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피탈리즘 : 러브 스토리 - Capitalism: A Love Story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이 영화를 보면서 인간의, 특히 내 변덕과 간사함에 대해 생각했다. 2004년 마이클 무어의 <화씨 911>을 처음 본 후, 그 전에 만든 영화들을 모두 찾아보고 마이클 무어가 운영하는 사이트에도 들어가보고 그가 쓴 책도 샀다.(물론 다 읽지는 않았지만)  그가 문제를 제기하는 방식은 발랄하고 억지스러우면서도 약간의 진정성이 있다고 봤다. 페이크 다큐에 대해 가자미 눈을 뜨는 사람들도 있지만 페이크 다큐 역시 영화의 한 장르라고 본다면 욕할 것 없이 즐길 수 있다. 

<마이클 무어 뒤집어 보기>란 다큐에서 마이클 무어가 얼마나 야심가며 경박한 속임수를 쓰고 있는지 보여주려고 하지만 그 다큐 역시 감독의 시선에 따른 편집이니 마이클 무어가 쓴 기법과 마찬가지고 판단은 각자의 몫이라고 여겼다. 지금도 이 생각은 변함없지만 <캐피탈리즘: 러브 스토리>는 마이클 무어식 말하기에 대한 내 편애를 흔드는 영화다. 전작들과 똑같은 기법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서브프라임의 수혜자와 피해자의 입장, 월가의 기득권과 금융파생상품에 대한 조롱이 주요 플롯인데 전에는 희미했던 단점들이 이 영화에서는 두드러진다. 논점에 대한 객관적이고 설득력있는 주장보다는 감정적이고 심지어 선정적 어조로, 자 누가 잘못한거야?하고 아이한테 묻듯이 묻는다. 이런 식의 주장은, 그야말로 아이한테나 먹힐 법하다. 그가 굵직한 사회적 이슈를 다루고 있는데도 사회 운동가라기 보다는 기발한 오락물 제작자로 간주되는 이유가 아닐까.

마이클 무어의 잘못이라기 보다는 내 마음이 변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마이클 무어는 이 영화에서도 그의 주특기를 잘 살리고 있다. 영상과 음악, 내레이션의 배치로 유머를 끄집어내고 나아가 조롱한다. 문제는 나란 관객은 그의 영화에 익숙해져서 그가 만든 유머에도 별 감흥없다는 거다. 같은 상품을 연속해서 쓰다보면 질려서 다른 상품을 찾는 소비자가 점점 더 자극적인 걸 원하는 이치와 같다. 자본주는 소비자의 이런 변덕을 잘 간파하고 본질은 같지만 외형만 다른 상품을 신상품으로 출시하고, 총체적 통찰력이 결여된 소비자는 일시적 충족감에 굴복한다. 이런 싸이클이야말로 자본주의를 지탱하는 골조다. 이 영화를 보면서 마이클 무어의 통찰능력까지 의심하는 데 이른 나야말로 캐피탈리즘 러버가 아닐까, 뭐 이런 자아비판을 해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 현대성의 형성-문화연구 10
김진송 지음 / 현실문화 / 199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음...현대성, 모던의 정확한 개념은 과연 뭘까,로 시작하자면 아주 복잡한 문제가 돼버린다. 이 에서 사용하는 '모던'이나 '현대성'의 개념은 주입식으로 들었던 모던의 일반적 개념과는 많이 다르다. 게다가 내가 비교하려던 건 서구의 시각에서 분류해 놓은 모더니즘이라 처음에는 조금 혼란스러웠다. 결국 간단하게 말하면 이 책에서 사용하는 모던은 서양문물에 대한 개방, 산업화와 도시화에 관한 물리적 고찰이다. 정신적 고찰이나 철학적 사유의 싹틈은 아쉽게도 볼 수 없다. 그럼에도 이 책은 꽤 가치있고 재밌다.  

1950년 이전을 주로 다루었는데 실제 문헌들을 더 읽어보기에 붙여서 당시의 현장감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룸펜, 모던 보이나 모던 '껄'은 대체로 잉여 지식인으로 불안과 무력감을 갖고 산다. 물질의 풍부함은 모두에게 돌아가는 건 아니어서 상대적 불안감이 생기고 도시화는 도시 빈민과 잉여 노동력을 만든다. 카페의 등장은 잉여 지식을 풀어놓는 토론장이 된다.  

2010년은 어떤가. 놀랍게도 비슷하다. 대학진학률이 80퍼센트에 달하고 석박사는 남아돌고 노동자들은 신상 전자제품과 명품을 사기위해 영혼을 잠식당할 정도로 노동력을 판다. 의료기술마저 발달해 동안 만들기, 피부 가꾸기를 하지 않으면 자기 관리가 못하는 게으른 자로 낙인 찍히기 쉽다. 카페에는 노트북과 아이팟을 벗 삼아 혼자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이 종종 보인다. 카페는 사교의 장이 더 이상 아니라 혼자만의 세상을 구축할 수 있는 정거장이다.  

각종 신문물은 사용자의 생각이 들어가지 않으면 문화가 될 수 없다. 이 책이 아쉬운 건 문화를 말하지 않았기 때문이고 2010년이 재미없는 이유는 문화 없이 문명만 있기 때문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이올린맨
채영주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각기 다른 개성과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아무리 처음봐도 이 사람이 나랑 필이 통할지 금새 알아본다. 구체적으로 어떻게냐고 물으면 할 말이 없지만;; 아무튼 알아본다. 소설이란 장르도 그렇다. 다른 사람이 아무리 칭찬한 소설도 울림이 없을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은 시큰둥해도 나는 울림을 얻을 수 있다. 한 페이지만 읽어도 소설을 끝까지 읽을 수 있을지 없을지 알 수 있다. 인문학 책들과 달리 소설은 단숨에 읽지 못하면 결국 읽다가 멈추게 된다. 이런 책들이 너무 많아서 소설을 고를 때 조심하지만 인터넷 서점에서는 아무래도 한계가 있다. 국민 할머니, 김태원에 버금가는 저질 체력이라 오프서점에서 서서 책을 읽는 건 있을 수도 없는 일.  의무감에서 로렌스 더럴의 마운트 올리브를 끙끙거리다 결국 놔 버렸다. 이런 상황이라 이 책이 더 소중하다. 아쉬운 점은 분위기가 전반적으로 너무 어둡다는 것. 

채영주란 소설가는 금시초문인데 마흔에 지병으로 생을 마감한 후에 나온 유고집이란다. 살았을 때 발표 안 됐던 <바이올린 맨2>가 실려있다. <바이올린 맨1>이 그래도 희망적이라면 <바이올린 맨2>는 인간의 악한 본성을 끝까지 밀고나가 결국 죽음으로만 악에 맞설 수 밖에 없는 주인공들 이야기다. 악인들은 죄책감 따위는 뭉게버리고 계속 살아남아 또 다른 악의 제물을 찾아 어슬렁거릴거다. 소설 속에서 이런 극한 세계를 들여다보는 건, 솔직히 피하고 싶다.  

그럼에도 채영주란 작가의 소설집과 작품을 검색해서 몇 권 보관함에 넣어두었다. 문장과 문장을 연결할 때 간결함을 사용하면서도 행간에서 파생시킬 수 있는 서사의 힘이 매우 강하다. 단숨에 읽게 쉽게 썼으면서도 쉽지 않은 구성력을 읽어낼 수 있다. <바이올린 맨>의 화자가 열 한 살 짜리 소년인데 소년의 시선 밖일 때도 종종 있지만 이런 단점이 문장을 풀어가는 힘에 의해 모두 덮인다.  

자전 소설이라는 <미끄럼을 타고 온 절망>은 스물 한 살의 대학생이 본 삶의 단면이다. 무전여행 중 지방 룸살롱 웨이터로 잠시 보내는 동안 한 여인에 대한 연모를 통해 계급에 대해 어렴풋하게 인식한다. 삶에 대한 허무의 실체가 계급만은 아니지만 스물 한 살 때만이 느끼는 절망은 아니리라. 오늘처럼 찬란한 볕 속에서 흔들리는 어린 은행잎의 아름다움을 만끽하면서도 문득 바람이 방향을 바꿀 때 찾아오는 깊은 곳에 존재하는 불안. 이 불안은 그 실체를 알 수 있을 거 같으면서도 한 순간에 낯선 것으로 바뀌는 그런 종류의 것이다.  

"삼십 분 후 나는 그 도시를 벗어나고 있었다. 행선지도 알 수 없는 여름 버스의 덜컹거림 속에서 나는 두 팔을 감싸 안고 떨고 있었다. 제발 모든 게 꿈이었기를 빌면서. 새벽의 꿈도, 그녀의 방문도, 내가 그 도시에 잠시 머물렀던 기억도, 모두 우중충한 날의 짧은 꿈이었기를 빌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Poetry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이창동 감독의 영화들은 묵직하고 정직하다. 영화 혹은 영화 감독이 어떤 힘을 갖고 있다고 느낄 때가 있다. 영화라는 제한된 매체를 통해 알지만 선뜻 할 수 없는 말을 할 때다.  얼마 전 <양 한 마리 양 두 마리>감독이 관객과의 대화에서 이런 말을 했다. "노동운동에 관심을 갖고 이야기하는 건 영화라는 매체를 다룰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 보다 좀 더 큰 목소리를 낼 수 있으니까 계속 영화를 통해 이야기하겠다"고.  영화라는 매체가 단지 화면을 때깔 좋게 이어붙이고 오감을 유혹하는 매체라면 그 영화는 안 봐도 되는 영화라고, 나는 생각한다. 영화란 매체가 어떤 힘을 발휘할 때가 있다. 인위적 감동이나 빛깔 좋은 촬영술이나 편집술이 전부가 아니라 삶에 대한 진지한 태도를 보일 때가 그렇다. 물론 이런 종류의 영화를 보는 건 썩 유쾌하지는 않다.

이창동 감독의 영화들은 편하게만 즐길 수는 없는 영화다. 도덕이나 윤리라는 대사 한 줄 없지만 도덕적이고 성찰적이다. 등장인물들 모두, 우리처럼 도덕이나 윤리란 어떠해야하는지, 그 당위성에 대해 알고 있다. 사람이 생각대로 수 있을 거 같지만 천만의 말씀이다. 아는 건 아는 거고 상황은 상황이다.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 처했을 때 사람은 어떻게 반응할까?  

올해 나이 66세. 이름 박미자. 취미 혹은 특기 시 쓰기. 직업은 가사 도우미. 이런 스펙을 가지고 있는 미자 할머니는 세상살이에서 두 발을 떼고 날리는 꽃잎에 영혼을 맡긴 거처럼 보인다. 시골길과 안 어울리는 화사한 옷, 길을 걷다 멈춰 시상을 메모하는 행동. 확실히 도시에서의 삶과는 다르다. 미자 할머니가 저 멀리 어린 시절 시인이 될 수도 있겠다는 말 한 마디에 뒤 늦게 시를 쓰려고 한다. 극 중 시는 죽었다는 말이 여러 번 나오는데 시가 죽은 게 아니라 시심이 죽었다.  

시심이란 섭리대로 사물을 바라보는 시선이라고 할 수 있다. 무슨 당연한 소리를 하나 하지만 영화 속에서 전개되는 하나의 사건을 둘러싼 사람들의 시선은 섭리에 기초한 게 아니라 편의에기댄다. 신속하고 좋은 게 좋다는 논리는, 결국 가해자 입장의 시선이지 상대방에 대한 배려나 염려는 부재한다.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을 보이는 초로의 노인만이 인간적 도리에 대해 고민한다. 시 수업을 들으면서도 정작 아무도 시를 안 쓰는 분위기. 시, 즉 인간이 인간에 대한 도리와 예의에 대한 고민의 결과물인 시를 쓸 수 없는 혹은 쓰지 않는 분위기 속에서 미자 할머니는 시를 쓰려고 발버둥친다. 미안함에 주저하고 머뭇거리는 태도는 전반적 사회적 분위기를 알고 있지만 선뜻 나서서 행동하지 못하는 데서 내적 갈등 내지는 현실과 맞닿아 있다.  

이 영화가 참 불편한데는 어떤 모범답안을 제시하지 않기 때문이다. 선과 악의 경계를 나누는 데 길들여진 제도 속에서 바라볼 때, 참 현실같으면서도 영화에서만이라도 선이 보상받았으면 좋겠다는 심리가 작용한다. 가해자 VS 피해자란 구도를 주입시킨 분위기, 그리고 시심을 거세하는 분위기 간의 함수관계는 관객의 숙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 디 에어 - Up In The Air
영화
평점 :
상영종료


평이 별로 안 좋아서 안 봤던 영화인데 억울하다. 조지 클루니의 간지만 부각시킨 평들이 많은데 그게 다가 아니다. 일년 중 322일을 비행기와 호텔에서 보내는 남자가 집처럼 편안하게 느끼는 게 건조한 호텔방, 비행기 기다리면서 이용하는 라운지, 저렴한 스시 부페다. 내 침대, 배게, 아침에 마시는 커피 한 잔이 아니다.  

1천만 마일적립해서 비행기 안에 이름을 새기는 게 목표고 비록 해고를 통보하는 일을 하지만 그들의 푸념과 독설을 들어야 도리라고 믿는 남자, 라이언. 친구나 가족, 아는 사람은 배낭 속 짐처럼 무겁기만하다고 강연을 하면서도 동생 부부 사진을 캐리어 속에 끌고 다니면서 곳곳에서 기념사진 촬영을 부탁받은 대로 한다. 사람보다 호텔 빈 방을 더 편안하게 느끼고 마일리지 적립되지 않는 곳에서는 한 푼도 안 쓰는 미국적 인간유형이지만 잠시 사랑하는 사람을 만난 거 같은 착각을 하기도 한다. 그만 돌아다니고 집이라는 곳에 자신의 물건과 사랑하는 사람의 물건을 풀어놓고 지내기로 마음을 바꿔 먹어본다. 그러나 운명은 계속 비행기나 타고 호텔방을 전전하라고 한다. 두 발을 딛고 서고 싶어하는 그녀는 이미 두 발을 다른 곳에 딛고 있으면서 그는 일상의 탈출구라고 말한다. 보고 싶으면 찾아오지 말고 전화하라고 말한다. 남자는 다시 원래의 쳇바퀴로 돌아갈 수밖에 없는 운명이지만 이미 전과 같을 수 없다. 영화는 여기서 끝나지만 아마도 비극이 시작될 것이다.  

내가 살고 있는 삶이 가치있고 다른 삶이 있다는 걸 의심해보지 않는 사람에게 다른 삶이 있다고 말해준다. 그렇지만 너는 그런 삶을 살 수 없다고 말해주고 사라진다면 남은 사람은 똑같은 삶을 살아도 전처럼 자신의 삶을 대하기 힘들다. 비극은 이렇게 자각에서 생긴다. 익숙한 일상에서 거리를 두기를 하는 게 꼭 필요한지 모르겠다. 행복하려면 미몽에 그냥 빠져있는 것도 괜찮지 않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