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피탈리즘 : 러브 스토리 - Capitalism: A Love Story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이 영화를 보면서 인간의, 특히 내 변덕과 간사함에 대해 생각했다. 2004년 마이클 무어의 <화씨 911>을 처음 본 후, 그 전에 만든 영화들을 모두 찾아보고 마이클 무어가 운영하는 사이트에도 들어가보고 그가 쓴 책도 샀다.(물론 다 읽지는 않았지만)  그가 문제를 제기하는 방식은 발랄하고 억지스러우면서도 약간의 진정성이 있다고 봤다. 페이크 다큐에 대해 가자미 눈을 뜨는 사람들도 있지만 페이크 다큐 역시 영화의 한 장르라고 본다면 욕할 것 없이 즐길 수 있다. 

<마이클 무어 뒤집어 보기>란 다큐에서 마이클 무어가 얼마나 야심가며 경박한 속임수를 쓰고 있는지 보여주려고 하지만 그 다큐 역시 감독의 시선에 따른 편집이니 마이클 무어가 쓴 기법과 마찬가지고 판단은 각자의 몫이라고 여겼다. 지금도 이 생각은 변함없지만 <캐피탈리즘: 러브 스토리>는 마이클 무어식 말하기에 대한 내 편애를 흔드는 영화다. 전작들과 똑같은 기법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서브프라임의 수혜자와 피해자의 입장, 월가의 기득권과 금융파생상품에 대한 조롱이 주요 플롯인데 전에는 희미했던 단점들이 이 영화에서는 두드러진다. 논점에 대한 객관적이고 설득력있는 주장보다는 감정적이고 심지어 선정적 어조로, 자 누가 잘못한거야?하고 아이한테 묻듯이 묻는다. 이런 식의 주장은, 그야말로 아이한테나 먹힐 법하다. 그가 굵직한 사회적 이슈를 다루고 있는데도 사회 운동가라기 보다는 기발한 오락물 제작자로 간주되는 이유가 아닐까.

마이클 무어의 잘못이라기 보다는 내 마음이 변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마이클 무어는 이 영화에서도 그의 주특기를 잘 살리고 있다. 영상과 음악, 내레이션의 배치로 유머를 끄집어내고 나아가 조롱한다. 문제는 나란 관객은 그의 영화에 익숙해져서 그가 만든 유머에도 별 감흥없다는 거다. 같은 상품을 연속해서 쓰다보면 질려서 다른 상품을 찾는 소비자가 점점 더 자극적인 걸 원하는 이치와 같다. 자본주는 소비자의 이런 변덕을 잘 간파하고 본질은 같지만 외형만 다른 상품을 신상품으로 출시하고, 총체적 통찰력이 결여된 소비자는 일시적 충족감에 굴복한다. 이런 싸이클이야말로 자본주의를 지탱하는 골조다. 이 영화를 보면서 마이클 무어의 통찰능력까지 의심하는 데 이른 나야말로 캐피탈리즘 러버가 아닐까, 뭐 이런 자아비판을 해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