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은 어디서부터 온 것일까?
때때로 그런 생각을 한다.
빵은 어디서 시작된 것일까?
밀가루가 부풀면서 시작된 빵의 역사 같은 것 말고
나 개인적인 범주에서 빵의 시작말이다.
가장 유력한 시기는
어머니가 제과제빵 학원에 다니면서 부터이다.
나는 그게 무엇이건 그 '맛'을 알면
그때부터 거침없이 빠져들게 되는 것 같다.
그런데 '맛'을 안다는 것은 꽤 오묘한 과정 속에서 이루어진다.
가령 '빵맛'을 알기 위해서
어떤 이는 빵을 한 번 맛보면 되지만
어떤 이는 빵을 여러 번 맛보다가 갑자기 득도(?)하게 되는 것이다.
나는 전자와 후자 모두에 포함된다.
내가 빵을 두고 '천상의 음식'이라고 느낀 첫 사건은
어릴 적 내가 살던 동네에 피자트럭이 와서 피자라는 것을 홍보하기 위해
동네 아이들에게 무료로 그것을 나눠주던 때였다.
아주 긴 줄에 서서 기다림 끝에 받아 먹은 그 작은 피자 한 조각은
정말로 형용할 수 없는 맛이었다.
'아니 세상에 이런 것이 있나!' 하면서
정신이 번쩍 들었다.
왠지 또 다시 줄을 서서 이 피자라는 것을 두 번이나 맛본다는 것이
무례한 짓 같다는 생각이 들어 한 번 먹고 그만 두었지만
그 뒤로도 계속 피자가 준 충격은 쉽사리 가시지 않았다.
그러던 중 어머니가 제과제빵 학원에 다니시게 되었고
학원에 갔다가 돌아오는 저녁이면
우리 집은 빵세례 속에서 행복해했다.
레몬 케이크, 생크림 케이크, 도넛, 식빵, 야채뺭 등등
잠들기 전에 그런 빵들을 계속 먹으니
살이 안 찔 수가 없었다.
나는 그때 처음으로 '배가 나온다'는 것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
사람의 배가 이렇게 해서 앞으로 나오는 것이구나, 하고
굉장히 어린아이 다운 사고를 했던 것 같다.
이런저런 빵을 맛보면서
나도 모르게 서서히 빵맛에 젖어 들고
어느새 빵이란 것을 먹지 않는 삶을
생각할 수 없게 되었다.
하지만 그렇게 십 여년을 살면서
매일매일 쉬지 않고 빵을 먹다보니
어느 날 식도염에 걸리게 되었다.
빵도 빵 나름인데
내가 워낙 이런 저런 빵을 먹다보니
꼭 원료가 좋은 빵만 먹은 게 아니었고
당시에 외식만 하면 꼭 밀가루 음식만 먹어대서
내 위장이 조금씩 약해졌던 것이다.
(여기서 위장이 약해진 것은
식도염의 결정적인 원인이다.
약해진 위장이 소화를 제대로 못시키면서
위산이 식도쪽으로 올라오게 되고
그러면서 식도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었다.)
그래서 어쨌든 식도염에 걸렸고
의사 선생님이 '빵 먹으면 안 돼요.'하고 말했을 때
내 머릿 속에는
'그럼 어떻게 살라는 건가요?'하는 말이 딩딩 울렸다.
하지만 무시무시한 식도염의 고통 속에서
(사실 고통이라기보다 답답함인데, 정말 무시무시하다.)
밀가루 음식은 입에도 대지 않고 두 달을 버텼다.
'거의 완치' 판정을 받고부터
또 빵을 먹기 시작한지 벌써 3년쯤 지났을까.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일주일에 두어 번은 먹는 것 같다.
이것도 줄여야 할 텐데
생각처럼 쉽지 않다.
빵 대신 떡을 먹어보기도 하지만
며칠 간은 떡이 맛있다고 하다가도
역시나 빵이 줄 수 있는 것을 떡은 줄 수 없다는 점에서
다시 빵으로 돌아오게 된다. (그것이 무엇이간데?)
그래서 내가 왜 이럴까 하고 궁금하던 터에
신문에 나온 기사 하나를 보게 되었다.
조용필의 킬리만자로의 표범을 작곡하신 분의 인터뷰였는데
그 분이 자신은 어른이 되어서도 서구적인 음식을 더 좋아한다며
아무래도 어린 시절 전쟁 통에 구할 수 있는 먹을 거리가 빵 같은 거여서 하도 먹다보니
아예 그런 쪽으로 입맛이 길들여 진 것 같다고 하셨다.
사람의 입맛에 그 사람이 살아온 세월이 녹아 있다는 게 신기하고
안타깝고 그랬다. 나 역시 나의 시간들이 내 입맛에 쌓여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니
신기하고 안타까운 그런 기분이 들었다.
하지만 빵이라는 것은
언제 먹든 빠져들게 되었을 거라고 생각한다.
역시 나에게 이것은 운명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