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컴 - Welcom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영화도 책도 건성으로 본 지 어언 한 달도 넘은 거 같다. 토요일 오후에 교보는 아비규환같아서 나갈 생각을 하니까 끔찍해서 월요일 오후로 미뤄두고 집에 주저앉아서 쓸데없는 짓만 하다가 본 영화다. 별 기대없이 보기 시작했는데 많은 생각거리를 던져주면서 무언가를 끄적거리고 싶은 욕구를 일깨우는 영화다.  

이라크 출신의 쿠르드 족인 비랄이란 열일곱 청년의 짧은 생을 통해 많은 걸 말한다. 영국해협을 건너기 위해 칼레까지 삼개월동안 걸어왔지만 결국 영국해협을 건너지 못한 채 칼레에 불법체류자로 남게 된다. 바다만 건너면 되는데....결국 그는 수영해서 건널 생각을 하고 칼레시 수영장에 강습을 받으러다니다 수영교사와 우정이 싹튼다.  

사람이 한 사람을 의심하는 단계에서 신뢰하는 단계로 이동하는데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슈퍼에서 물건을 사는데 똑같은 값을 지불해도 불법체류자란 딱지는 테레리스트와 비슷한 레벨의 위험 경보를 울린다. 물론 그 위험 경보는 보는 사람이 매긴 경보 수위일 뿐이다. 수영교사인 시몽은 처음에 비랄을 위험한 불법체류자로 봤지만 곧 그의 비밀을 안다. 영국해협을 건너려는 그의 유일한 동기는 여자친구를 만나기 위해서였다. 비랄의 아버지뻘인 시몽은 청년의 순수한 패기에 반한다. 아내를 사랑하면서 잡지 못하고 이혼서류에 서명을 한 시몽은 인생이 즐거울 리 없다. 집에 돌아와도 텔레비전 리모콘이나 돌리고 있고 냉장고에서 맥주나 꺼내 홀짝인다.  

시몽이 왜 아내를 잡지 못했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어쨌든 그는 상황을 적극적으로 헤쳐갈 동기를 갖지 못했다. 자신의 삶에서도 관찰자 같았던 그가 비랄의 순수한 충동에 지지를 보내는 게 완전완전 이해가 갈 뿐 아니라 공감 백만배다.  

여자친구를 만나려는 비랄은 꿈을 결국 이루지 못한채 죽는다. 불법체류자에 대한 프랑스의 차가운 시선은 미국이 불특정 다수를 테러리스트로 모는 것과 같은 선상에 있다. 시몽은 비랄 대신 영국으로 가서 비랄의 여자친구를 만난다. 비랄은 죽었지만 시몽한테 삶에 대한 태도를 선물하고 갔다. 시몽이 비랄처럼 살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시몽은 비랄의 죽음을 기억할 것이다. 비랄의 육체적 죽음은 시몽한테 정신적으로 강렬한 현존으로 남아있을테니. 

한해가 또 다 가고 있어도 어린 시절 많은 시간을 함께 했던 친구들 얼굴보기가 쉽지 않다. 도시에서 살다보면 사람에 대한 무성의한 태도 (나를 포함해서) 에 익숙해진다. 사람에 대한 무관심은 육체적 죽음보다도 더 삭막하다. 무서운 건 육체적 부재가 아니라 정신적 부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