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외딴집 - 상 ㅣ 미야베 월드 2막
미야베 미유키 지음, 김소연 옮김 / 북스피어 / 2007년 10월
평점 :
지금은 시립 어린이집의 원감으로 있는 친구가 어린이집 선생 초년병 시절에 해 준 이야기였다. 어린이집 선생이 되고부터는 아이들의 손톱을 유심히 보게 된다고. 아이의 손톱이 관리되어있는 정도를 보고 그 아이에 대한 그 아이의 부모나 집안의 애정을 가늠하는 버릇이 생겼다고. 그리고 그 가늠은 별로, 틀리는 일이 없더라고.
친구의 손톱이 내게는 이름이었다. 나는 누군가의 이름으로, 그 사람에 대한 그 부모의 애정을 읽는다.
지금은 '지서'라는 단정하고 예쁜 이름을 가진 4살 여자아이의 부모는 한때 00라는 이름을 염두에 두었더라고 했다. 이름만으로는 참 예뻤다. 그러나 그 아이의 엄마가, 말하기를, 어릴때는 그 이름이 얼마나 이쁘냐고, 하지만 할머니가 되었을때 "이00 할머니~" 라고 불릴 그 아이를 생각해 보라고, 도저히 그 이름을 붙여줄 수가 없었다고. 나는 이런 사연들에서 아이에 대한 부모의 역할과 권한 사이의 편안한 균형을 읽는다. 나는 어리고 귀여운 여자아이에게 똑 떨어지게 어울리는 화려하고 요란한 이름을 좋아하지 않는다. 사람이 언제까지나 어리고 귀여운 아이일 수는 없으니까.
고 3때 짝꿍의 이름은 윤경이었다. 정확한 한자가 생각나지는 않는데, 允 자를 썼던 것만 기억이 난다. 아주 흔해빠진 이름은 아니었지만 그렇게 드문 이름도 아니어서 우리반에는 큰윤경이와 작은 윤경이가 있었다. 친하게 지내던 다른반의 윤경이도 둘이나 더 있었다. 그 흔한 이름이 내 짝꿍 윤경이에게 가서는 특별해졌다.
공부를 잘하고 행동거지가 단정했던 그 아이는 사전의 제일 뒤 표지 안쪽에 자신의 이름 두 글자를 한자로 써 놓고 그 이름의 뜻에 대해 아래에 적어놓았었다. 지나가다 슬쩍 봤는데, 한자가 짧은 내 눈에도 그 아이의 윤경이라는 한자의 뜻과 완전히 일치하는 해석은 아니었다. 그래서 이게 뭐냐고 물었더니 그 아이의 아버지가 자신의 이름의 뜻에 대해 설명해 주신 거라고 했다. 그 말을 하던 그 순간 윤경이는 얼마나 특별해 보였는지. 그 아이의 뒤로 아버지의 사랑이 후광처럼 드리워진 것이 눈에 보일 정도였다. 그 아이를 제외한 내가 아는 어떤 윤경이도 자신의 이름풀이를 가지고 있지 못했다.
나중에 윤경이는 그 아버지가 풀이해 주신 이름 풀이대로 정말 좋은 사람이 되었다. 나는 그녀의 오빠에 대해서도 내가 아는 괜찮은 남자 다섯손가락 안에서도 첫째 둘째로 꼽아주었는데, 그녀에 대해서도 역시 그렇다. 나는 그녀가 그렇게 좋은 사람이 된 것에는 이름 속에 숨은 사랑이 큰 역할을 했을거라 생각한다. 신경써서 이름을 지어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이름의 뜻을 설명해 주는 그런 애정이라니.
이 소설은 이름으로 시작하여 이름으로 끝난다. 10살된 여자아이의 이름은, 음은 같지만 한자가 달라진다.
호. 바보의 호. 하녀의 몸에서 태어난 손녀딸에 대해 분노한 할아버지가 붙여준 이름이다. 글 중간에도 나오지만 "정말 심한 이름" 이다.
그 이름은 아마도 일본어로는 같은 "호"라는 음을 쓰지만 방향을 뜻하는 方 으로 바뀌었다가 나중에는 보물을 뜻하는 寶 로 바뀐다.
바보에서, 방향을 아는, 더 이상은 바보가 아닌 사람으로, 그리고 이번에는 보물로까지. 첫번째 이름을 제외한다면 모두 애정이 담겨있는 이름이다.
야마오카 소하치의 소설 <도쿠가와 이에야스>에서 보면, 에도시대 일본인들은 이름을 바꾼다는 것에 대해 별로 거리낌이 없었던 것 같다. 당장 주인공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이름은 1부에서만도 몇번이나 바뀌는지, 결국 충무공은 그 때문에 도쿠가와 이에야스 읽기를 포기하고 말았었다. 넌 정말 그 이름이 다 기억이 나니? 라는 질문과 함께.
그런데도 가가님은 호의 이름을 바꿀때 음은 그대로 둔다. 한자만 바꾸어준다. 그 배려에서 섬세한 사랑을 읽는다. 그리고 그런 배려를 가진 사람의 삶에 일어난 일들에 대해 슬퍼하게 된다. 고토에의 죽음에 대해서도 그렇고. 아. 정말 세상은 착한 사람이 살기에는 힘든 곳인지도.
남들보다 한참이나 늦게 미미여사와 열애중이다. 정말 재미있지만,
난 때때로 미미여사의 글이 아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