨 솔기가 터져서 너덜거렸다. - P96

기록들은 쓴 자들의 마음에 쏠려서 허무했고, 후세에 쓴 글들은 서로 부딪쳐서 옮길 만한 문장이 없었으나, 이야기들은팔풍원의 꽃씨처럼 바람에 날려서 초원과 산맥에 흩어졌다. 홀어진 자리에서 돋아나고 퍼져 나가서 이야기는 끝이 없었다.
- P1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