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피노자 연구는 인제 걸음마를 하는 단계라서 사실 좋은 연구서나 입문서를 찾아보기 어렵고, 기존에 나와 있는 번역본들도 썩 신뢰하기 어렵죠.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외국어 텍스트나 연구서에 많이 의존하게 되는데, 영어권 책들 중에서는 다음 책들이 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스피노자 저서의 번역본으로는 다음 책들을 권하고 싶습니다.


I. 스피노자 저작 번역본

1. 전집류

1) Edwin Curley ed. & trans., The Collective Works of Spinoza vol. 1, U of Princeton P, 1985.

컬리가 편집한 이 책에는 스피노자의 초기 저작들 및 {윤리학} 번역본이 실려 있고, 편지로 일부 수록되어 있습니다. 번역도 좋은 편이고 주석도 많이 달려 있어서 공부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됩니다(일부 주석에 문제가 있긴 합니다만). {신학정치론}과 {정치론} 번역이 수록된 2권도 10여년 전부터 곧 나온다는 말이 있었는데, 아직 소식이 없네요. ^^

2) Samuel Shirley trans., Spinoza: Complete Works, Hackett, 2002.

컬리의 번역본에 비하면 엄밀한 맛은 좀 떨어지지만, 잘 읽히는 유려한 번역본이고, 한 권에 스피노자의 모든 저서와 편지가 모두 수록되어 있다는 장점이 있죠. 값도 비교적 싼 편입니다.


2. {윤리학} 번역본

{윤리학} 번역본 중에서는 서너 가지 정도를 권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Samuel Shirley trans., The Ethics & Treatise on the Emendation of the Intellect  & Selected Letters, Hackett, 1991.

셜리의 이 번역본에는 {윤리학} 이외에 {지성개선론} 및 몇 편의 편지가 함께 수록되어 있습니다. 값도 싸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좋은 번역본입니다. 

2) Edwin Curley ed. & trans., A Spinoza Read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이 책에도 역시 {윤리학} 이외에 컬리의 [서론] 및 다른 저서의 발췌본이 수록돼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절판돼서 좀 구하기 어려울 수도 있겠네요. 국내의 웬만한 대학 도서관에는 소장되어 있을 것 같습니다. 

3) Edwin Curley trans., with an Intoruction of Stuart Hampshire, Ethics, Penguin, 2005.

얼마 전에 펭귄 출판사에서 나온 컬리의 {윤리학} 번역과 스튜어트 햄프셔의 [서문]이 붙은 새 문고본입니다. 값도 싸고 이용하기에 편리한 좋은 판본입니다. 


3. {신학정치론}

지난 80년대 이래 영어권에서 새로 나온 번역본으로는 다음과 같은 3종이 있습니다.

1) Samuel Shirley trans., Theological-Political Treatise, Hackett, 1998.

셜리의 번역본입니다. 값도 비교적 저렴한 데다가 잘 읽히는 좋은 번역본입니다.

2) Martin Yaffe trans., Spinoza's Theologico-Political Treatise, Focus Publishing/R. Pullins Co, 2004. 

스피노자 및 유대 사상 전문가가 번역한 판본입니다. 상당히 엄밀한 번역이지만, 그 점 때문에 오히려 스피노자에 입문하려는 사람들에게는 좀 부적합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3)  Jonathan I. Israel ed., Michael Silverthorne trans., Theological-Political Treati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저명한 “케임브리지 정치사상 텍스트” 시리즈에서 올해 나온 번역본인데, 생각보다는 정확성이 좀 떨어지는 번역본인 듯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기대를 많이 한 판본인데, 좀 아쉽더군요.

요컨대, {신학정치론} 번역본으로는 셜리의 번역본이 제일 무난할 것 같군요.

4. {정치론}

영어권에서 구할 수 있는 {정치론} 번역본으로는 두 종의 판본이 있습니다.

1) A. G. Wernham ed. & trans., The Political Works of Spinoza, Oxford University Press, 1959.

이 편집본에는 {신학정치론} 발췌본과 {정치론} 완역본이 수록되어 있는데, 지금은 절판되었습니다. 국내 도서관에서도 쉽게 구하기는 어려운데, {정치론} 번역은 상당히 좋은 편입니다.

2)  Samuel Shirley trans., Steven Barbone & Lee Rice‘s Introduction and Notes, The Political Treatise, Hackett, 2000.

결국 이 판본이 요즘 영어권에서 구할 수 있는 유일한 판본인데, 이 판본은 셜리의 유려한 번역과 바본/라이스의 좋은 서론 및 역주를 겸비하고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그런데 이 장점은 또 그대로 단점이 되기도 하는데, 서론이나 역주에 바본/라이스의 관점이 너무 깊게 반영되어 있어서, 때로는 텍스트를 약간 곡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물론 내 생각으로는 그렇다는 거죠 ^^;). 그런 점을 감안하고 읽는다면, 무난하게 활용할 수 있는 번역본입니다. 


II. 스피노자 연구서

영어권에는 스피노자 개론서나 연구서가 다른 주요 철학자들에 비하면 좀 부족한 편이긴 하지만,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스피노자에 관한 새로운 관심이 생겨나서 이런저런 연구서들이나 논문들이 많이 나오고 있죠. 여러 가지 문헌들 중에서 아래의 저서들을 권하고 싶습니다.

1. 개론서

1) Genevieve Lloyd, Routledge Philosophy GuideBook to Spinoza and The Ethics, Routledge, 1996.

오스트레일리아의 연구자인 로이드의 이 책은 {윤리학}을 직접 읽을 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윤리학} 1부에서 5부까지 주요 쟁점들을 소개하고 있고, 현대 연구자들 사이의 논쟁도 간략히 제시하고 있어서, {윤리학}의 전체 윤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되죠. 책도 얇아서 금방 읽을 수 있죠. :-) 

2) Steven Nadler, Spinoza: A Lif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이 책은 스피노자 전기입니다. 스피노자 전기 중에서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책이죠. 

3)        . Spinoza's Ethics: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네이들러의 이 책은 {윤리학} 1부에서 5부에 이르기까지 해설하고 있는 책입니다. 일종의 작은 {윤리학} 주석서라고 볼 수도 있겠죠. 네이들러는 화려한 업적을 쌓은 대가는 아니지만 아주 견실하고 꼼꼼한 중견 연구자이고, 이 책은 그의 견실함이 잘 드러나는 입문서입니다. {윤리학}을 읽을 때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는 책이죠. 

4) Stuart Hampshire, Spinoza and Spinoz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햄프셔의 이 책은 예전에 나온 {Spinoza}라는 입문서와 함께 그의 논문들을 몇 편 함께 묶어서 펴낸 책입니다. 대학도서관에서는 예전에 펭귄 출판사에서 나온 입문서도 쉽게 구해볼 수 있을 겁니다. 

5) Henry Allison, Benedict de Spinoza: An Introduction, Yale UP, 1987.

헨리 앨리슨의 이 책은 영어권에서 나온 가장 좋은 스피노자 입문서로 볼 수 있는데, 안타깝게도 절판이 돼서 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국내 도서관에서도 한두 군데밖에 소장되어 있지 않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새로 출간이 됐으면 좋겠는데, 좀 아쉽더군요.

2. 연구 문헌 몇 가지

그 이외에 좀 더 깊이 있는 논의나 전문적인 쟁점들을 공부하고 싶다면 아래의 책들을 보시면 됩니다.

Yirmiyahu Yovel ed., Spinoza by 2000.

vol. 1, God and Nature: Spinoza's Metaphysics, Brill, 1989.

vol. 2, Spinoza on Knowledge and the Human Mind, Brill, 1994.

vol. 3, Desire and Affect: Spinoza as Psychologist, Littleroom Press, 2000.

vol. 4, Spinoza on Reason and the "Free Man", Littleroom Press, 2004.

이스라엘 출신 연구자 요벨이 편집한 이 책들은 {윤리학} 1부에서 4부에 이르기까지 주요 쟁점들에 대한 전문가들의 논문을 묶은 책입니다. 영미권에서 나온 논문집 중에서 단연 가장 좋은 시리즈라고 할 수 있을 만큼 탁월한 논문들을 많이 수록하고 있는 논문집들이죠. {윤리학} 5부 이외에 정치학에 관한 논문집도 준비하고 있다니까 더 기대가 됩니다. :-)

국내 도서관에서 비교적 쉽게 구해볼 수 있습니다.  

Don Garrett ed., The Cambridge Companion to Spinoza, Cambridge UP, 1995.

주로 영미권 학자들이 스피노자 철학의 주요 분야에 관해 쓴 글을 수록한 논문집입니다.

Genevieve Lloyd ed., Spinoza: Critical Assessments, vol. 1-4, Routledge, 2001.

스피노자 철학에 관한 영미권의 논문을 묶은 논문집입니다. 좋은 논문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죠. 특히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연구자들의 논문도 여러 편 수록되어 있습니다. 국내 도서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그리고 국내에 번역된 책들 중에서는 다음 책들이 읽을 만합니다.

질 들뢰즈, {스피노자의 철학} 박기순 옮김, 민음사, 1999. 

들뢰즈가 쓴 스피노자에 관한 논문 몇 편하고, 스피노자 철학의 주요 용어에 대한 해설을 수록하고 있는 책이죠. 

번역도 신뢰할 만하고, 용어 해설도 도움이 많이 됩니다. 

질 들뢰즈, {스피노자와 표현의 문제} 권순모, 이진경 옮김, 인간사랑, 2002. 

현대 스피노자 연구의 걸작 중 한 권이죠. 그만큼 깊이가 있고 복합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책입니다. 

그런데 좀 미묘하거나 어려운 논의가 나오는 대목에서는 꽤 오역들이 많아서 국역본만으로 읽기에는 무리가

따릅니다. 

피에르 마슈레, {헤겔 또는 스피노자} 진태원 옮김, 이제이북스, 2004. 

역시 현대 스피노자 연구의 대표작 중 한 권으로, 스피노자의 존재론과 인식론에 대한 해설서로 활용할 수 있는

책입니다.  

에티엔 발리바르, {스피노자와 정치} 진태원 옮김, 이제이북스, 2005.

스피노자의 정치철학 및 인간학에 관한 좋은 연구서입니다.

안토니오 네그리, {전복적 스피노자} 이기웅 옮김, 그린비,

 

주로 정치철학에 관한 네그리의 논문을 묶은 논문집인데, 번역이 어떤지 잘 모르겠습니다. 번역이 잘 돼 있다면,

 

스피노자에 관한 네그리의 최근 생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좋은 책입니다.

 

국내에는 네그리의 {야만적 별종} 번역본도 있긴 한데, 번역 상태가 좋지 않으니까 찾아 읽으실 필요는 없습니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yoonta 2007-09-30 16: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curley의 펭권판 에티카는 국내 대형서점에 가보니 있더군요. 그런데 가격이 생각보다는 만만치 않더라구요. 그래서 대신 Elwes판으로 구입해서 봤는데..이 판에 대한 평은 어떤가요? 어떤 글에서 본바로는 그닥 좋지 않다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는데.

[해이] 2007-09-30 19: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될 듯 하네요.

우주돌이 2007-09-30 20: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저도 감사합니다.
스피노자는 서양의 스님 같은 사람인가? 갸우뚱 했었어요.(그에 대한 저의 이해는 이정도?)

스피노자의 철학이라는 책을 읽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비로그인 2007-09-30 21: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별찜해노아야지~ ㅎㅎ 지도 감사요~ 발마스님^^

balmas 2007-10-01 10: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allnaru님,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yoonta님/ 헉 Elwes판만은 피하셔야 하는데 ;;;;;;;;;; Elwes판은 19세기 말에 나온 판이고, 지난 1980년대 이래 새로운 번역본들이 나오면서 거의 쓰이지 않는 판인데 ...
고니님/ 다행입니다. :-)
우주돌이님/ 스피노자는 보통 "서양 노자"라고 하죠. ㅎㅎㅎ 동양철학 하는 분들 중에서도 노장 철학을 공부하는 분들이 특히 스피노자를 좋아하죠. :-)
테츠님/ 별찜은 어떻게 하는 겁니까? ^^

2007-10-06 05: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balmas 2007-10-06 06: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오랜만에 오셨네요. 잘 지내고 계시죠?
맑스주의 대회는 잘 돼가고 있나 모르겠네요. 저도 시간이 있었으면 갔을 텐데,
못가서 못내 섭섭합니다. :-)
나중에 파리에 가게 되면 꼭 연락드릴게요.

김로디 2016-09-05 14: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고맙습니다. 도움 잘 받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