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킹의 생애 최초 탐정물이라는 빌 호지스 3부작은 약간 특이한 구조를 갖고있다.
각권이 독립적인 것 같으면서도 1부와 3부는 완전히 연결되어 있고 2부 <파인더스 키퍼스>만이 홀로 독자적인 사건 구조를 이룬다. 미리 말한다면 나는 저 2부 <파인더스 키퍼스>가 제일 좋았다. 하지만 리뷰를 쓰기에는 읽은지가 오래 되어 기억이 가물 가물.... ㅠㅠ

1부와 3부는 퇴직형사인 빌 호지스가 사이코 테러리스트인 브래디와 대결하는 것이 이야기의 기본 뼈대를 이루고 있다.

이야기는 태생적 사이코인듯한 브래디의 의식을 따라가는것이 한 축을 이루고 나머지 한축은 퇴임 후 무기력해지고 있는 빌 호지스의 의식을 따라가는것이 한 축이다. 결국 이 두 인물의 매력과 그럴듯함에 이야기의 재미가 딸려있는 셈인데, 나머지 추리소설의 핵심이라 할 사건과 사건을 풀어가는 과정의 이야기적 재미는 떨어지는 편이다. 후자 즉 이야기적 재미를 따지자면 역시 2부인 <파인더스 키퍼스>가 가장 좋다.

브래디의 이야기를 먼저 하자면 1부까지는 괜찮은 캐릭터였다. 어느 날 그저 뭔가 위대해져보이고 싶다는 또는 자신의 능력을 세상에 알리고싶다는 충동으로 메르세데스를 훔쳐 사람들을 향해 돌진하는 태생적 사이코. 그리고 이후에도 막연한 다중에 대한 증오를 바탕으로 자살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인물이다. 그가 범죄를 저지르는 이유가 불분명하고 그저 사이코이기 때문이라는 설정은 약간 불편하긴 하지만 뭐 세상에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사이코가 많기도 하니 이런 설정도 나쁘지는 않다. 하지만 3부에서 식물인간 상태였던 브래디가 깨어나고 자신의 육체를 벗어나 유체이탈과 다른 육체로의 빙의를 통해 범죄를 저지르는 것에 이르면 이거 뭐임? 하는 생각이 든다. 브래디를 너무 살리고싶었던 작가가 너무 나간게 아닌가 싶다. 차라리 브래디가 깨어서 정신병원을 탈출해 호지스와 대결을 벌이는게 낫지 이건 뭐 장르파괴도 아니고.... 갑자기 이야기의 현실성이 훅 떨어지면서 독자를 어이없게 만들어버린다. 아 킹 아저씨 이건 아니잖아요!

빌 호지스라는 인물을 설명하는 광고문구에 스티븐 킹판 필립 말로의 탄생이라고 본 것같은데 사실 이 문구에 낚였다. 경찰에서 퇴직하고 보니 갑자기 존재의의를 상실하고 아내와는 이혼했고 하나밖에 없는 딸은 멀리 살면서 가끔 전화나 하는 무기력하고 고독한 빌 아저씨. 이만하면 조건적으로는 충분히 필립 말로가 될것도 같다. 하지만 구체적인 디테일로 들어가면 호지스 아저씨는 하드 보일드 탐정이 되기에는 지나치게 감정적이고 의존적이며 따뜻하다. 거기다 자꾸 아파서 독자를 걱정시킨다. 자신의 재임 기간동안 미제사건으로 남았던 메르세데스 살인범을 잡지 못한것에 대한 책임감으로 괴로워하는 호지스아저씨는 너무 인간적이다. 한 마디로 쿨함과는 백만광년쯤 떨어진듯하다.

어쩌면 작가는 인간적인 감정에는 완전히 백지인 브래드와 인간적 따뜻함으로 중무장한 빌 호지스의 대비를 통해 사람들간에 여전히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고자 한 것같기도 하다. 이는 주변 인물을 통해서도 나타나는데 브래드 주변의 인물은 그의 어머니조차도 인간적 교류와는 한참 멀고 소통부재의 인물이다. 브래드는 누구와도 공감하지 않고 누구와도 소통하지 않는 절대 고독의 인물이다. 하지만 빌 호지스는 옆집의 어린 소년과도 따뜻한 우정을 나누고 우연히 만난 신경쇠약성 우울증에 시달리는 중년의 여인에게도 따뜻한 손을 내밀줄알고 그 따뜻함과 배려를 돌려받기도 한다. 문제는 이런 캐릭터의 매력이 1권에서 끝이라는 것. 3부에서는 캐릭터의 반복 중 이야기가 우주 저멀리 어디로 광탈이동해버리는 바람에 캐릭터의 매력마저도 같이 날아가버린다. 우리 사랑스런 호지스 아저씨가 필립 말로가 될 기회도 같이 날아간다. 안녕 호지스 아저씨, 안녕 필립 말로!


브래드는 1부에서 끝을 맺고 3부는 차라리 다른 이야기로 돌아왔다면 빌 호지스 3부작이 좀 더 근사하게 완결되지 않았을까? 아쉬움이 많이 남는 독서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