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파 이전의 서양화는 언제나 어렵다. 왜냐하면 그림의 아름다움 여부를 떠나 그림의 소재가 대부분 서양의 역사거나 신화 아니면 성서의 이야기들을 소재로 하고 있어 그림이 담고 있는 스토리를 모르면 무슨 내용인지 어떤 장면을 그린건지 잘 모를 때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카노 쿄코의 그림 이야기는 항상 재밌게 읽힌다. 내가 모르는 그림속 이야기를 아주 친절하게 풀어주고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도판의 훌륭함은 그림을 온전히 보여주기까지 한다.

아 도판 얘기를 하려니 뭉크의 절규 얘기부터 해야겠다.
아주 운이 좋게도 노르웨이에 간적도 없는 내가 뭉크의 절규를 직접 미술관에서 만났었다. 2년전쯤 겨울에 중학교를 졸업했던 둘째 딸과 둘이서 일주일정도 일본 도쿄 여행을 했었다. 둘 다 그림에 관심이 많아 그야말로 미술관 여행이었는데 정말 운이 좋게도 뭉크 전시회를 만날 수 있었다. 그 때 노르웨이 국립미술관이 대대적인 리모델링에 들어갔다던가? 하여튼 밖으로 거의 나오는적이 없는 절규를 비롯한 뭉크의 엄청나게 많은 그림들이 일본 나들이를 한 것이다. 뭉크의 초기작부터 후기작까지 많은 작품들을 한꺼번에 만날 수 있었던 행운이었다.
평일 아침 일찍 미술관을 찾았는데 사람이 정말 어마어마했다. 우리도 유명한 그림이 오면 미술관이 복작복작하지만 이건 그 수준 이상이었다. 조용한 관람은 물건너갔고, 뭉크의 절규앞에서는 딱 2분정도 봤다. 줄 서서 이동하면서 사람에 떠밀려 봤으니.... 원작을 본 감동? 잘 모르겠다. 워낙에 많이 알려진 작품이고 이 책 도판이 워낙 훌륭하다보니 지금 도판으로 보는 것이나 별로 다르지 않은듯하다.
일본의 서양미술에 대한 관심은 우리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듯하다. 그 짦은 기간동안 내가 본 대형 전시만 뭉크전, 베르메르전, 루벤스전 3개였다. 전시의 규모도 대표작 1,2개에 소품들로 채우는 우리 전시와 달리 마치 현지에 가서 보는 듯 온전하게 작가의 연대기별로 충실하게 시기별 대표작을 모두 알차게 채워놓은 전시였다. 도대체 어떻게 이 많은 작품들을 한꺼번에 가지고 올 수 있었을까 싶은.....또한 그외 상설 전시관들의 컬렉션도 굉장히 훌륭했고.....
아마도 이런 문화적 환경이 나카노 쿄코같은 작가를 만들어낸게 아닐까 싶다.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다양한 작품들을 보고 즐길 수 있었던 사회적 인프라랄까?
더구나 도쿄의 대형미술관들은 모두 우에노공원 안에 몰려있다. 멀리 찾아 다니지 않아도 하루종일 걸어서 미술관만 돌아다녀도 되니 접근의 편리함이 아마도 이런 미술에 대한 관심과 소양을 더 키워줄듯하다. 이 부분은 살짝 부러웠다.

나카노 쿄코의 이번 책은 운명이라는 주제로 그림들을 모았다. 책 속의 그림들은 이미 본적이 있는 그림들보다 처음 보는 그림이 더 많다.
시작부터 로마의 검투 장면을 거린 제롬의 <아래로 내린 엄지>로 시작해 패배한 검투사의 삶과 죽음의 기로의 순간을 표현한 그림으로 시작한다. 그림에 대한 설명과 함께 당시 로마의 검투사들의 처지 진행과정 등을 쉽게 설명하니 그림과 역사가 이야기로 어우러진다. 물론 깊이있는 심오한 이야기를 하는건 아니다. 이 책의 그림을 감상하는데는 약간의 배경지식만 있으면 충분할테니.... 누구든 쉬운 문장으로 상세한 그림 이야기로 쉽게 그림을 볼 수 있다는게 이 책의 최대 장점일듯하다.

의외로 가장 인상적이었던 그림은 메인더르트 호베마라는 네덜란드 작가가 그린 풍경화 <미델 하르니스의 가로수길>이라는 작품이다.
전에도 어디선가 봤던 작품인것 같은데 그저 평범한 풍경화라고만 생각하고 넘어갔던듯하다. 아마도 원근법의 들장 정도만 신경 쓰지 않았을까? 하지만 이 그림이 내포한 스토리는 생각보다 흥미진진했다. 가로수길이라는 것이 시작은 귀족의 전유물이었다는 것. 하지만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전쟁을 벌여 자유를 쟁취했던 네덜란드에서는 이 가로수길의 계급성이 사라지고 장중함을 연출할 필요도 없이 누구나가 향유할 수 있는 길로 등장한다. 또한 네덜란드이 자연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그들의 치열한 고민이 이 그림속 길에 담겨있다. 포플러 나무를 선택한 것은 이 나무의 실용적 용도- 쳐낸 아래쪽 가지와 잎을 비료로 사용하고, 줄기를 습기가 많은 네덜란드에 적당하누나막신의 재료로 삼으며, 지면의 흙이 넘치는 물에 쓸려가지 않도록 단단하게 잡아주는 역할-를 모두 고려하여 네덜란드이 환경에 맞게 조성된 것이다. 풍경화 하나에서 당대 네덜란드인들의 지난한 삶의 과정이 모두 펼쳐져 있는 느낌이다.

표지 그림인 아리 셰퍼의 <파올로와 프란체스카>역시 이야기와 함께 읽으면 더욱 안타깝고 아름다운 그림이다. 불행한 정략결혼을 했던 두 연인의 사랑과 죽음이 어떻게 이야기가 되지 않을 수 있을까?

스토리와 함께 만나는 그림 이야기는 언제나 즐거운 독서의 시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