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필리아의 그림자 극장 ㅣ 베틀북 그림책 13
프리드리히 헤헬만 그림, 미하엘 엔데 글, 문성원 옮김 / 베틀북 / 2001년 7월
평점 :
메멘토 모리.
- 삶의 정점에 있을 때 우리는 죽음이라는 또 하나의 면을 보지 못한다.
오필리아라고 하는 노처녀는 극장에서 그저 대사를 읽어주는 목소리 작은 , 체구도 작은 여자일 뿐이다.
허나 그녀가 자신이 가장 잘하는 극장에서의 그 역을 그만두게 되었을 때.
그녀에게는 또 다른 자신의 일을 만나게 된다. 온화하고 온화하여 모든 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그녀.
그림자들을, 제 그림자가 아니라 주인잃어 외로운 그림자들을 보듬게 되었다.
그리고 그 그림자들과 하얀 막을 펼치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그림자극장을 운영하게 되었다.
또한 그 그림자들과 여행을 하며 자신이 세상에서 가장 잘하는 대사 읽어주기를 한다.
그리고, 낯설은 죽음이란 그림자도 받아들인다. 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극을 공연하고 있다. 지금도...
지극히 아름답고, 슬프고 몽환적인 이 그림책의 내용은 일견 그저 그런 죽음의 이야기로 받아들이기에는
무언가 극히 아쉬운 무언가가 숨어있다. 이 그림책은 전쟁이라는 것을 온몸으로 겪어내고 그 전쟁으로
망가지고 쓰러진 그의 동족들을 위로하기 위한 진혼곡이다.
찢어지고 망가진 마음과 흩어진 동료들 외로움과 마음으로부터의 외면을 겪어서 황폐해진 작가 그 자신과
그 주변의 '외로운' '슬픈' '주인 잃어 방황하는' 독일인과 모든 사람들에 대한 진혼곡이다.
모든 것을 잃게 되었을 때 비로소 찾아낸 새로운 완성을 이룬 영혼의 어루만짐이다.
그리고 철저하게 정형화된 기독교적인 세계관을 천명한 이야기이다. 옛이야기의 형식을 가지고 있는
이야기는 천국과 죽음. 선자들의 천국행을 말하고 있으며, 죽음이란 단지 받아들여야만 하는
지극히 정상적인 생의 한부분임을 말하고 있다.
아마도 이 리뷰는 일견 생소하고 일견 완벽하지 않은 낯선 시선의 글이 될 것이다.
나는 모르겠다. 이 책을 처음, 두 번째, 몇 번을 읽을 적마다 달라지는 감상들 속에서 지금 내가 느끼고 있는
이 느낌은 바로 아픔이었다. 그림들은 비록 아름답고 몽환적이었지만 너무나 나의 느낌과 닮은 그것은
슬프다. 따뜻하게 어루만진다. 마지막 장을 덮을때 그러나 나는 천국에 갈 자신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