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아름다운 정원
심윤경 지음 / 한겨레출판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의 친구 한명은 딸부잣집의 맏딸이었다.
줄줄이 딸을 낳고 겨우 아들 하나를 얻은집.
할머니와 같이 살았는데 그 할머니의 며느리 구박이 장난이 아니었단다.
또한 늘 그렇듯이 손자 하나를 끼고 살면서 손녀딸들에 대한 구박도....
친구가 대학을 떨어지고 재수를 할때에 계집애 공부시켜서 뭐하냐며 며느리에게 온갖 구박을 했던 할머니.
이 할머니가 돌아가셨을 때에 그동안 엄마에게 했던 그 구박들이 너무 생생해서 눈물도 안나더라는 말을 친구에게 들었더랬다.

그리고 또 하나의 이야기.
펼쳐놓으면 이런 소설 한 열권은 나올것 같은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이야기가 또 내 주변에 있다.
며느리뿐만이 아니라 손자까지도(손녀딸도 아니고) 핍박의 대상이 되어 평생을 며느리 가슴에 멍을 들인 이야기.
그래서인지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몰입한 건 동구의 할머니와 엄마의 관계였다.
저렇게 한 인간을 핍박할 정도로 할머니를 몰아댄 건 뭐였을까?
보통 시집살이 당한 사람이 며느리 시집살이 시킨다고 하지만 그것도 사람따라다.
다 그런건 아니라는 얘기다.
오히려 자신이 너무 시집살이를 혹독하게 당했기 때문에 자신의 며느리에 대해서는 한없이 관대한 사람도 있다.

책을 읽는 동안 내내 할머니의 심리상태가 궁금했었다.
다른 사람은 소설이니 극단적이라서 그러리라 하지만 나에게는 이게 극단이 아니라 이보다 더한 경우를 들었으니 말이다.

집안 식구들을 그래도 가족이라는 끈으로 묶어주던 영주가 죽고
아버지는 동구에게 나를 중심으로 그래도 가족인데 살아야 하지 않겠냐고 한다.

제발 아버지가 집착을 버리면 좋겠다. 이렇게 온 가족이 만신창이가 되었는데도 아직도 아버지는 자신이 중앙에 서있는지 밀려났는지 그것부터 염려한다...... 지금 아버지를 가장 괴롭히는 것은 아버지가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던 절대적인 권위가 오늘날 우리 가족 누구에게도 힘이 되지 못하고, 아버지가 애써 생각해 낸 위로의 말이 엉마의 병을 낫게 하지도 못하고, 아버지가 마지막까지 믿었던 할머니가 저렇게 한심한 모습으로 자신의 모습을 책임지지 못하는, 아버지가 한번도 그러리라고 생각하지 못했던 아버지의 끔찍한 무력함일 것이다.

아버지의 대응에 대한 동구의 생각!
모두가 영주가 가족을 이어준다고 생각하지만 기실 이 가족을 지탱해준 것은 동구의 그 착함과 권위가 아니라 사랑으로 가족을 감싸안았던 동구의 힘이 아니었을까?
아버지의 권위는 가족을 파탄나게 하는 바로 그것이 아니었을까?

할머니도 피해자라는 생각은 잘 들지 않는다.
할머니가 그렇게 피폐한 영혼을 가지게 된것도 가부장제의 피해자였기 때문이라고 편하게 얘기할수도 있겠지만 그럼에도 할머니가 자신의 권력을 맘껏 부리고 사는 가해자라는 생각이 떠나지 않는다.

폭력으로 유지되는 사회와 폭력으로 유지되는 가족.
하지만 그건 유지되는게 아니다.
안으로 안으로 무너져 가고 있는 것일뿐....
동구의 가족과 70년대의 대한민국이 모두 안으로 안으로 무너져 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동구만이 희망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노아 2006-12-24 13: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제목보고서 "천하장사 마돈나"인가? 했어요. 이 책 관심만 가져보고 아직 보지를 못했네요. 심윤경 작가 칭찬을 많이 들어서 유독 더 궁금해지고 있답니다.
바람돌이님 올해 님 서재를 드나들면서 많이 배우고 또 감동도 받았어요~
크리스마스 예쁘게 지내셔요~ 메리크리스마스, 앤 해피 뉴 이어~입니다. ^^

바람돌이 2006-12-26 16: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노아님 그러고 보니 천하장사 마돈나의 주인공도 동구네요. ^^ 심윤경씨의 책은 묘하게 사람을 잡아끄는 면이 있는 것 같아요. 그리고 그가 자신의 자질구제한 또는 그놈의 체험담에서만 꾸역꾸역 글의 소재를 발견하는게 아니라는 면도 맘에 들고요. 마노아님도 한 번 읽어보세요. 아마 맘에 드실거예요. 아니면 할수 없고.... ^^
마노아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