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수레 전쟁 - 평화를 위해서는 전쟁을 알아야 한다 오늘의 청소년 문학 7
진 메릴 지음, 김율희 옮김 / 다른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목적은 전쟁이 뭔지를 알아야 평화를 알 수 있다고...
그런데 전쟁이란게 항상 너무 거창하기만 해서 보통의 사람들은 그 본질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동화의 형식으로 이런 책을 쓰게 되었노라고 저자는 서문에서 얘기한다.
손수레 전쟁이란 다소 웃겨보이는 제목도 이런 의미에서 탄생한 것일게다.

배경은 뉴욕!
대도시가 그러하듯 이곳도 교통혼잡이 장난이 아니다.
이런 교통혼잡의 원인을 대형트럭들은 모두 길을 막는 조그만 손수레들 - 우리나라로 치면 노점상들이다.-에게 돌리고 늘 손수레들을 그 육중한 덩치로 위협한다.
그러던 와중에 아주 의도적인-그러나 실수를 가장한  대형트럭의 횡포에 의해서 한 손수레가 박살이 나고 꽃을 팔던 손수레 상인이 다친다.
이제 뉴욕시의 손수레 상인들은 트럭을 향해 전쟁을 선포한다.
하지만 명시적인 선전포고는 아니고 아주 은밀한 선전포고다.
그 방법이 아주 기발한데 이런바 콩알탄 작전!
새총에 장전한 뾰족한 콩알탄으로 트럭의 타이어를 펑크냄으로써 교통혼잡의 주범이 누구인지를 명명백백하게 밝히겠다는 것.
작전은 대성공이었지만 힘없는 그들에게 승리는 순간이었다.
곧 대규모의 트럭회사 삼인방이 움직이고 이 모든 교통혼잡의 원인을 손수레상인들에게 돌리려는 음모가 진행된다.
동시에 손수레 상인들을 지도하는 이를 찾아 납치하려는 계획까지.....

하지만 아주 우연한 이유에 의해 그들의 음모는 사전에 손수레 상인들의 귀에 들어가고 손수레 상인들의 반격이 시작된다.
결국 은밀하게 시작되었던 전쟁은 공공연한 전면전으로 번지게 되고....
결론까지는 책을 읽을 사람을 위해서 남겨두자.

이런 과정들이 전쟁의 어떤 면들을 반영하는 걸까?
전쟁이란 것이 평소의 여러가지 누적된 불만과 서로에 대한 불신 증오 이런것들이 어떤 한 도화선을 만나면 예기치 않게 폭발하듯 일어난다는 것.
거기에 권력을 가진자들은 그렇지 못한 자들보다 오히려 더 비겁한 수를 쓰며 자신들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나선다는 것. - 이책에서처럼 그들은 자신의 죄를 힘없는 자에게 전가시켜 버리고 그것이 어려우면 심지어 납치라든지 하는 말도안되는 짓들조차 서슴없이 저지른다는 것.
그리고 전쟁의 종결이나 평화는 억압당한 자의 희생적인 저항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
열심히 찾아내면 이정도가 될 것이다.

하지만 문제점도 많다.
평화를 얘기하기 위한 전쟁이야기인데 그 전쟁의 실질적인 시작은 이 책에서 보면 손수레 상인들이 시작하는 듯 보인다.
잘못보면 억압당하고 힘없고 그래서 생존권을 위협당하는 이들이 전쟁의 시작자라는 얘기가 되어버리는 것.
물론 이 책은 끝까지 손수레 상인들을 지지하고 옹호한다.
그렇다면 이 책의 서문을 그런식으로 즉 평화를 위해서 전쟁이 어떻게 시작되는지를 위해 이 책을 썼다고는 얘기하지 말았어야 했다.
저자의 서문대로라면 평화를 깨뜨리고 전쟁을 시작한 책임이 트럭의 횡포에 의해 생명마저 위협받는 손수레 상인들이 져야 한다는 얘기다. 아주 잘봐줘봤자 양비론이다.
오히려 저자의 서문은 진정한 평화는 자신의 생명과 권리를 지키기 위해 싸우는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얘기되어졌어야 한다.
오늘날 누가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이나 이라크 침공과 한국 농민들의 반FTA싸움을 같은 전쟁이라고 하는가!

또 하나 전쟁의 본질을 쉽게 보여주기 위해 동화의 형식을 취했다고는 하지만 이 책속의 전쟁은 너무 희화화되었다.
전쟁이라기 보다는 무슨 모험담 같은 분위기다.
아무리 그래도 전쟁이 무슨 모험담 같이 또는 뭔가 웃기는 것으로 얘기되어져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오늘 날 인류의 가장 큰 비극을 풀어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아이들과 같이 이 책을 볼 수 있을까 싶어 열심히 읽었지만 역부족이라는 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