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On the Road (Paperback, Revised) - Penguin Classics
잭 케루악 지음 / Penguin Books / 2002년 12월
평점 :
젊음의 특성을 한 마디도 정의한다면 '충동'이라고 말하고 싶다. 충동이 있어야할 자리에 계획이 자리잡는다면 젊음과 안녕을 한거다. 나이들면서 쌓이는 경험은(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어떤 행동에 대한 결과를 예측하게끔 몰아간다. 결과가 가져다주는 득실을 무게질하는 삶으로 접어든다면 딘 모리아티와 살의 우정을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딘은 살이 억제하도록 배웠던 충동을 부활시키는 인물이다. 딘을 만나러 뉴욕에서 샌프란시스코까지 혼자 여행을 한다. 파트 원인데 딘과 함께 한 여행 기록인 파트 투 보다 더 마음에 와 닿는다. 늘 망설였던 일을 시작할 수 있게 펌프질한 딘을 찾아가는 여정은, 딘을 만나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기존의 익숙한 것들을 툭툭 털고 두 발로 걷는다. 물론 춥고 힘들다. 히치하이크를 하면서 전진과 굶주림 해결에만 집중하는 아주 단순한 삶은, 도시인한테는 비참해 보일지 모르지만 방랑 중독자들한테는 중요하고 그것만 해결되는 행복하다. 히치하이크를 하지 못한 밤새 떨거나 걷기도 하지만 두려움은 없다. 중요하는 건 앞으로 나아가는 일이지.
"..I was beginning to get the bug like Dean. He was a con-man, he was simply a youth tremendously excited with life and though he was a con-man, he was only conning because he was so much to live and to get involved with people who would otherwise pay no attention to him....."
이렇듯 딘 일당과 살의 공통분모는 호보의 삶에 대한 충동이다. 호보들한테 소유권의 개념은 없다. 돈이 있는 사람이 샌드위치와 담배, 맥주를 사고 돈이 없는 사람은 같이 먹으면 된다. 다음에 돈이 생기면 자신도 똑같이 샌드위치와 맥주를 살테니까. 가진 게 없기에 더 쉽게 나누고 집과 집안을 채울 살림살이에 대한 욕망 대신 등을 펴고 하룻밤 누울 곳만 있으면 되니까 저축할 필요도 없다. 차비가 없으면 히치하이크를 하고 히치하이크를 못하면 걸으면 된다. 그들에게 휴식은 간단하다. 심신이 회복되면 그들은 또 길을 나선다. 딘이 카미유랑 가정을 이루고 정착해 잠깐 사는 동안 딘은 파괴된다. 일을 하다 손가락이 부상을 당하고 깁스 잘못해 감염되서 절단하고 골수염에 걸린다. 살기 위해서 방랑자로서의 삶을 다시 시작할 수 밖에 없다.
딘에 대한 절대적 찬사를 보내는 살의 시선은, 살 자신은 딘과 같은 진정한 호보가 될 수는 없기 때문일 거다. 마지막 장에서 오페라를 보러가면서 떠나는 딘에게 손을 흔들며 차에 앉아있는 뉴요커가 살이다.
아주 음울하고 추적추적한 게 요즘 날씨랑 아주 어울리며 멜랑콜리에 빠지는 걸 자극한다. 호보들의 삶을 이해하고 동경하지만 나 역시 살 같은 도시인이다. 방랑벽은 마약처럼 강한 중독성이 있어서 올해가 가기 전에 길을 떠날 것이지만 설렘이나 흥분이 예전 같지 않다. 그저 떠나는 게 아니라 돌아와서 똑같이 살기 위해서고, 떠나기 전에는 이러저러한 준비계획을 세워야한다. 숙소와 이동수단을 걱정하면서 최소한이라도 예약하고 떠나야 안심인 여정은 호보의 무소유 정신과는 아주 다른 것이다. 오히려 도시인이라면 꼭 갖춰야하는 덕목인 멋진 휴가 개념이기에 떠나는 게 홀가분한 게 아니라 머리가 아프고 고단하다. 난 이렇게 생각과 행동이 불일치하니...삶에 대한 충동글이나 자꾸 찾아 읽고 있겠지만. 살이 그랬던 것처럼 자신에게 정해진 삶의 방식을 바꾸는 게 나 자신이긴 하지만 나 자신을 바꾸는 게 가능하긴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