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더니티'의 형성과 전개를 톺아보다
경성대 문화총서 <예술과 문화> 외 2권
2004년 10월 31일 이은혜 기자
경성대출판부에서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20세기 고전번역 작업이 권수를 쌓아나가고 있다. 최근 번역된 책으로는 ‘예술과 문화’(조주연 옮김), ‘시각과 시각성’(최연희 옮김), ‘문화와 국가’(박형섭 옮김)가 눈에 띈다. ‘예술과 문화’는 20세기 미술비평의 거장인 클레멘트 그린버그의 비평서다. 1939년부터 20여 년간 써온 2백86편의 비평문 가운데 37편만을 추려낸 것. 그린버그는 유럽의 고급문화 전통을 인정하면서도, 특히 20세기 초 마네-인상주의-세잔느-입체주의로 이어지는 아방가르드 세력에 주목한다. 그러나 아방가르드의 대표주자인 입체주의의 평면성은 지나치게 형태에 집착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열린 회화적 추상’을 구현한 미국의 아방가르드로 초점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우리가 잘 아는 잭슨 폴락, 한스 호프만, 바넷 뉴먼 등이 그린버그에 의해 국제적인 반열에 오르게 된다. 이처럼 미국 미술비평에 이론적 전환을 일으켰던 그린버그의 비평들은 포스트모더니즘이 도래하자 심각한 도전을 받게 된다.
‘예술과 문화’가 모더니즘 미술 한가운데서 그 지형을 그리고 있다면, ‘시각과 시각성’은 모더니티의 시각체계에 대해 비판적으로 다가선다. 국내엔 ‘실재의 귀환’으로 소개된 바 있는 핼 포스터가 엮은 이 책은 모더니티 시각체계 속에서 당연하고 자연스럽다고 여겨졌던 것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데카르트적 원근법주의로 대변되는 근대의 시각체계를 역사화·사회화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는데, 이 지배적인 시각양식이 어떤 주체와 성격을 띠며 어떻게 변동해왔는가를 추적한다. 마틴 제이, 조나단 크래이, 로잘린드 크라우스 등의 글도 함께 담겨 있는데, 이 책은 모더니티/포스트모더니티 논쟁의 연장선상에서 모더니티의 시각성 문제를 검토하는 지평을 연 상징적인 전거로 꼽히고 있다.
한편 ‘문화국가’는 프랑스를 거대한 ‘현대적 문화국가’라 지칭하며, 프랑스문화가 어떻게 타락·변질해왔는가를 보여준다. 저자는 ‘현대적’이랄 수 있는 국가가 주도하는 문화현상들이 평등과 대중화를 지향하면서 어떻게 고상한 취향들을 억압해가는가를 파헤친다. 이를 위해 20세기의 주요 문화적 사건들, 문화정책, 예술작품 등 문화전반을 살피고 있다. 저자의 통찰력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는 막연히 초현대화에 중독돼 온 프랑스 정신의 고통을 읽을 수 있다. 저자는 집권당이나 관료들이 문화예술을 정치적으로 이용해왔음을 밝히며, 결국 프랑스 문화가 종교적 숭배의 대상으로 전락하고 말았음을 고발하고 있다. 이은혜 기자 thirteen@kyosu.net
|
경성대출판부에서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20세기 고전번역 작업이 권수를 쌓아나가고 있다. 최근 번역된 책으로는 ‘예술과 문화’(조주연 옮김), ‘시각과 시각성’(최연희 옮김), ‘문화와 국가’(박형섭 옮김)가 눈에 띈다. ‘예술과 문화’는 20세기 미술비평의 거장인 클레멘트 그린버그의 비평서다. 1939년부터 20여 년간 써온 2백86편의 비평문 가운데 37편만을 추려낸 것. 그린버그는 유럽의 고급문화 전통을 인정하면서도, 특히 20세기 초 마네-인상주의-세잔느-입체주의로 이어지는 아방가르드 세력에 주목한다. 그러나 아방가르드의 대표주자인 입체주의의 평면성은 지나치게 형태에 집착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열린 회화적 추상’을 구현한 미국의 아방가르드로 초점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우리가 잘 아는 잭슨 폴락, 한스 호프만, 바넷 뉴먼 등이 그린버그에 의해 국제적인 반열에 오르게 된다. 이처럼 미국 미술비평에 이론적 전환을 일으켰던 그린버그의 비평들은 포스트모더니즘이 도래하자 심각한 도전을 받게 된다.
‘예술과 문화’가 모더니즘 미술 한가운데서 그 지형을 그리고 있다면, ‘시각과 시각성’은 모더니티의 시각체계에 대해 비판적으로 다가선다. 국내엔 ‘실재의 귀환’으로 소개된 바 있는 핼 포스터가 엮은 이 책은 모더니티 시각체계 속에서 당연하고 자연스럽다고 여겨졌던 것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데카르트적 원근법주의로 대변되는 근대의 시각체계를 역사화·사회화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는데, 이 지배적인 시각양식이 어떤 주체와 성격을 띠며 어떻게 변동해왔는가를 추적한다. 마틴 제이, 조나단 크래이, 로잘린드 크라우스 등의 글도 함께 담겨 있는데, 이 책은 모더니티/포스트모더니티 논쟁의 연장선상에서 모더니티의 시각성 문제를 검토하는 지평을 연 상징적인 전거로 꼽히고 있다.
한편 ‘문화국가’는 프랑스를 거대한 ‘현대적 문화국가’라 지칭하며, 프랑스문화가 어떻게 타락·변질해왔는가를 보여준다. 저자는 ‘현대적’이랄 수 있는 국가가 주도하는 문화현상들이 평등과 대중화를 지향하면서 어떻게 고상한 취향들을 억압해가는가를 파헤친다. 이를 위해 20세기의 주요 문화적 사건들, 문화정책, 예술작품 등 문화전반을 살피고 있다. 저자의 통찰력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는 막연히 초현대화에 중독돼 온 프랑스 정신의 고통을 읽을 수 있다. 저자는 집권당이나 관료들이 문화예술을 정치적으로 이용해왔음을 밝히며, 결국 프랑스 문화가 종교적 숭배의 대상으로 전락하고 말았음을 고발하고 있다. 이은혜 기자 thirteen@kyosu.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