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라도 쓰는 게 중요하다. 

 

-친구와 포 베이 (쌀국수+매운 볶음밥) ; 해후라고 할 만큼은 아니지만, 느낌은 거의 오래 묵은 세월을 뚫고 만난 것 같았다. 친구의 헤어 스타일이 참으로 도시적이었다. 칼로 자른 듯 그러나 한층 세련된 그 차가운 느낌. 그러나 헤어 스타일과 상관없이 사우디 아라비아에 가서 한국식 난방으로 가동되는 아파트를 건설하라거나, 중국의 고산지역에서 매일 아침 10km의 산길을 헤치고 나아가 물을 길어오라고 해도 거뜬히 해낼 것 같은, 생존적인 매력이 있는 친구다.(뭐라 설명 할 수가 없다.) 

-혼자 서점 ; 영어 공부 하려고 영어 원서 뒤적거리다가 갑자기 들이닥친 외국인들에 흠칫 놀라 슬그머니 다른 쪽으로 피신했다. 한국인과 함께 왔는데 'it's fine'이라고 누군가 말했다. 영어다. 왁. 나도 외국인과 친해지고 싶다. 어떤 기분일까? 그나저나 세스 고딘의 '더 딥'을 사려다가 조금 비싸서 포기했다.  

-성적 확인 ; 오늘 토익 성적 나왔다. 좌절과 조용한 환희가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겠지. 나는 조용한 환희 쪽에 가까웠다. 점수가 진리인 날도 있는 것이다. 조금 기뻤다. 조금. 내 생각에 우리나라 사람들은 토익 점수 너무 높은 편인 것 같다. 특히 목표 점수는 더 높다. 상향 평준화라고 하던데. 그렇다고 하향 될때까지 기다리고 있을 수도 없지 않나. 

 -현미 ; 밥에서 떡 맛이 난다.     

 

-오늘 안과도 갔다왔다. 코가 막히는 것과 눈이 건조한 것 사이에 뭔가 연관이 있나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락방 2011-03-20 18: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 경험에 의하면요, 점수는 늘 진리였어요. 늘.

김토끼 2011-03-22 08:00   좋아요 0 | URL
시험을 오랜만에 봐서, 잠깐 잊고 있었어요 .. 이 세상 어딘가에 모든 인간을 점수로 환산하는 기계같은 게 있지 않을까요. 여러 가지 항목을 조합해서 뭐 체력, 리더십, 배려심, 독립심, 추진력 등등을 수치화 한 그런 것이 있지나 않을런지.. 어릴 때 프린세스 메이커를 너무 했나봐요. 몹쓸 상상력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