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정글만리 1~3 세트 - 전3권
조정래 지음 / 해냄 / 2013년 7월
평점 :
일시품절


1958년 6월 1일, 동아일보에 소설가 횡보 염상섭이 칼럼을 썼다. "문학도 함께 늙는가" 라는 제목이었다. 그의 나이 62세였다. 칼럼의 내용을 요약하면 '지금도 멋지게 연애소설을 써 낼 수 있는데 어찌 늙었다 할 것인가. 나는 늙었지만 나의 문학은 늙지 않았다.' 정도가 되겠다. 


그러자 1958년 6월 21일 약관 24세의 젊은 평론가 이어령이 경향신문에 "문학도 함께 늙는가를 읽고" 라는 제목의 칼럼을 썼다. 칼럼의 내용을 요약하면 '전쟁 직후의 암울한 현실을 보지 못하고 젊음이 단지 연애나 하는 것으로 알고 계신 선생의 젊음에 대한 시각이 이미 늙었다.' 정도 되겠다. 거 참 대학 갓 졸업한 스물 네살 평론가가 예순 둘 먹은 노 소설가에 대해 쓴 글치고는 참 대담하다 해야할지 버릇없다 해야할지.


그러나 어쨌든 이어령의 말에 수긍을 하지 않을 방법은 없다. 50년대 후반, 한국의 젊음은 연애 타령을 하고 있을만큼 여유있지 않았다. 당시의 젊은 작가군이라고 할 수 있는 하근찬, 선우휘, 송병수, 박경리 등등은 연애소설을 쓰는 것이 아니라 전쟁 직후의 젊음에게 닥친 암울한 사회상에 대해 글을 쓰고 있었으니까. 그 시대의 대부분의 젊은이에게 연애는 사치의 감정일 수 밖에 없는 현실임에도 염상섭이 젊은 문학의 상징을 멋들어진 연애소설 정도로 생각한다면, 맞다, 그의 문학은 늙었다. 


조정래의 정글만리를 읽는데 문득 염상섭의 그 칼럼이 떠올랐다. 대하소설은 어쩔 수 없이 인물이 전형성을 띌 수밖에 없다, 라고 변명해 주기에는 그 자신의 소설 태백산맥이 말문을 막는다. 태백산맥의 인물 그 누가 전형적이던가. 그러나 이 소설의 주재원 전대광은 지나칠 만큼 전형적이다. 전대광이 되어도 되고 박대광이 되어도 되고 이대광이 되어도 된다. 주재원은 다 그만큼이지 않나, 라고 이야기 하기엔, 글쎄...... 장화 홍련같은 이야기를 2010년도에 읽게되면 당황스럽다. 


감히 조정래와 같은 대작가에게 젊은 김영하의 에세이를 들이대는 것은 이미 60년도 더 전의 늙은 소설가와 젊은 평론가의 지상 대담을 보는 것만큼이나 민망하지만 그래도 한번 들이대어 본다. 


부자를 정말 부자처럼 보이게 만드는 것은 가난에 대한 무지다. 

......

만약 가난한 사람을 정말 가난한 사람처럼 보이게 하고 싶다면 그 가난한 이로 하여금 부자들에 대한 엉터리 속설들을 말하게 하면 된다. 부에 대한 자기만의 터무니없는 오해와 과장이 그의 가난을 좀 더 실감나게 드러낸다. 


김영하, 보다, 문학동네, 2014, p.25-26, 진짜 부자는 소유하지 않는다


가진 것에 대한 나열로 부유함을 묘사하는 것은 이미 낡았다. 현대의 진짜 부자는 소유하지 않는 시대로까지 진화해 나가는데, 조정래의 이 소설에서 부유함은 끊임없는 소유의 나열로 묘사된다. 김영하의 소설 작법이 정답이라는 뜻은 물론 아니고, 2013년에 쓰여진 이 소설이 왜 이렇게 늙은 소설로 느껴지나 고민하다보니 별의 별 생각이 다 든다는 거다. 이런 묘사법 때문인가, 너무나 전형적인 인물 때문인가. 각나라의 민족성이라는 것이 분명 존재하겠지만 일본인은 너무나 지나치게 전형적인 일본인으로, 한국인은 또한 너무나 지나치게 한국적으로, 중국인은 백년 전 우리가 상상하던 중국인 그대로 형상화 되어 있는 인물들은 재미가 없다.


그래. 이 소설의 가장 큰 문제는 거기에 있다. 재미가 없다, 재미가. 


다시한번 말하지만, 조정래는 태백산맥의 작가다. 내가 이미 열번도 넘게 읽은 책임에도 불구하고, 지금이라도 그 책을 잡으면 사흘 밤낮을 가리지 않고 살림을 작파하고, 인상깊은 구절에 밑줄을 긋는 것마저 잊게 만들고, 책의 면지에 읽은 날 기입을 하는 것마저 다음권을 읽느라 제껴버리게 만드는 그 태백산맥의 작가다. 태백산맥은 이미 30여년전에 쓰여진 소설임에도 지금 읽어도 여전히 재미있다. 


그 조정래가 쓴 책임에도 이 책은 재미가 없다. 세권의 책을 읽느라 진땀을 뺐다. 뒷 이야기가 궁금하지도 않았고, 매력있는 인물도 없었다. 그저 지겨웠다. 


이쯤되면 생각하는 것이다. 문학도 (작가와)함께 늙는가. 


도무지, 이 책이 왜 베스트 셀러의 목록이 이다지도 오래 이름을 올리고 있는지를 모르겠다. 썩어도 준치라고 어쨌든 조정래라서?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15-01-27 23: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문학도 함께 늙는가, 제목도 멋지고 글 내용은 엄지 척 치켜세우고 싶네요!^^
조정래 작가님 좋아하는데 이상하게도 정글만리는 땡기지 않아 사놓기만 하고 안 읽었는데...그 이유 중 절반은 광고를 너무 많이 해서 반발심이 아니었나 생각해요. 작가가 작품으로 증명하면 되지 뭔 홍보를 저렇게 많이...ㅠ

아시마 2015-01-28 10:16   좋아요 0 | URL
예전에 소설가 최일남 선생이 박완서 선생님의 소설집 <친절한 복희씨>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노년 문학에 대해 이야기를 한 적이 있어요. 작가와 함께 나이먹어가는(늙어간다는 것과는 의미가 좀 다른) 소설에 관한 이야기였죠. 그때 생각했던 거거든요. 젊었던 작가가 늙어가면서 작품이 변화한다면, 그것은 좋은 것일까 나쁜 것일까. 그렇다면 젊은 독자들에게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글은 젊은 작가가 쓴 글이거나 지금은 대가가 된 늙은 작가들의 젊은 시절에 쓴 글일수 밖에 없는 것인가 뭐 그런 저런 생각.

조정래의 소설작법 자체가 워낙 좀 고전적이기는 해요. 흔히 말하는 실험소설 같은 걸 쓰지는 않죠. 그런 소설들에 어울리는 문체도 아니고요. 흠...

소설가 김동리는 요즘으로 치면 참 젊은 나이에 절필 비슷하게 했는데요, 글을 쓰지 않으면서도 한국 문학계의 대부(아 이 식상한 표현이라니.)로 오래오래 계셨어요. 여러가지 생각들을 많이 해요. 황순원 선생님도 어느 시기 이후로는 글을 쓰지 않으셨죠. 이런 것들을 보면 문학은 결국 작가와 함께 늙어가는 게 맞는 건지도 모르겠어요.

저는 조정래 선생님 참 좋아하고, 정말 위대한 작가라고 인정하지만, 이제는 어쩔수 없이 인정. 그분의 문학은 늙었나봐요.

다락방 2015-01-28 08: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아직 태백산맥을 안읽었어요. 조정래는 공교롭게도 정글만리로 처음 만났습니다. 정글만리를 재미있게 읽긴 했는데 음, 그렇지만 이런 식이라면 태백산맥을 읽지 않아도 되겠군 했어요. 그러니까 이런 책이라면 그 작가의 다른 작품까지 볼 필요는 없겠다 싶었던거죠. 그런데 이 말을 듣고 친구들이 노여워했어요. 정글만리는 아니다, 태백산맥은 진짜 다르다, 태백산맥은 좋다, 태백산맥은 읽어라, 하고 말이지요. 크...그래서 작가의 첫 책으로 어떤 걸 읽느냐는 중요한 것 같아요.

아시마 2015-01-28 10:18   좋아요 0 | URL
으악! 태백산맥을 읽지 않고 조정래를 말할 수는 없어요. 태백산맥은 조정래 문학의 절정기예요. 그 이후 아리랑이 나오고 한강이 나오지만 그야말로 가파른 하향곡선이예요. 죄송하게도. 아리랑까지는 그럭저럭 읽어주지만, 한강은, 아. 한강은. ㅠ.ㅠ

물론, 소설가는 그 시대에 대한 기록의 의무가 있다, 라는 시점에서 한강의 작품적 가치는 인정하는 편이긴 한데... 참 재미가 없죠, 한강도.

그렇지만 다락방님이 태백산맥을 좋아할지는 잘 모르겠어요. -_-;;; 정글만리가 재미있었다면 태백산맥엔 환장을 하실지도. ㅎㅎㅎ

말리 2015-01-28 14: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래전, 전형성과 일반성 이었든가, 뭐 그런 논쟁이 기억 납니다. 전형이란 무엇인가? 제 생각엔 이 책의 그 누구도 전형성조차 획득하지 못한 것 같아요. 모든 인물이 피상적이지요. 아직도 나오는 tv광고가 볼때마다 마음을 아득하게 합니다. 작가에 대한 회한보다 이런 책을 베스트셀러로 만든 우리의 문학적 감수성이 뼈아픕니다. ... 전 태백산맥 무척 좋아했지만, 7권부터는 그만큼 실망하기도 했습니다. 조정래는 태백산맥 6권까지만 기억하고 싶습니다.

아시마 2015-01-29 15:09   좋아요 0 | URL
글쎄요. 우리의 문학적 감수성이란 아파야 청춘이다 따위의 책을 백만부 해 치우는 그런거니까요. 아플 뼈도 없단 느낌이라서.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이 책의 일본인에 관한 묘사나 중국 주재원에 관한 묘사 등등은 각종 해외 주재 커뮤니티에서 읽을 수 있는 단평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어요. 피상적이라는 말도 맞겠네요, 그런 의미에서.

그래서 저는 여전히 조정래라는 한 작가에 대한 회한이 들어요. 분명 이보다 더 잘 쓸 능력이 있으신 분인데요. 늙어서 힘이 딸리시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